301 |
사전 |
양도 |
-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한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득령§155⑳의 장기임대주택에 해당하는지 여부
-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2021.3.16. 법률 제17944호로 개정된 것)에 의해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한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득령§155⑳의 장기임대주택에 해당함
|
사전-2022-법규재산-0514
(2022.10.25)
|
302 |
질의 |
양도 |
-
2020.7.11. 이후 단기임대주택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변경한 경우 소득령§155⑳ 적용대상인지 여부
-
2020.7.11. 이후 단기임대주택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변경한 경우 소득령§155⑳의 장기임대주택으로 볼 수 없음
|
서면-2021-법규재산-0684
(2022.10.25)
|
303 |
사전 |
법인 |
-
내국법인이 부동산 개발사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대학병원에 기부하는 지원금의 세무처리 등
-
내국법인이 공모지침에 따른 의료복합타운 사업자로 선정되기 위하여 컨소시엄을 구성한 대학병원에 컨소시엄 구성을 위한 협약에 따라 병원건설비 등으로 지원한 금액이 사업과 관련하여 지출한 금액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지원금은 의료복합타운 사업과 관련하여 취득하는 자산에 대한 자본적 지출로 보아 해당 자산의 취득가액에 가산하는 것임
|
사전-2022-법규법인-0783
(2022.10.24)
|
304 |
질의 |
소득 |
-
신기술사업투자조합이 국외에서 배당받아 조합원에게 지급하는 경우 원천징수의무
-
신기술사업투자조합이 신기술사업자, 벤처기업 또는 신기술창업전문회사에 출자함으로써 발생하는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해당 조합이 조합원에게 그 소득을 지급할 때 소득세 원천징수하는 것임
|
서면-2021-법규소득-3099
(2022.10.24)
|
305 |
질의 |
상증 |
-
가업에 직접 사용되는 사업용 자산의 임차보증금이 가업상속공제 대상 상속재산에 해당하는지
-
가업에 직접 사용되는 사업용 자산의 임차보증금은 가업상속공제 대상 상속재산에 해당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324
(2022.10.21)
|
306 |
질의 |
양도 |
-
주택을 취득한 후 임대, 거주, 재임대한 경우 상생임대주택 특례적용 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의3제1항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추어 해당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상생임대주택에 대한 1세대 1주택의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
서면-2022-법규재산-0893
(2022.10.21)
|
307 |
질의 |
양도 |
-
일시적 2주택 허용기간 및 타인으로부터 분양권을 구입하여 취득한 주택의 거주요건 적용 여부
-
무주택 1세대가 조정대상지역 공고일 이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하여 취득한 주택분양권이 완공되어 해당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제1항제5호에 따라 1세대1주택 비과세 거주요건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6470
(2022.10.21)
|
308 |
질의 |
부가 |
-
사업자가 과·면세사업을 겸영하는 경우 기부채납 관련 매입세액의 안분계산 여부 등
-
사업자가 과·면세사업을 겸영하는 경우 기부채납과 관련된 매입세액은 안분하여 계산하는 것임. 다만, 해당 매입세액이 토지의 조성 등을 위한 자본적 지출과 관련된 매입세액인 경우 공제하지 아니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부가가치세제과-471
(2022.10.21)
|
309 |
질의 |
조특 |
-
지분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보는지 여부
-
내국법인이 ‘기술혁신형 주식취득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 이후 적격인적분할하면서 분할신설법인이 해당 주식을 승계받은 경우에는 「조세특례제한법」 제12조의4제2항제3호의 ‘현재지분비율이 당초지분비율보다 낮아지는 경우’로 보지 않음
|
서면-2022-법규법인-1530
(2022.10.20)
|
310 |
질의 |
양도 |
-
장기임대주택 자동말소 후 취득한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령§155⑳의 특례 적용 여부
-
장기임대주택이 소득령 제155조제23항 각 호에 해당하여 등록이 말소된 후 취득한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령 제155조제20항이 적용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7929
(2022.10.20)
|
311 |
질의 |
양도 |
-
장기임대주택 2호 이상 임대등록이 말소된 경우 거주주택 양도 시 거주주택의 비과세 처분기한
-
장기임대주택을 2호 이상 임대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등록이 말소되는 장기임대주택의 등록 말소 이후 5년 이내에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소득령§155㉓이 적용되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4370
(2022.10.20)
|
312 |
질의 |
소득 |
-
사업자 사망시 사업용 부동산에 부과되는 지방세·종합부동산세의 필요경비 귀속주체
-
「지방세법」제114조 및 「종합부동산세법」제3조에 따른 과세기준일이 사망자의 과세기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업자(사망자)의 필요경비로 산입할 수 있는 것임
|
서면-2021-법규소득-8490
(2022.10.20)
|
313 |
질의 |
법인 |
-
상장법인의 주식을 시간 외 대량매매하는 경우로서 경영권 이전이 수반되는 경우 그 주식의 시가
-
(질의1)의 경우 최종시세가액(할증하지 않음), 질의2의 경우 최종시세가액에 20% 할증을 적용한 가액임
|
기획재정부 법인세제과-445
(2022.10.20)
|
314 |
질의 |
법인 |
-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 대상 및 토지 등 양도소득 과세특례 적용대상 여부
-
법§29①(2)에 따라 부동산 처분으로 발생되는 소득 중 수익사업에서 발생되는 소득에 대해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 가능
본 건 토지․건물은 법§55의2에서 규정하는 과세대상이 아니므로 토지 등 양도소득 과세특례 적용대상에 해당하지 않음
|
서면-2022-법인-3400
(2022.10.19)
|
315 |
사전 |
양도 |
-
도시정비법에 따른 재개발로 증가한 주택 부수토지에 대한 양도차익 계산방법
-
도시정비법상 정비사업에서 청산금납부로 토지면적 증가 시 해당 증가분의 양도차익의 계산은 소득령§166②(1)의 “청산금납부분 양도차익”에 증가된 토지의 기준시가가 증가된 토지와 건물의 기준시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곱하여 계산함
|
사전-2022-법규재산-0962
(2022.10.19)
|
316 |
질의 |
인지 |
-
온투업자와 차입자간 작성하는 연계대출계약서의 인지세 과세대상 여부 등
-
온투업자가 자기의 계산으로 연계투자를 하는 경우로서 인지령 §2의2에 따른 금융·보험기관이 온투업자로 등록하고 연계투자를 하거나 차입자로서 연계대출을 받는 경우 연계대출계약서는 인지세 과세문서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22-법규부가-0785
(2022.10.19)
|
317 |
질의 |
상증 |
-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아 출연재산을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는 경우 증여세 과세 여부
-
출연받은 재산을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아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는 것은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사용하는 것에 해당함
|
서면-2022-법인-4127
(2022.10.19)
|
318 |
사전 |
소득 |
-
주택신축판매업자인 공동사업장 구성원들이 신축주택을 각각 1주택씩 소유하는 경우, 해당 주택가액의 공동사업장 총수입금액 산입 여부
-
공동사업장의 사업자들이 신축된 주택을 자가사용목적으로 1주택씩 소유하는 경우, 해당 주택가액이 공동사업장 총수입금액에 산입되는지 여부는 사실판단할 사항임
|
사전-2021-법규소득-0318
(2022.10.18)
|
319 |
질의 |
조특 |
-
지분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보는지 여부
-
내국법인이 ‘기술혁신형 주식취득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 이후 적격인적분할하면서 분할신설법인이 해당 주식을 승계받은 경우에는 「조세특례제한법」 제12조의4제2항제3호의 ‘현재지분비율이 당초지분비율보다 낮아지는 경우’로 보지 않음
|
기획재정부 법인세제과-437
(2022.10.17)
|
320 |
질의 |
부가 |
-
항만안전관리비를 항만하역요금에 포함하여 계약한 경우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포함 여부
-
하역사업자가 선주 등에게 항만하역용역을 제공하며 지급받는 항만하역요금에 항만안전관리비를 포함하여 하역계약을 체결한 경우 항만안전관리비는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 포함되는 것임
|
서면-2022-법규부가-2944
(2022.10.17)
|
321 |
질의 |
소득 |
-
통신판매 거래와 관련하여 위수탁 계약 체결 시 현금영수증 발행 의무가 있는 자는 위탁판매자인지 아니면 수탁판매자인지 여부 등
-
통신판매 거래와 관련하여 위수탁 계약 체결 시 현금영수증 발행 의무가 있는 자는 실제 판매자인 위탁판매자에게 현금영수증 발행 의무가 있음
|
서면-2022-전자세원-4160
(2022.10.13)
|
322 |
질의 |
인지 |
-
권면금액 없이 용역의 수량만 기재된 영화관람권을 할인 판매하는 경우 인지세 납부세액은 얼마인지
-
상품권을 권면금액보다 할인하여 판매하더라도 인지세는 권면금액 구간별로 차등부과 되므로(인지세법 제3조제1항제8호), 권면금액을 기준으로 납부하는 것임
|
서면-2022-소비-3763
(2022.10.13)
|
323 |
질의 |
부가 |
-
플랫폼사가 발급한 신용카드매출전표에 대해 구매자가 신용카드매출전표 수취분에 대한 매입세액공제 가능한지
-
플랫폼 운영사업자(수탁자)가 실제 판매자(위탁자)의 판매를 대행하면서 신용카드매출전표에 자기를 공급자로 구분 기재하여 발급하는 경우 해당 신용카드매출전표등을 발급받은 사업자는 부가법 §46③에 따른 매입세액으로 공제 받을 수 없는 것임
|
서면-2022-법규부가-1413
(2022.10.13)
|
324 |
질의 |
소득 |
-
주택신축판매업자인 공동사업장 구성원들이 신축주택을 각각 1주택씩 소유하는 경우, 해당 주택가액의 공동사업장 총수입금액 산입 여부
-
공동사업장의 사업자들이 신축된 주택을 자가사용목적으로 1주택씩 소유하는 경우, 해당 주택가액이 공동사업장 총수입금액에 산입되는지 여부는 사실판단할 사항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464
(2022.10.13)
|
325 |
질의 |
법인 |
-
현물출자시 사업의 계속성 요건 충족 여부
-
부동산 임대업 등을 영위하던 내국법인으로부터 토지 및 건물을 현물출자 받은 피출자법인이 현물출자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종료일까지 해당 토지 및 건물을 처분하지 아니하고, 일부는 임대업에, 나머지는 피출자법인의 다른 사업에 계속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업의 계속성 요건을 충족
|
서면-2022-법규법인-1844
(2022.10.12)
|
326 |
질의 |
국조 |
-
특정외국법인의 배당 가능한 유보소득 산출시 공제하는 ‘법 제27조가 적용되지 않을 때 발생한 이익잉여금’의 의미
-
특정외국법인의 배당 가능한 유보소득 산출시 공제하는 국조법 시행령 제66조 제1항 제5호의 ‘법 제27조가 적용되지 않을 때 발생한 이익잉여금’은 법 제27조가 적용되지 않은 연도에 발생한 이익잉여금을 말하는 것임
|
서면-2022-국제세원-3196
(2022.10.10)
|
327 |
질의 |
국기 |
-
가산세감면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는지는 사실판단할 사항임
-
가산세감면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는지는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21-징세-6701
(2022.10.07)
|
328 |
질의 |
조특 |
-
지입회사에 차량을 지입한 차주에 대하여 통합투자세액공제를 적용할수 있는지
-
운수업을 경영하는 자가 차량을 지입회사에 지입하여 사업활동을 영위하는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한 통합투자세액공제 가능
|
서면-2021-법규소득-8157
(2022.10.07)
|
329 |
질의 |
양도 |
-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취득한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양도 시 장기보유특별공제 및 세율 적용방법
-
도정법상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조합원이 취득한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양도 시 양도소득금액은 소득령§166① 및 ⑤(1)에 따라 계산하며, 세율은 2년 이상 보유한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로 보아 기본세율을 적용함
|
서면-2022-법규재산-3353
(2022.10.06)
|
330 |
질의 |
종부 |
-
민특법§6⑤에 의하여 임대사업자 등록이 말소된 경우 합산배제 되는지 여부
-
민특법§6⑤에 의하여 임대사업자 등록이 말소 되었을 때 남은 임대차계약 기간동안 임대주택이 종부세법§8②(1)에 의하여 합산배제 되지 않음
|
서면-2022-법규재산-2745
(2022.10.06)
|
331 |
사전 |
종부 |
-
조정대상지역 지정 전에 부부공동명의로 취득한 주택을 조정대상지역 지정 이후 배우자에게 증여한 경우 합산배제 가능여부
-
조정대상지역 지정 전에 부부공동명의로 취득한 주택을 임대등록하고, 조정대상지역 지정 이후 배우자에게 증여하여 임대등록을 단독명의로 변경한 경우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가 가능함
|
사전-2021-법규재산-1800
(2022.10.04)
|
332 |
질의 |
부가 |
-
전력 절감량에 따라 지급하는 에너지캐시백이 에누리인지 장려금인지 여부
-
전기판매사업자가 전기의 공급과 직접적인 관계 없이 전력사용 절감을 위해 전기소비자에게 지급하는 에너지캐시백은 부가가치세법상 장려금에 해당함
|
서면-2022-법규부가-2830
(2022.10.04)
|
333 |
사전 |
부가 |
-
외국법인에 국내소비자에 대한 보증수리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여부
-
사업자가 국내에서 국내사업장이 없는 외국법인과의 차량의 보증수리 등을 대행하는 서비스계약에 따라 보증수리업무를 지원하고 그 대가를 외국법인으로부터 외국환은행을 통하여 원화로 받는 경우로서 해당 국가에서 우리나라의 거주자 또는 내국법인에 대하여 동일하게 면세하는 경우에는 영세율이 적용되는 것임
|
사전-2022-법규부가-0936
(2022.10.04)
|
334 |
사전 |
양도 |
-
임대주택을 자진말소하고 세대분리 후 거주주택 양도시 비과세 특례 적용 여부
-
3주택(A, B, C) 소유한 1세대가 C주택을 소유한 자녀와 별도세대로 분리하여 양도일 현재 민간임대주택법에 따라 자진말소(임대의무기간의 2분의 1이상 임대)된 임대주택(B)과 거주주택(A)을 소유한 상태에서 등록말소 이후 5년 내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령제155조제20항 적용가능하며, 별도세대 분리 여부는 사실판단사항임
|
사전-2022-법규재산-0686
(2022.09.23)
|
335 |
사전 |
국조 |
-
국내 고정사업장 없는 외국법인의 법인세법상 신고‧납부의무 인정 범위
-
외국법인의 국내 고정사업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외국법인은 「법인세법」제60조제1항 및 같은 법 제97조제1항에 따른 법인세 신고‧납부의무가 없음
|
사전-2022-법규국조-0946
(2022.09.22)
|
336 |
사전 |
소득 |
-
분양계약자가 시행사로부터 지급받은 합의금을 주택입주 지체상금으로 볼 수 있는지
-
입주자가 사업주체로부터 지급받는 합의금이 지체일수와는 무관하게 산정된 경우로 공급계약서상 지체보상금에 대한 별도의 약정이 있는 때에는 동 합의금 전체가 주택입주 지체상금에 해당한다고 볼 수는 없음
|
사전-2022-법규소득-0923
(2022.09.21)
|
337 |
질의 |
상증 |
-
초·중등학교를 설립·운영하는 학교법인이 재무제표를 공시하는지 여부
-
초·중등교육법에 의한 학교를 설립·운영하는 학교법인은 주무관청에 재무제표를 제출하지 아니 하더라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50조의3에 따라 재무제표를 포함한 각 호의 서류를 작성·공시하는 것임
|
서면-2021-법인-7308
(2022.09.16)
|
338 |
질의 |
법인 |
-
적격합병 사후관리 사유 발생시 피합병법인으로부터 승계된 세무조정사항 처리방법
-
합병법인이 적격합병 사후관리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영§80의4⑥에 따라 피합병법인으로부터 승계된 세무조정사항 추인함
|
서면-2022-법인-2189
(2022.09.16)
|
339 |
질의 |
법인 |
-
합병대가의 평가기준일 및 법인세 납부액 포함 여부
-
내국법인이 적격합병 사후관리 사유에 해당되어 제4항에 따라 합병법인이 피합병법인에 지급한 양도가액과 피합병법인의 합병등기일 현재의 순자산시가와의 차액을 익금 산입하는 경우 합병등기일을 기준으로 합병대가를 산정하는 것임
|
서면-2022-법인-2188
(2022.09.16)
|
340 |
질의 |
부가 |
-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자가 이용자에게 수수료를 수취하는 경우 세금계산서 발급대상 여부
-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자가 이용자에게 온라인투자연계금융용역 등을 제공하고 수수료를 수취하는 경우에는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것이며, 세금계산서 발급대상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21-법규부가-8349
(2022.09.15)
|
341 |
질의 |
소득 |
-
유흥주점에서 발생한 봉사료를 실제 종업원에게 지급한 경우 현금영수증 미발급 가산세 대상금액에 해당하는지 여부
-
유흥주점에서 발생한 봉사료를 실제 종업원에게 지급한 경우 현금영수증 미발급 가산세 대상금액에 해당하는지 여부
|
서면-2022-전자세원-3665
(2022.09.07)
|
342 |
질의 |
부가 |
-
인적용역 제공자가 사업소득자인 업무보조원을 고용하는 경우 면세되는 인적용역 해당 여부
-
업무보조원의 업무가 주된 용역 제공에 필수적으로 부수되는 업무보조인지 여부에 의하여 과세여부를 판단하는 것임. 따라서, 업무보조원의 배경그리기와 채색 등이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사실 판단할 사항임
|
서면-2021-법규부가-7062
(2022.09.07)
|
343 |
사전 |
부가 |
-
산모전용 패드 공급의 부가가치세 면제 여부
-
산모전용 패드는 여성용 생리 처리 위생용품에 해당하지 않아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것임
|
사전-2021-법규부가-1298
(2022.09.07)
|
344 |
사전 |
양도 |
-
법원의 화해권고결정에 따라 청산금 일부 증액된 경우 조합원입주권의 양도시기
-
재건축조합과 조합탈퇴자 간에 현금청산금에 다툼이 있어 사업시행자가 현금청산금을 공탁하고 소송이 진행되던 중 법원의 화해권고결정에 따라 현금청산금이 일부 증액되어 소송이 종결된 경우, 해당 조합원입주권의 양도시기는 해당 변동 금액 확정일인 법원의 화해권고결정일이 되는 것임
|
사전-2022-법규재산-0659
(2022.09.07)
|
345 |
질의 |
종부 |
-
종합부동산세 세율 적용 시 주택 수에서 제외하는 공동상속주택 지분율 판정방법
-
「종합부동산세 시행령」(2022.2.15. 대통령령 제3242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의2제3항제1호의 상속주택 소유지분율 20퍼센트 이하 요건은 전체주택 지분에 대해 판단함
|
서면-2021-법규재산-7946
(2022.09.06)
|
346 |
질의 |
상증 |
-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취득한지 5년이 경과되어 증권시장에 상장되는 주식에 기반해 유·무상증자로 취득한 주식이 증여세 과세대상인지
-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취득한지 5년이 경과되어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는 주식 등에 기반해 유상증자 또는 의제배당으로 과세되는 무상증자로 취득한 주식이 취득한 날부터 5년 이내에 상장하는 경우 상증법§41의3에 따른 증여세 과세대상임
|
서면-2020-법규재산-2612
(2022.08.29)
|
347 |
질의 |
국기 |
-
연말정산 증빙자료를 전자화문서로 보관하는 경우, 공인전자문서센터에 보관하는 것이 아닌 한 원본을 별도로 보관해야 함
-
연말정산 증빙자료를 전자화문서로 보관하는 경우, 공인전자문서센터에 보관하는 것이 아닌 한 원본을 별도로 보관해야 함
|
서면-2021-징세-5302
(2022.08.26)
|
348 |
질의 |
조특 |
-
창업기획자가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로 전환 된 경우 주식양도차익 등에 대한 비과세 적용여부
-
창업기획자 지위에서 비과세 대상 주식을 취득 후 창업기획자에서 창투사로 전환하고 창투사의 지위에서 쟁점주식을 양도하는 경우 주식의 양도차익에 대해 비과세 규정이 적용됨
|
서면-2022-법인-2180
(2022.08.24)
|
349 |
질의 |
양도 |
-
「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4호 다목에 해당하는 주식 판단 시 부동산 보유비율 계산 방법
-
「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4호 다목의 자산총액은 해당 법인의 장부가액(「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자산으로서 해당자산의 기준시가가 장부가액보다 큰 경우에는 기준시가)에 따르는 것임
|
서면-2022-자본거래-2964
(2022.08.23)
|
350 |
사전 |
양도 |
-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증여 후 일반주택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
-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과 일반주택을 보유하다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을 먼저 증여한 후 일반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은 해당 일반주택 취득일임
|
사전-2022-법규재산-0510
(2022.08.23)
|
351 |
사전 |
종부 |
-
다세대주택의 단기민간임대주택 자동말소 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재등록 시 종부세 합산배제 적용여부
-
다세대주택의 단기민간임대주택의 임대등록이 자동말소 된 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재등록하고, 종부령§3①(8)가목 1)부터 3)까지의 요건을 모두 갖추고 같은 호 나목 1)부터 4)까지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가 가능함
|
사전-2021-법규재산-0695
(2022.08.22)
|
352 |
질의 |
국조 |
-
외국법인의 신탁 수익권 행사 이익의 소득구분 및 원천징수 기준
-
외국법인(A법인)이 수익자로 지정된 국내 신탁계약에서 해당 신탁계약에 따른 수익권이 실행되어 수익자인 해당 외국법인이 투자원금(20억)을 초과하여 수익금(70억)을 지급받는 경우, 투자원금 초과분(50억)에 해당하는 수익금은 「법인세법」 제93조제1호에서 정하는 ‘신탁의 이익’으로서 국내원천 이자소득에 해당함
|
서면-2021-법규국조-5547
(2022.08.22)
|
353 |
질의 |
양도 |
-
직전 임대차계약 임대기간 계산 시 1개월 미만을 1개월로 보아 상생임대주택에 대한 1세대1주택 특례를 적용할 수 있는지
-
상생임대주택에 대한 1세대1주택 특례를 적용함에 있어, 직전 임대차계약의 임대기간이 1년 5개월 19일인 경우 1개월 미만인 기간을 1개월로 보아 1년 6개월 임대한 것으로 봄이 타당함
|
서면-2022-법규재산-2784
(2022.08.17)
|
354 |
질의 |
양도 |
-
단기임대주택 자동말소 후 장기임대주택으로 재등록하는 경우 임대주택 중과배제 요건
-
단기민간임대주택의 임대의무기간 외 나머지 요건을 충족한 상태로 자동말소된 뒤, 2020.8.18. 이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재등록하여 임대기간을 미충족한 상태로 양도시, 소득령§167의3①(2)각목 외 부분 단서에 따라 중과배제 적용 가능함
|
서면-2021-법규재산-6391
(2022.08.17)
|
355 |
질의 |
양도 |
-
장기보유특별공제율 표2 적용 시 세대원 일부가 사업상 형편으로 거주하지 않은 기간 포함 여부
-
소득법§95②의 ‘표2’에 따른 장기보유특별공제율 적용을 위한 ‘거주기간’을 계산할 때, 사업상의 형편 등 부득이한 사유로 세대원 일부가 거주하지 못한 기간도 포함할 수 있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6615
(2022.08.17)
|
356 |
질의 |
양도 |
-
임대사업자가 임대의무기간 중 포괄 양수 후 자진말소한 임대주택의 임대의무기간의 1/2 임대한 시점을 산정하기 위한 기산일
-
임대사업자가 임대의무기간 중 포괄 양수 후 자진말소한 임대주택의 임대의무기간의 1/2 임대한 시점을 산정하기 위한 기산일은 전 소유자의 임대사업자 등록일부터 기산하는 것임
|
서면-2020-법규재산-5310
(2022.08.10)
|
357 |
사전 |
양도 |
-
조정대상지역 내 소재한 공동상속주택 양도시 중과세율 적용 여부
-
공동상속주택의 소유자로 보는 자가 속한 3주택 이상을 보유한 1세대가 상속받은 지 5년이 경과한 조정대상지역 내 소재한 해당 공동상속주택을 ’22.5.9. 이전에 양도시 소득령§167의3① 1호~8호 및 8의2호에 해당하는 주택 외에 1개의 주택만 소유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과세율이 적용되는 것임
|
사전-2022-법규재산-0426
(2022.08.10)
|
358 |
질의 |
국조 |
-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0조제2항 적용 범위
-
’21.2월 개정된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0조제2항은 업종별 배수규정에 대한 보완규정으로서, 같은 령 제51조에 따른 비교대상배수 계산에는 적용되지 않음
|
서면-2021-법규국조-7315
(2022.08.08)
|
359 |
질의 |
상증 |
-
특정법인의 지배주주등의 주식보유비율에 간접보유비율이 포함되는지
-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 계산 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2020.02.11. 대통령령 제30391호로 개정되기 전) 제34조의4제5항제2호에 따른 “그 특정법인 지배주주등의 주식보유비율”에 간접보유비율이 포함되는 것임
|
서면-2020-법규재산-4187
(2022.08.01)
|
360 |
질의 |
법인 |
-
특별회비가 법인세법상 손금에 해당되는지 여부
-
법령 또는 정관에 따라 경상경비 충당 등의 목적으로 부과되는 회비에 해당되는 경우 전액 손금 인정
|
서면-2022-법인-2985
(2022.07.28)
|
361 |
질의 |
법인 |
-
상장주식을 장외거래로 특수관계자에게 양도시 시가 적용 방법
-
내국법인이 특수관계에 있는 법인과 주권상장법인이 발행한 주식을 「법인세법 시행령」제89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거래하는 경우 해당 주식의 시가는 그 거래일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의2 제2항에 따른 거래소 최종시세가액(거래소 휴장 중에 거래한 경우에는 그 거래일의 직전 최종시세가액)임
|
서면-2022-법인-2984
(2022.07.28)
|
362 |
사전 |
국조 |
-
고정사업장 인정 여부
-
외국법인의 원유 판매와 관련된 계약체결, 대금결제 등 중요한 사업활동이 국외에서 수행되고 국내에는 소속 종업원이나 대리인을 두지 않은 경우는 국내 고정사업장에 해당하지 않음
|
사전-2022-법규국조-0506
(2022.07.27)
|
363 |
질의 |
법인 |
-
집합건물관리단이 입주사들로부터 징수하는 주차료가 수익사업에 해당되는지 여부
-
집합건물관리단이 입주사들로부터 주차장의 유지·보수 등 관리목적으로 징수하는 주차료는 수익사업 소득에 해당되지 않음
|
서면-2022-법인-1584
(2022.07.26)
|
364 |
질의 |
법인 |
-
적격합병의 사업의 계속성 요건 충족 여부
-
합병법인이 피합병법인으로부터 승계받은 사업을 계속 영위하고 폐지하지 않았으므로 적격합병 과세특례 및 사후관리 요건 충족
|
서면-2022-법인-0594
(2022.07.26)
|
365 |
질의 |
소득 |
-
보험회사가 모터사이클 수리비용을 수리업체에 직접 지불하는 경우 소비자에게 현금영수증을 발행해야 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
-
모터사이클 수리업을 영위하는 사업자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손해보험을 영위하는 보험회사로부터 받는 보험금에 대하여는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는 것임
|
서면-2022-전자세원-3189
(2022.07.25)
|
366 |
질의 |
소득 |
-
비사업자인 고객의 주민등록번호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된 건에 대해 이를 취소하고 현금영수증을 발행해야 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
-
비사업자에게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동 세금계산서 발급명세를 국세청장에게 전송한 경우는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아니할 수 있으므로 전자세금계산서를 취소하고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할 의무는 없음
|
서면-2022-전자세원-1177
(2022.07.25)
|
367 |
질의 |
소비 |
-
자가열병합 발전용으로 직접 수입하여 자가반출하는 천연가스의 탄력세율 적용 여부
-
「전기사업법」 제2조 제19호에 따른 자가용전기설비를 설치한 자가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시설의 연료용으로 공급하기 위해 직접 수입하여 사용하는 천연가스는 「개별소비세법 시행령」 제2조의2제1항제4호가목에 따른 탄력세율을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2-소비-2310
(2022.07.19)
|
368 |
질의 |
국기 |
-
구 국세기본법상 결손처분이 된 때 납부의무는 소멸함
-
구 국세기본법상 결손처분이 된 때 납부의무는 소멸하고, 구 국세징수법상의 결손처분취소사유가 없다면 압류여부는 납부의무 소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서면-2022-징세-0759
(2022.07.15)
|
369 |
질의 |
국기 |
-
가산세 감면의 “정당한 사유” 해당여부는 사실판단할 사항임
-
회생절차개시결정을 받은 매입처 법인이 채권조사확정재판에 대한 이의의 소를 제기하여 일반세금계산서가 아닌 영세율세금계산서가 적용되게 된 경우, 납부지연가산세가 적용되는 기간은 법정납부기한의 다음날부터 납부일까지이며 가산세 감면 정당한 사유 해당여부는 사실판단 사항임
|
서면-2021-징세-7288
(2022.07.01)
|
370 |
사전 |
국조 |
-
외국법인에 지급하는 영어교육콘텐츠 소프트웨어 대가의 사용료소득 해당 여부
-
내국법인이 국내사업장이 없는 미국법인에게 소프트웨어 도입 대가를 지급하는 경우로서 해당 지급 대가를 ‘해당 소프트웨어의 배포권 등에 대한 대가’가 아닌 ‘개별 상품의 구입대가’로 볼 수 있는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 도입 대가는 ‘사용료소득’에 해당하지 않음
|
사전-2022-법규국조-0618
(2022.06.30)
|
371 |
질의 |
국기 |
-
소득세법상 지급 의제되는 근로소득에 대한 원천세 조세채권이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상 공익채권에 해당하는지 여부
-
소득세법상 지급 의제되는 근로소득에 대한 원천세 채권으로서 회생절차개시 전에 납세의무 성립하여 해당 회생절차개시 당시 법정납부기한을 도과한 경우, 해당 원천세 채권은 ‘공익채권’에 해당하지 않음
|
서면-2022-법규기본-2287
(2022.06.30)
|
372 |
질의 |
국조 |
-
’20.12.22. 개정된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부칙 제25조 적용 방법
-
’20.12.22. 개정된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부칙 제25조에서의 ‘사업연도’는 ‘특정외국법인의 사업연도’를 의미함
|
서면-2022-법규국조-2209
(2022.06.30)
|
373 |
질의 |
법인 |
-
비영리내국법인이 국가로부터 위탁받은 사업이 수익사업에 해당하는지 여부
-
위탁사업은 정관에 기재된 고유목적사업으로서 일체의 수익금을 국가에 반납하므로 비수익사업에 해당
|
서면-2022-법인-2584
(2022.06.28)
|
374 |
질의 |
국조 |
-
외국인투자에 대한 세액 감면한도 계산 시 상시근로자
-
「조세특례제한법」 제121조의2조 제14항 제2호에 따라 고용기준 감면한도를 계산할 때 외국인투자기업의 상시근로자에는 감면대상이 아닌 사업장의 상시근로자는 포함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21-법규국조-5481
(2022.06.27)
|
375 |
질의 |
법인 |
-
분할신설법인이 승계받은 주식을 처분하는 경우 분할존속법인의 적격분할 과세특례 적용 여부
-
분할신설법인이 승계받은 주식등을 처분하더라도 분할존속법인의 과세특례 적용요건에 영향이 없으므로 과세특례를 계속 적용받는 것임
|
서면-2022-법인-1064
(2022.06.24)
|
376 |
질의 |
국조 |
-
소유권이전조건부 나용선 계약 해지 시 지급하는 추가용선료의 원천징수 대상 국내원천소득 해당 여부
-
내국법인이 선박취득자금을 대출한 금융기관에 대하여 부담할 조기상환수수료 상당액을 ‘추가용선료’ 명목으로 외국법인에게 지급하는 경우, 내국법인이 외국법인에게 지급하는 추가용선료는 국내에서 과세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21-법규국조-7859
(2022.06.23)
|
377 |
질의 |
국기 |
-
제2차 납세의무(출자자・사업양수인)의 경합 여부
-
동일한 주된 납세의무에 대하여 「국세기본법」상 ‘출자자의 제2차 납세의무’ 요건과 ‘사업양수인의 제2차 납세의무’ 요건이 각 충족되는 경우, 해당 제2차 납세의무들은 병존함
|
서면-2021-법규기본-5629
(2022.06.23)
|
378 |
질의 |
법인 |
-
책임준비금을 미처리이익잉여금에서 차감하여 손금 산입하는 경우 손익 귀속 시기
-
책임준비금은 결산조정사항으로 당기 비용계상한 적립액과 전기오류수정손실로 계상한 책임준비금은 해당연도의 손금이 타당
|
서면-2021-법인-6588
(2022.06.17)
|
379 |
질의 |
조특 |
-
통합투자세액공제 여부
-
욕탕업을 영위하는 내국법인이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별표1 제3호에 따른 자산을 투자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제24조에 따른 통합투자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
서면-2021-법인-7991
(2022.06.17)
|
380 |
질의 |
법인 |
-
특정 자본준비금을 감액하여 배당하는 경우 해당 배당금이 익금불산입 대상인지 여부
-
주식의 포괄적 교환차익은 의제배당 대상이 아니므로 익금불산입
|
서면-2022-법인-2186
(2022.06.15)
|
381 |
질의 |
국기 |
-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는 수정제출 가능함
-
과세표준 및 세액의 변동없이 당초 제출한 재무제표만을 정정하여 수정신고할 수 없으나,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는 수정하여 제출 가능함.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 제출 불성실 가산세 부과대상 여부 및 가산세감면 정당한 사유 여부는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21-징세-3319
(2022.06.14)
|
382 |
질의 |
조특 |
-
성실신고확인비용에 대한 세액공제 여부
-
「법인세법」 제60조의2 제1항에 따른 성실신고확인대상이 아닌 내국법인은 「조세특례제한법」 제126조의6에 따른 성실신고 확인비용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
서면-2022-법인-1519
(2022.06.13)
|
383 |
질의 |
법인 |
-
특정 자본준비금을 감액하여 배당하는 경우 해당 배당금이 익금불산입 대상인지 여부
-
배당재원의 사용순서에 대한 별도의 제한이 없고 지급재원 구분이 거래의 실질에 부합하므로 특정 자본준비금을 전입하여 배당 가능
|
서면-2022-법인-1845
(2022.06.10)
|
384 |
사전 |
국조 |
-
한‧일 조세조약 제10조 제2항 가목 적용 시 “이윤배분이 발생한 회계기간” 및 “주식 소유”의 의미
-
「한・일 조세조약」 제10조 제2항 가목에서 규정하는 “이윤배분이 발생한 회계기간”은 “배당의 대상이 되는 회계기간”을 의미하는 것이며, “소유”란 배당 수취 법인이 중간 단계 법인을 통해 간접 소유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중간 단계 법인이 배당소득에 대한 형식적 귀속자인지 여부는 상관없는 것임
|
사전-2022-법규국조-0006
(2022.06.10)
|
385 |
질의 |
국조 |
-
해외현지법인 등에 대한 자료제출의무 인정 여부
-
질의법인은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58조 제1항 내지 제2항에 따른 ‘해외현지법인 등에 대한 자료 제출의무’가 없음
|
서면-2021-법규국조-8460
(2022.05.31)
|
386 |
질의 |
국조 |
-
국내제조사가 해당 합의금 보전을 위해 해외구매자에게 지급한 금액의 국내원천 기타소득 해당여부
-
쟁점화해금은 특허권을 침해한 자가 특허권자에게 지급한 금액이 아니므로 「법인세법」 제93조 제10호 차목의 “특허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금”에 해당하지 않고, 재산권에 관한 계약의 위약 또는 해약으로 인하여 지급한 금액이 아니므로 같은 호 나목의 “국내에서 지급하는 위약금이나 배상금”에 해당하지 아니함
|
서면-2021-법규국조-4380
(2022.05.30)
|
387 |
질의 |
법인 |
-
지역자활센터 영위사업이 수익사업에 해당되는지 여부
-
지역자활센터가 운영하는 편의점․상품판매업이 차상위자 등의 부업소득 향상을 위해 운영되는 사업이면 비수익사업에 해당
|
서면-2022-법인-1841
(2022.05.27)
|
388 |
사전 |
국조 |
-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6조제2호가목에서의 ‘국제거래’ 범위
-
정상가격 산출방법 신고서 제출의무 면제 요건을 규정한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6조제2호가목에서의 ‘국제거래’에는 국외특수관계 없는 자와의 국제거래도 포함됨
|
사전-2022-법규국조-0527
(2022.05.27)
|
389 |
질의 |
국조 |
-
국외투자기구 실질귀속자(비거주자·외국법인)의 투자비율과 수익분배비율이 다른 경우에서의 원천징수 기준
-
국내 원천징수의무자가 국외투자기구를 통해 국내원천소득의 실질귀속자들에게 해당 소득을 지급함에 있어 위 국외투자기구는 ‘실질귀속자 명세’ 서식 작성방법에 따라 ‘투자비율(투자지분율)’을 지분율란에 기재하여 원천징수의무자에게 제출하는 것임
|
서면-2021-법규국조-7088
(2022.05.18)
|
390 |
질의 |
법인 |
-
분할하는 사업부문이 주식등을 승계하는 경우 자산의 포괄적 승계에 해당되는지 여부
-
분할하는 사업부문과 승계하는 주식등의 발행법인이 2이상의 같은 세분류에 해당하는 사업이 있는 경우에는 분할하는 사업부문과 승계하는 주식등의 발행법인별로 각각 같은 세분류의 사업용 자산가액의 비율 또는 매출액의 비율을 합산하여 사업용 자산가액 또는 매출액 중 100분의 70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임
|
서면-2022-법인-1602
(2022.05.11)
|
391 |
사전 |
소득 |
-
소유권이전 등기 전 차입한 장기주택저당차입금이 소득법§52⑤에 규정된 장기주택저당차입금에 해당하는지 여부
-
주택양수자가 주택양도자의 주택을 담보로 차입금의 상환기간이 15년 이상인 차입금을 차입한 후 즉시 소유권을 주택양수자에게로 이전하는 경우 해당 차입금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기주택저당차입금”으로 보는 것임
|
사전-2022-법규소득-0434
(2022.04.29)
|
392 |
질의 |
조특 |
-
PFV의 소득공제 요건 충족 여부
-
PFV가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에 대한 소득공제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자금관리사무수탁회사에 자금관리업무를 위탁하고, 자산관리회사와 자금관리수탁회사가 동일인이 아니어야 한다는 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는 것임
|
서면-2021-법인-5870
(2022.04.27)
|
393 |
질의 |
법인 |
-
연결사업연도 소득금액 계산시 연결 전 지출한 이월기부금의 손금산입 가능 여부
-
연결자법인이 연결납세방식 적용 전에 발생한 기부금 손금산입 한도 초과액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기부금 손금산입 한도 초과액을 포함하여 같은 법 시행령 제120조의20에 따른 기부금 손금불산입 규정을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2-법인-0602
(2022.04.25)
|
394 |
질의 |
상증 |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이익이 간접출자법인 주식 취득가액에 가산될 수 있는지 여부 등
-
상증법§45의3에 따라 증여세가 과세된 경우로서 지배주주와 그 지배주주의 친족이 상증령§34의3⑯에 따른 법인(이하 “간접출자법인”)을 통하여 수혜법인에 간접출자하는 경우에는 같은 조 제11항에 따라 계산한 해당 출자관계의 증여의제이익을 해당 출자관계에서 지배주주등이 보유하고 있는 간접출자법인 주식을 양도할 때 그 취득가액에 가산하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6662
(2022.04.19)
|
395 |
질의 |
국기 |
-
「국세기본법」제13조제2항 법인으로 보는 단체의 요건 충족여부는 관할세무서장이 개별적으로 사실 판단할 사안임
-
「국세기본법」제13조제2항 각 호의 법인으로 보는 단체의 요건 충족여부는 관할 세무서장이 개별적으로 사실 판단할 사안임
|
서면-2020-징세-5739
(2022.04.19)
|
396 |
질의 |
국기 |
-
국세기본법 제13조제2항 법인으로 보는 단체 해당여부는 관할세무서장의 사실판단 사항임
-
국세기본법 제13조제2항의 법인으로 보는 단체 해당여부는 관할세무서장이 단체의 현황 등 제반 사실관계를 확인하여 판단해야 할 사항임
|
서면-2022-징세-1349
(2022.04.19)
|
397 |
질의 |
국기 |
-
단체가 수익을 구성원에게 분배하는 경우 국세기본법 제13조제2항 법인으로 보는 단체에 해당하지 않음
-
단체가 수익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성원에게 분배하는 경우 국세기본법 제13조제2항 법인으로 보는 단체에 해당하지 않음
|
서면-2022-징세-1127
(2022.04.19)
|
398 |
질의 |
국기 |
-
법인으로 보는 단체로 승인받기 위해서는 정관 또는 조직과 운영에 관한 규정을 적은 문서는 필수적으로 제출되어야 함
-
「국세기본법」제13조제2항의 법인으로 보는 단체로 승인받기 위해서는 정관 또는 조직과 운영에 관한 규정을 적은 문서는 필수적으로 제출되어야 함
|
서면-2021-징세-7528
(2022.04.19)
|
399 |
질의 |
양도 |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6조의3제3항에 따른 1세대 1주택 특례 적용 가능 여부
-
1세대가 일시적으로 1주택과 1분양권을 소유하게 된 경우 종전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이 지난 후에 분양권을 취득하고 그 분양권을 취득한 날부터 3년이 지나 종전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로서 소득령 §156의3③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때에는 이를 1세대1주택으로 보아 같은 영 §154①을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7603
(2022.04.18)
|
400 |
질의 |
법인 |
-
종중 소유 부동산 양도소득이 법인세 과세소득에서 제외되는지 여부
-
종중 소유 부동산을 처분일로부터 소급하여 3년 이상 계속 고유목적사업에 직접 사용한 경우에는 「법인세법」제4조제3항제5호 단서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제2항에 따라 해당 부동산 양도소득은 법인세 과세소득에서 제외되는 것임
|
서면-2022-법인-1603
(2022.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