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사전 |
상증 |
-
즉시연금보험의 보험계약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재산가액의 산정방법 등
-
즉시연금보험의 보험계약자가 사망한 경우 해당 보험계약은 상속재산으로서 상속개시 당시의 해지환급금 상당액으로 평가함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378
[법령해석과-183]
(2021.01.19)
|
2 |
사전 |
상증 |
-
대법원판결에 따라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 증여채무의 상속재산가액 차감 여부
-
피상속인이 상속인 외의 자에게 증여하기로 약정한 재산의 소유권을 이전해 주지 아니하고 있다가 그 증여계약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에 사망함으로써 상속인이 변제하여야 할 것으로 확인되는 증여채무는 상속세및증여세법 제14조 제1항 제3호의 규정에 의하여 상속재산의 가액에서 차감하는 것임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693
[법령해석과-3730]
(2020.11.16)
|
3 |
사전 |
상증 |
-
1세대가 동거주택과 농어촌주택을 보유한 경우 동거주택 상속공제 적용 여부
-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하여 1세대를 구성하면서 1세대 1주택에 해당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 경우 1세대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20조의2 제1항 각호에 해당하여 2주택 이상을 소유한 경우에 한하여 1세대가 1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보는 것임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1135
[법령해석과-4093]
(2020.12.14)
|
4 |
사전 |
상증 |
-
상속개시 전 보유하던 기존주식 증여 시 가업상속공제 사후관리 위배 여부
-
상속인이 상속개시일 전 보유한 기존주식을 처분하는 경우로서 처분 후에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15조제3항에 따른 최대주주등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가업상속공제 사후관리 위배에 해당하지 않음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930
[법령해석과-3917]
(2020.11.30)
|
5 |
사전 |
상증 |
-
채무자 명의변경 없이 자녀에게 부동산 증여 시 부담부증여 해당 여부
-
수증자가 증여자의 채무를 인수하였는지 여부는 채무자의 명의를 변경하였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재산을 증여받은 후 당해 채무를 사실상 누가 부담하고 있는지 여부 등 실질내용에 따라 사실판단 하는 것임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982
[법령해석과-4168]
(2020.12.17)
|
6 |
사전 |
상증 |
-
공익법인이 상증법§48⑤에 따른 출연재산 등 보고 시 상증법§50의4 적용여부
-
「상속세 및 증여세법」제48조제5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1조에 따라 같은 법 시행규칙 제25조제1항의 서류를 사업연도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에 납세지 관할세무서장에게 제출 시「상속세 및 증여세법」제50조의4를 적용받지 않음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094
[법령해석과-4308]
(2020.12.29)
|
7 |
사전 |
상증 |
-
동거주택상속공제 요건에 해당하는 상속인에게 동거주택의 법정상속비율만큼 현금지급한 부분에 대하여 동거주택상속공제 적용 여부
-
상증법§23의2①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는 상속인이 상속받은 주택임이 상속등기를 통해 확인되는 경우에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1043
[법령해석과-4271]
(2020.12.28)
|
8 |
사전 |
상증 |
-
상속인이 상속개시일 현재 상증령 제18조제2항의 장애인 요건을 충족하는지
-
상증법 상 장애인은 상속개시일 현재 의사·치과의사 또는 한의사로부터 장애인 판정을 받은 자를 말하며, 상증칙 별지 제4호 서식인 “장애인 증명서”를 제출하여 입증해야 함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474
[법령해석과-2101]
(2020.06.30)
|
9 |
사전 |
상증 |
-
부(父)의 상속세 신고기간 내 모(母)가 사망한 경우 상속세 과세방법 등
-
부(父)의 상속세 신고기간 내 모(母)가 사망하고 모(母)가 부(父)에게 사전에 증여한 재산이 있는 경우, 모(母)의 상속세 과세가액 산정 시 모(母)가 부(父)에게 사전에 증여한 재산은 사전증여재산가액으로 가산하지 않음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613
[법령해석과-3569]
(2020.11.03)
|
10 |
사전 |
상증 |
-
자기주식을 보유한 비상장법인 발행주식의 손손익가치 계산시 발행주식총수 산정방법
-
비상장주식의 1주당 최근3년간의 순손익액을 계산할 때, 각 사업년도의 주식수는 각 사업년도 종료일 현재의 발행주식총수에 의하는 것이며, 주식의 소각 또는 자본의 감소를 위하여 취득한 자기주식은 발행주식총수에서 제외하는 것임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633
[법령해석과-3841]
(2020.11.25)
|
11 |
사전 |
상증 |
-
임대용부동산을 개인에게 신탁하는 경우 수탁자의 지급명세서등 제출의무 유무
-
임대용 부동산을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신탁업자가 아닌 개인에게 신탁한 경우 해당 신탁업무를 취급하는 자는「상속세 및 증여세법」제82조제4항에 따른 지급명세서 등의 제출의무가 있음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589
[법령해석과-3819]
(2020.11.23)
|
12 |
사전 |
상증 |
-
공익법인이 보유한 주식의 발행법인이 분할함에 따라 발생한 의제배당이 운용소득에 포함되는지 여부
-
공익법인이 보유한 주식의 발행법인이「법인세법」상 비적격분할을 함에 따라 발생한 의제배당 소득이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38조 제5항에 따른 사후관리대상 운용소득 범위에 포함됨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007
[법령해석과-4033]
(2020.12.08)
|
13 |
사전 |
상증 |
-
상속개시 이후 상속세 신고기한 전 상속인이 장애인 등록 시 장애인공제 적용 여부
-
상속개시 당시 상속인이「장애인복지법」제2조에 따른 장애인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상속개시일 이후에 해당 상속인이 같은 법 제32조제1항에 따라 등록하고, 이에 따라 상속세 신고를 한 경우 장애인공제 적용 가능함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978
[법령해석과-4032]
(2020.12.08)
|
14 |
사전 |
상증 |
-
□□□□□□연합회가 △△△△△△평가원으로부터 위탁받아 지급하는 개인지원금의 증여세 과세 대상 여부
-
(사)□□□□□□연합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평가원으로부터 업무를 위탁받아 「SW마에스트로」 창의인재양성과정을 수료한 창업기업 및 예비창업자들에게 지급하는 개인지원금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에 해당하는 것임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335
[법령해석과-2176]
(2020.07.09)
|
15 |
사전 |
상증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라 취득한 비상장 외국법인 주식의 평가방법
-
외국 비상장주식도 내국법인과 동일하게 보충적평가방법에 따라 평가하되, 이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 부적당한 경우 외국에서 증여세 등의 부과목적으로 평가한 가액을 평가액으로 하며, 동 평가액이 없는 경우 세무서장 등이 2 이상의 국내 또는 외국의 감정기관에 의뢰하여 감정한 가액을 참작하여 평가한 가액에 의하는 것임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161
[법령해석과-1875]
(2020.06.18)
|
16 |
사전 |
상증 |
-
대한지방행정공제회의 공제상품이 금융재산 상속공제 대상이 되는지 여부
-
대한지방행정공제회에 가입한 한아름 목돈예탁 금액 대하여는「상속세 및 증여세법」제22조에 따른 금융재산 상속공제가 적용되지 아니하는 것임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230
[법령해석과-1684]
(2020.06.04)
|
17 |
사전 |
상증 |
-
K-IFRS상 비한정 내용연수가 적용되나 신고조정 특례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영업권의 평가방법
-
비상장주식을 평가하기 위해 상증령§55에 따른 순자산가액 계산 시 영업권을 순자산가액에 가산하는지 여부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K-IFRS”)상 비한정 내용연수가 적용된 영업권이 감가상각비 신고조정 특례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에도 취득가액에서 감가상각비를 차감한 가액으로 평가하는지 여부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834
[법령해석과-1034]
(2020.04.03)
|
18 |
사전 |
상증 |
-
특정법인에 현금증여가 발생한 경우 간접 지배하는 개인주주에 대한 증여세 과세 여부
-
특정법인을 간접 지배하는 개인주주에게는 상증법§45의5 또는 상증법§4에 따라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는 것입니다.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046
[법령해석과-627]
(2020.02.27)
|
19 |
사전 |
상증 |
-
공익법인이 수령한 기부금을 예금에 예치하여 운용하는 것이 출연재산을 직접 공익목적사업 등에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
공익법인이 수령한 기부금을 금융기관 계좌에 적립하여 특정 교육사업 목적으로 사용하기 전까지 이자소득이 발생하는 정기예금 및 재예치시점까지 일시적으로 보통예금에 예치하여 운용하는 행위가 “출연재산을 직접 공익목적사업 등(직접 공익목적사업에 충당하기 위하여 수익용 또는 수익사업용으로 운용하는 경우를 포함)에 사용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023
[법령해석과-1505]
(2020.05.21)
|
20 |
사전 |
상증 |
-
이혼 및 재산분할 청구소송 결과 신청인이 분양권을 받은 경우 증여세 과세 여부
-
재산분할로 인한 분양권의 소유권 이전으로, 증여세 과세대상이 아니나, 조세포탈의 목적이 있는 경우에는 증여에 해당함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159
[법령해석과-1305]
(2020.04.29)
|
21 |
사전 |
상증 |
-
1세대2주택자가 1주택을 양도한 후 재협의분할로 상속주택 소유권을 상실한 경우 기존 양도 주택의 1세대1주택 비과세 해당 여부
-
증여한 상속주택은 등기일이 소유권 변동일로서 갑은 증여 이전인 2주택 상태에서 기존 1주택을 양도하였으므로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할 수 없음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210
[법령해석과-2245]
(2019.08.29)
|
22 |
사전 |
상증 |
-
가업승계 증여세 과세특례를 적용받은 수증자가 사망 시 가업상속공제 적용 여부
-
가업승계 증여세 과세특례를 적용받은 수증자가 사망하고 수증자의 배우자가 가업주식을 상속받아 수증자의 지위를 승계하고 가업에 종사하는 경우라도 수증자가 상증령§15③(1)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가업주식은 가업상속공제 적용대상에 해당하지 않음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648
[법령해석과-3057(2019.11.22.)]
(2019.11.22)
|
23 |
사전 |
상증 |
-
평가기준일 이후 개별주택가격이 추가 공시된 경우 주택의 보충적 평가 방법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1조제1항의 규정에 따라 평가할 때 당초 공시된 개별주택가격을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제17조제8항의 규정에 의하여 준용되는 같은 법 제12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3조의 규정에 따라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정정하여 결정ㆍ공시한 경우에는 그 정정된 개별주택가격을 적용하는 것임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599
[법령해석과-2812]
(2019.10.25)
|
24 |
사전 |
상증 |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규정 적용 시 과세제외매출액 적용방법
-
상증령§34의2 제8항 제5호와 제12항 제3호가 동시 발생한 경우 과세제외매출액은 제8항 제5호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하고 증여의제이익을 계산할 때는 특수관계법인 매출액에서 제8항 제5호를 차감한 가액에 제12항 제3호를 적용한 금액을 과세제외매출액에 포함하여 계산함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388
[법령해석과-3220(2019.12.10.)]
(2019.12.10)
|
25 |
사전 |
상증 |
-
상속주택 취득 후 2013.2.15. 전에 일반주택 취득한 경우 일시적 2주택과 상속주택 특례 중첩적용 여부
-
상속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2013.2.15. 전에 A주택을 취득하고 양도한 경우 상속주택 특례(소득령§155②) 적용 가능하고, 상속주택 특례(소득령§155②)와 일시적 2주택 특례(소득령§155②) 중첩적용도 가능함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647
[법령해석과-3459(2019.12.31.)]
(2019.12.31)
|
26 |
사전 |
상증 |
-
상증법§50에 따른 ‘외부전문가의 세무확인’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
-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총자산가액이 5억원 이상인 경우 외부전문가의 세무확인을 받아야 하며, 직전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총자산가액의 합계액이 100억원 미만인 경우에는 외부 감사인의 회계감사를 받아야 하는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임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197
[법령해석과-1102]
(2020.04.09)
|
27 |
사전 |
상증 |
-
아동수당이 비과세되는 증여재산인지 여부
-
신청인이 수령한 신청인의 아동수당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6조제1호에 따라 증여세가 비과세 되는 것입니다.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172
[법령해석과-1178]
(2020.04.20)
|
28 |
사전 |
상증 |
-
부동산 매매계약 이행 중 상속이 개시된 경우, 가계약금까지 수취한 당해 계약의 상속재산가액
-
부동산 매매계약 이행 중 상속이 개시된 경우, 상속개시일 전 가계약금까지 수취한 경우, 상속재산가액은 양도대금 전액에서 피상속인이 영수한 가계약금을 차감한 금액으로 하는 것임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576
[법령해석과-498]
(2020.02.17)
|
29 |
사전 |
상증 |
-
특정법인에 자산수증이익이 발생한 경우 간접 지배하는 개인주주에 대한 증여세 과세 여부
-
B법인이 결손금이 있는 A법인의 최대주주이고, 갑은 B법인을 100% 지배하고 있는 경우로서 갑과 특수관계에 있는 자가 A법인에 주식을 증여하는 경우 B법인의 개인주주인 갑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과세되지 아니하는 것임
|
사전-2020-법령해석재산-0103
[법령해석과-472]
(2020.02.17)
|
30 |
사전 |
상증 |
-
1년 이내 2개 법인의 감자를 통해 동일한 주주가 이익을 얻은 경우 과세 기준금액 계산 방법
-
1년 이내에 2개 법인의 감자를 통해 동일한 주주가 「상속세 및 증여세법」제39조의 2에 따른 이익을 얻은 경우 같은 법 제43조 제2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2조의 4에 따라 증여이익을 합산하여 과세 금액기준을 계산하는 것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581
[법령해석과-1868(2019.07.18)]
(2019.07.18)
|
31 |
사전 |
상증 |
-
일시적 2주택 특례 적용 시 ‘3년 이내’인지 판단 기준
-
거주자가 종전주택을 2011년 6월 21일 취득하고, 신규주택을 2016년 10월 31일 취득, 종전주택을 2019년 10월 31일 양도하는 경우 소득령 §155①에서 규정하는 “신규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종전의 주택을 양도한 경우”에 해당함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538
[법령해석과-2630(2019.10.09.)]
(2019.10.09)
|
32 |
사전 |
상증 |
-
거주주택과 장기임대주택을 보유하는 1세대가 해외이주 후 2년 이내에 양도하는 거주주택의 비과세 여부
-
○거주주택과 장기임대주택을 보유한 자는 출국일 현재 1주택을 보유한 자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소득령 §154①(2)다목에 따른 양도소득세 비과세 적용은 불가함 ○조정대상지역에 보유한 장기임대주택 및 거주주택은 양도세 중과에서 제외되는 주택들로서 양도한 거주주택은 1세대2주택 양도세 중과대상이 아니고, 이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율 표1 적용 가능함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188
[법령해석과-2151(2019.08.20)]
(2019.08.20)
|
33 |
사전 |
상증 |
-
상증령 §73④에서 비상장주식의 물납 가능 범위 계산 시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차감하는 비상장주식에 사전증여재산이 포함되는지 여부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제73조제4항의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차감하는 비상장주식등에는 사전증여재산가액이 포함되는 것임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284
[법령해석과-1688]
(2019.06.28)
|
34 |
사전 |
상증 |
-
직전사업연도가 결손인 경우 상증법 §48②(5)에 따른 운용소득 사용기준금액 미달사용 여부
-
전년도 출연재산 운용소득이 부(△)의 금액인 경우 사용기준금액에 미달하게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대상이 부(△)의 금액이므로 상증법 §48②(5)에 해당하지 않아 가산세를 부과하지 않음(1년 또는 5년 기준 중 하나만 충족하면 됨)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157
[법령해석과-1624]
(2019.06.25)
|
35 |
사전 |
상증 |
-
상증령 §54④ ‘자산총액’ 등의 산정방법
-
상증령 제54조 제4항 제3호 및 제5호에 따라 순자산가치로만 평가하는 비상장법인의 주식등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단 시 법인의 ‘자산총액’ 및 ‘주식등의 가액’은 법인의 장부가액에 따르고, 법인의 ‘장부가액’이란 해당 법인이 법인세법 제112조에 따라 기장한 장부가액에 자산의 평가와 관련하여 익금 또는 손금을 가감한 세무계산상 장부가액을 의미함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052
[법령해석과-1616(2019.06.25.)]
(2019.06.25)
|
36 |
사전 |
상증 |
-
비상장주식의 순자산가액 계산 시 장부가액의 의미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제55조제1항에 따른 장부가액은 취득가액에서 감가상각비를 차감한 가액을 의미하는 것임
|
사전-2019-법령해석재산-0276
[법령해석과-1581]
(2019.06.21)
|
37 |
사전 |
상증 |
-
가업상속공제 받은 후 합병으로 상속인의 지분 감소 시 가업상속공제액 추징 여부
-
상속인이 가업상속공제를 받은 이후 가업법인의 합병으로 상속인의 지분율이 낮아지는 경우로서 상증령 제15조제8항제3호가목에 해당하는 때에는 같은 법 제18조제6항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것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751
[법령해석과-1376]
(2019.05.31)
|
38 |
사전 |
상증 |
-
출연재산 매각대금을 고유목적사업에 사용된 차입금 상환에 사용한 경우 직접 공익목적사업 사용 여부
-
매각대금을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사용된 차입금의 상환에 사용하는 경우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사용한 것으로 보는 것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693
[법령해석과-1006]
(2019.04.23)
|
39 |
사전 |
상증 |
-
보통주의 시가 산정 시 평가기간이 지난 상환전환우선주의 매매가액을 시가로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
-
증여일 전 평가기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간의 매매가액은 시가로 적용할 수 없으나, 평가기준일 전 2년 이내의 가액을 평가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가액은 시가에 해당하며 시가를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 보충적 평가방법으로 평가한 가액을 시가로 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758
[법령해석과-1092(2019.05.01)]
(2019.05.01)
|
40 |
사전 |
상증 |
-
상속주택 보유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에도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
상속세 및 증여세법」제23조의2 제1항 제2호 및 제3호를 충족하는 경우로서,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하여 하나의 주택에서 동거하는 경우에는 피상속인의 보유기간과 관련 없이 같은 법 제1항에 따른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565
[법령해석과-454(2019.2.22.)]
(2019.02.22)
|
41 |
사전 |
상증 |
-
주택 및 건물 평가 시 필로티 면적 포함 여부
-
상가 겸용주택 평가 시 주택부분은 개별주택가격에 따르고 그 외 건물은 건물기준시가 평가 방법(필로티 면적 제외)에 따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527
[법령해석과-392(2019.02.18)]
(2019.02.18)
|
42 |
사전 |
상증 |
-
종중원 명의로 종중재산에 대한 명의신탁을 해지하여 종중명의 환원 시 증여세 과세 여부
-
종중원 명의로 등기된 토지를 종중 명의로 등기이전한 경우로서 그 이전된 토지가 당초부터 종중의 소유임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증여세가 과세되지 아니하는 것이나 당초부터 종중원 소유임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증여세가 과세되는 것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707
[법령해석과-3363]
(2018.12.26)
|
43 |
사전 |
상증 |
-
평가시점에서 재산을 담보로 하는 채권액이 그 재산의 실제가액보다 큰 경우 재산의 평가방법
-
평가기준일 시점에서 재산을 담보로 하는 채권액이 그 재산의 실제가액보다 크다는 사실을 주장하는 자가 입증하는 경우에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6조에 따른 저당권 등이 설정된 재산에 대한 평가특례는 적용하지 않는 것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458
[법령해석과-3314]
(2018.12.19)
|
44 |
사전 |
상증 |
-
특정법인에 채무면제익이 발생한 경우 간접 지배하는 개인주주에 대한 증여세 과세여부 등
-
「상속세 및 증여세법」(2015.12.15. 법률 제13557호로 개정된 것) 제45조의5제1항의 "주식보유비율"은 특정법인의 유형에 따라 각각 판단하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제34조의4제5항제1호의 "최대주주등의 주식 등의 비율"은 직접 보유한 주식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090
[법령해석과-3111]
(2018.11.29)
|
45 |
사전 |
상증 |
-
증여세 비과세되는 학자금 또는 장학금 등에 체재비가 포함되는지 여부
-
증여세가 비과세되는 장학금 등에는 등록금뿐만이 아니라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해외에서 교육을 받는데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생계비 명목의 체재비도 포함됨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706
[법령해석과-1850(2018.06.29)]
(2018.06.29)
|
46 |
사전 |
상증 |
-
근로자가 제3자를 통해 정부보조금을 지급받는 경우 증여세 과세대상인지
-
정부가 정부투자기관을 통해 근로자 휴가지원 사업에 참여한 기업의 근로자에게 지급한 정부보조금은 비과세되는 증여재산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302
[법령해석과-3366(2018.12.26)]
(2018.12.26)
|
47 |
사전 |
상증 |
-
동일 기업진단의 수혜법인의 지배주주와 시혜법인의 특수관계 판단
-
상증령 제34조의2 제3항에 따른 “법인의 지배주주와 특수관계에 있는 법인”은 “지배주주를 기준(일방관계)”으로 특수관계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기업집단의 경영에 관하여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 않는 기업집단 내 수혜법인의 지배주주인 대표이사와 동일한 기업집단 소속 법인은 지배주주 기준에서 특수관계 없는 것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455
[법령해석과-2562(2018.09.21)]
(2018.09.20)
|
48 |
사전 |
상증 |
-
공유하는 부동산을 피상속인 단독으로 사업자등록하고 부가가치세 등을 신고한 경우 상속재산에서 부채로 공제할 임대보증금
-
공동으로 소유하는 부동산을 피상속인이 단독으로 사업자등록하고 부가가치세 등을 신고하였더라도 상속재산에서 부채로 공제할 임대보증금은 실지 임대차계약 내용에 따라 임대인에게 귀속되는 것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075
[법령해석과-1781(2018.06.27)]
(2018.06.27)
|
49 |
사전 |
상증 |
-
비상장주식의 순자산가액 계산 시「조세특례제한법」제32조의 이월과세액을 부채로 볼 수 있는지 여부
-
「조세특례제한법」제32조에 따른 이월과세액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제55조 제1항, 제2항 및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규칙」제17조의2 제3호에 따라 순자산가액을 계산할 때 자산가액에서 차감하는 “부채”에 해당하지 아니함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731
[법령해석과-1675(2018.06.19)]
(2018.06.20)
|
50 |
사전 |
상증 |
-
영농상속공제와 배우자상속공제의 중복적용 여부
-
배우자가 영농상속공제 요건을 충족하는 재산을 상속받은 경우 영농상속공제와 함께 배우자상속공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171
[법령해석과-1458(2018.05.29)]
(2018.05.29)
|
51 |
사전 |
상증 |
-
“물납에 충당할 수 있는 유가증권”에 해외 비상장주식이 포함되는지 여부
-
물납에 충당할 수 있는 재산은 관리·처분이 용이한 것들로서 외국 법인의 주식은 관리·처분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증권은 내국법인이 발행한 분만 물납 충당이 가능하므로 외국법인이 발행한 주식은 이에 해당하지 않음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142
[법령해석과-1308(2018.05.14)]
(2018.05.14)
|
52 |
사전 |
상증 |
-
운영하던 1개의 사업부를 양도 후 유상증자 시 순자산가치로 주식을 평가할 수 있는지 여부
-
운영하던 1개의 사업부를 양도하고 업종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사업개시 전의 법인”, “사업개시 후 3년 미만의 법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이며, 순손익가치는 양도사업부를 포함한 전체 순손익액을 기준으로 계산함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296
[법령해석과-1783]
(2018.06.27)
|
53 |
사전 |
상증 |
-
상속 등기 후 상속재산협의분할하여 소유권을 경정하는 경우 증여세 해당 여부
-
상속세 신고기한을 경과하여 상속재산을 협의분할하고 상속등기로 각 상속인의 상속분이 확정된 후, 그 상속재산에 대하여 공동상속인이 재협의분할하여 소유권이 경정된 결과 특정 상속인이 당초 상속분을 초과하여 취득하게 되는 재산은 상속분이 감소한 상속인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에 해당하는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889
[법령해석과-1697]
(2018.06.20)
|
54 |
사전 |
상증 |
-
유가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주권상장법인이 회생절차개시에 의하여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경우 주식의 평가 방법
-
유가증권시장에서 평가기준일 전후 2개월 이내의 기간 중 회생절차개시에 의하여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기간, 완전자본잠식에 따라 매매거래가 정지된 기간이 포함된 주권상장법인의 주식은「상속세 및 증여세법」(2016.12.20. 법률 제14388호로 개정된 것) 제63조제1항제1호나목에 의한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579
[법령해석과-2698]
(2018.10.12)
|
55 |
사전 |
상증 |
-
성실공익법인의 주식보유한도 미적용 요건 충족 여부
-
성실공익법인이 주식을 출연받고 주식발행법인이 출연자 및 그의 특수관계인이 최대주주로 있는 내국법인인 경우에는 주식보유한도(10%)가 적용되지 않는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476
[법령해석과-276]
(2018.01.30)
|
56 |
사전 |
상증 |
-
1개의 주택을 지분으로 상속 및 증여 등을 받아 양도하는 경우 비과세 여부 등
-
상속세 신고기한 경과 후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등기를 하고 같은 날 상속재산을 증여하는 경우 증여세 과세대상에 해당하고 증여받은 경우 취득시기는 증여받은 날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696
[법령해석과-9]
(2018.01.02)
|
57 |
사전 |
상증 |
-
공동상속주택과 일반주택을 보유하는 자가 양도하는 공동상속주택의 비과세 여부 등
-
상속세 신고기한 경과 후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등기를 하고 같은 날 상속재산을 증여하는 경우 증여세 과세대상에 해당하고 증여재산의 취득시기는 증여받은 날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681
[법령해석과-10]
(2018.01.02)
|
58 |
사전 |
상증 |
-
모회사가 자회사의 투자사업부를 무증자 분할합병시 합병에 따른 이익증여 여부 등
-
모회사가 100% 지배하고 있는 자회사의 투자사업부를 무증자 분할합병하여 모회사의 대주주가 다른 주주로부터 얻은 이익이 없는 경우 상증법§38 적용대상에 해당하지 않으며, 상증법§42의2 적용대상도 아님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504
[법령해석과-1361]
(2017.05.23)
|
59 |
사전 |
상증 |
-
순손익가치 계산시 평가기준일 이전 1년이 되는 사업연도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56조제1항에 따른 비상장주식의 순손익가치 계산시 평가기준일이 되는 사업연도는 포함하지 아니함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698
[법령해석과-3242]
(2017.11.10)
|
60 |
사전 |
상증 |
-
공익법인이 사회적 협동조합에 출자한 경우 내국법인의 주식 등 취득 제한규정 적용여부 등
-
공익법인 등이 「협동조합기본법」 제2조제3호에 따른 사회적 협동조합에 출자한 경우는 내국법인의 의결권 있는 주식 등을 취득한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142
[법령해석과-1207]
(2018.05.02)
|
61 |
사전 |
상증 |
-
사업개시 후 3년 미만인 합병법인이 비적격 합병 직후 발행한 비상장주식 평가방법
-
사업개시 후 3년 미만인 내국법인이 합병법인이 되어 사업개시 후 3년 이상인 내국법인을 합병한 경우, 당해 합병법인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54조 제4항 제2호의 “사업개시 후 3년 미만의 법인”에 해당하는 것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367
[법령해석과-1162]
(2018.04.30)
|
62 |
사전 |
상증 |
-
순손익액을 구분할 수 없는 하나의 사업부를 양도하는 경우 영업권의 평가 방법
-
사업부별로 구분 기장한 사실이 없고 사업부별로 순손익액을 구분할 수 없는 내국법인이 하나의 사업부를 특수관계법인에게 양도하면서 상증법을 준용하여 평가하는 경우, 법인 전체 사업의 영업권을 상증법 제64조 및 상증령 제59조제2항에 따라 평가한 후 최근 3년간 가중평균한 각 사업별 매출액 비율로 안분하여 계산한 가액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254
[법령해석과-2806]
(2017.10.11)
|
63 |
사전 |
상증 |
-
순손익가치를 추정이익으로 평가할 수 있는 주요업종이 바뀐 법인의 판단기준
-
2이상의 업종을 영위하는 법인이 평가기준일 전 3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평가기준일까지의 기간 중 법인의 매출액 전체를 구성하는 특정업종의 사업부문을 타법인에게 영업양수도하고 해당 사업부문을 영위하지 않은 경우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규칙 제17조의3제1항제3호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 주요업종이 바뀐 경우에 해당하는 것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625
[법령해석과-2368]
(2017.08.22)
|
64 |
사전 |
상증 |
-
비상장주식인 상환전환우선주의 평가방법
-
보통주의 이익배당 등에 관한 내용이 다른 상환전환우선주를 발행한 경우 해당 상환전환우선주는 상증법 기본통칙 63-0…3에 따라 평가하는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399
[법령해석과-2635]
(2017.09.19)
|
65 |
사전 |
상증 |
-
3개의 가업을 상속받은 경우 가업상속공제 적용여부
-
2개 이상의 가업을 가업별 공동상속 또는 단독상속하고 공동대표 또는 단독 대표이사로 취임한 경우 가업상속공제 한도내에서 가업상속공제 적용가능(상속인의 배우자가 상속인 요건 충족한 경우도 적용 가능함)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480
[법령해석과-2841]
(2017.10.12)
|
66 |
사전 |
상증 |
-
비적격 물적분할에 따른 분할신설법인의 사업개시일
-
법인세법상 적격물적분할의 요건을 갖추지 않은 분할신설법인의 사업개시일은 분할신설법인이 처음으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을 개시한 날로 하여 사업개시 후 3년 미만 법인 여부를 판단함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374
[법령해석과-1891]
(2017.06.30)
|
67 |
사전 |
상증 |
-
사전증여재산이 있는 경우 초과배당금액에 대한 증여세액의 계산
-
초과배당금액에 대한 소득세 상당액과 비교하는 초과배당금액에 대한 증여세액은 해당 증여일 전 10년 이내에 동일인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을 합하여 계산함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436
[법령해석과-2948]
(2017.10.20)
|
68 |
사전 |
상증 |
-
최대주주와 우리사주조합원과의 특수관계 해당여부
-
본인이 30% 이상 출자하여 지배하고 있는 법인의 사용인은 본인의 특수관계자에 해당하고, 우리사주조합을 통하여 사용인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합하여 최대주주 할증평가율을 결정함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325
[법령해석과-1890]
(2017.06.30)
|
69 |
사전 |
상증 |
-
소유권이 공유로 되어 있는 재산의 물납 허가 여부
-
소유권이 공유로 되어 있는 사실만으로 관리·처분이 부적당하다고 단정할 수 없으나, 해당 재산이 이와 같은 경우 관리·처분이 부적당하여 물납이 거부되는 지는 관할 세무서장이 사실관계 등을 확인하여 판단할 사항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277
[법령해석과-1646]
(2017.06.14)
|
70 |
사전 |
상증 |
-
비상장주식의 순자산가액 계산 시 장부가액의 의미 등
-
상증령 §55①에 따른 장부가액은 취득가액에서 감가상각비를 차감한 가액을 의미하는 것이며, 법인법 §47의2에 따라 설정된 압축기장충당금은 순자산가치 평가 시 고려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641
[법령해석과-3644]
(2017.12.18)
|
71 |
사전 |
상증 |
-
공익법인이 운영하는 병원의 인건비로 지출된 금액이 직접공익목적사업에 사용한 금액인지 여부
-
공익법인이 정관에 기재되어 있는 고유목적사업인 병원 운영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인의 인건비는 직접공익목적사업에 사용한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195
[법령해석과-1514]
(2017.06.02)
|
72 |
사전 |
상증 |
-
공익법인 전용계좌를 무신고한 경우 신고기간 이내 사용대상 금액의 가산세 부과 여부
-
공익법인이 설립일로부터 3월이내에 전용계좌 개설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개설·신고하지 아니한 각 과세기간의 직접 공익목적사업과 관련한 수입금액 총액의 0.5%에 상당하는 가산세를 부과함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609
[법령해석과-2885]
(2017.10.17)
|
73 |
사전 |
상증 |
-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시 특정법인 주주에게 증여세 과세여부
-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대상 거래에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 특정법인의 주주에 대하여는 상증법§45의5에 따라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음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150
[법령해석과-1290]
(2017.05.17)
|
74 |
사전 |
상증 |
-
과세기준금액을 초과하는 감자에 따른 이익의 증여재산가액 산정 방법
-
감자를 통해 얻은 이익이 기준금액을 초과하는지 여부는 대주주등이 얻은 이익 전부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대주주 각자가 얻은 이익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569
[법령해석과-2255]
(2017.08.08)
|
75 |
사전 |
상증 |
-
동시사망으로 인하여 보험수익자의 상속인이 지급받는 보험금의 상속재산 해당 여부
-
피보험자, 보험계약자, 보험수익자, 보험료 납부자가 동시 사망으로 추정되는 경우로서 보험계약의 내용에 따라 피보험자와 보험료 납부자가 동일한 경우 지급받는 보험금은 상속재산에 해당하나, 피보험자와 보험료 납부자가 다른 경우 지급받는 보험금은 증여재산에 해당함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291
[법령해석과-1513]
(2017.06.02)
|
76 |
사전 |
상증 |
-
가업을 상속받는 상속인의 요건 중 가업에 직접 종사한 기간의 요건 충족 여부
-
상속인이 상속개시일 전에 2년 이상 가업에 종사한 경우에는 상증령 §15③2나목의 상속인 요건을 충족한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363
[법령해석과-1889]
(2017.06.30)
|
77 |
사전 |
상증 |
-
증여세 등 대납약정시 증여시기 및 증여재산공제액 계산방법
-
증여받은 재산에 대한 취득세 등을 대납하기로 증여계약을 체결한 경우 취득세 등의 증여시기는 인도일 또는 사실상의 사용일이며, 같은 날 직계존속으로부터 2 이상의 증여가 있는 경우로서 증여세를 대납하는 경우 증여재산공제는 대납액을 제외한 당초 증여분에 대한 증여세 과세가액 비율로 안분하는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053
[법령해석과-772]
(2017.03.21)
|
78 |
사전 |
상증 |
-
1개의 회계법인(세무법인)이 산정한 추정이익의 순손익가치 인정여부
-
비상장주식의 순손익가치를 평가하는 경우 1개의 회계법인 또는 세무법인이 산정한 1주당 추정이익은 1주당 추정이익의 평균가액에 포함되지 않는 것임
|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017
[법령해석과-434]
(2017.02.16)
|
79 |
사전 |
상증 |
-
조합원입주권으로 변환된 부동산의 상속재산 평가
-
상속재산의 평가는 상속개시일 현재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고, 관리처분계획인가에 따른 종전 부동산의 권리가액은 시가로 인정되는 가액에 포함되지 않음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613
[법령해석과-360]
(2017.02.07)
|
80 |
사전 |
상증 |
-
공익법인이 해산한 공익법인으로부터 승계받은 자산의 증여세 과세 여부 등
-
해산하는 공익법인으로부터 승계받은 현금으로서 공익사업과 관련된 부분은 전용계좌 사용 대상에 해당함 해산하는 공익법인이 자신이 소유하는 유가증권 등을 다른 공익법인에게 출연하는 것은 증권거래세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함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249
[법령해석과-810]
(2017.03.27)
|
81 |
사전 |
상증 |
-
코넥스시장 상장시 「상속세 및 증여세법」제41조의3 적용 여부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은 주식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날부터 5년 이내에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444
[법령해석과-252]
(2017.01.20)
|
82 |
사전 |
상증 |
-
잔여재산분배 등에 제한이 있는 보통주의 평가방법
-
「상속세 및 증여세법」 기본통칙 63-0…3【배당의 내용을 달리하는 주식을 발행한 법인의 주식평가】은 비상장법인의 주식을 포함한 유가증권 평가 전체에 적용되는 것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397
[법령해석과-164]
(2017.01.12)
|
83 |
사전 |
상증 |
-
법원의 강제조정결정에 따라 당초 상속분이 변동된 경우 증여세 과세대상 제외여부
-
증여세 과세대상에서 제외되는 상속회복청구의 소에 따른 법원의 확정판결에는 법원의 강제조정도 포함되는 것이나,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당초 상속분에 따라 등기된 경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실판단할 사항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606
[법령해석과-4340]
(2016.12.30)
|
84 |
사전 |
상증 |
-
법인기업의 가업여부 판단시 상속개시일 전 폐업한 개인기업의 사업영위기간 포함여부
-
피상속인이 같은 업종인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을 영위하다가 개인사업을 폐업하고 상속개시일 현재 상속인이 법인기업을 상속받는 경우 피상속인이 법인기업을 10년 이상 계속하여 경영하였는지 여부는 법인기업만으로 판단하는 것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600
[법령해석과-4323]
(2016.12.30)
|
85 |
사전 |
상증 |
-
건물 공동소유자만이 임대차계약이 체결된 재산의 평가 방법
-
‘임대료 등의 환산가액’을 토지와 건물 전체 기준시가로 안분한 가액과 상증법 제61조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라 평가한 가액 중 큰 금액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107
[법령해석과-2910]
(2016.09.09)
|
86 |
사전 |
상증 |
-
지정기부금단체로 지정 받기 전 출연재산에 대한 증여세 과세가액불산입 가능 여부
-
출연받은 날부터 2월여 만에 기획재정부장관으로부터 지정기부금단체로 지정을 받은 경우 증여세 과세가액에 산입하지 아니함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543
[법령해석과-4321]
(2016.12.30)
|
87 |
사전 |
상증 |
-
특정법인의 지배주주 등의 특수관계인이 특정법인에게 자금을 대여 시 적용하는 이자율
-
상증법 §45의5①3에 따른 특정법인의 지배주주 등과 특수관계에 있는 법인이 특정법인에 자금을 대여하는 경우 적정 이자율은 가중평균차입이자율(당좌대출이자율)이 되는 것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511
[법령해석과-4179]
(2016.12.22)
|
88 |
사전 |
상증 |
-
증여세가 과세된 증여재산을 반환받아 양도한 후 상속이 개시된 경우 합산대상 사전증여재산 해당 여부
-
증여세가 과세된 증여재산을 반환받아 양도한 후 상속이 개시된 경우 합산대상 사전증여재산에 해당하지 아니함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223
[법령해석과-2909]
(2016.09.09)
|
89 |
사전 |
상증 |
-
잔존합유자가 부동산에 대한 양도대가 중 일부를 10년이상 경과후 사망한 합유자의 상속인에게 지급하는 경우 증여세 과세 여부
-
지분출급채무가 소멸된 잔존합유자가 해당 부동산의 양도대가 중 일부를 사망한 합유자의 상속인에게 지급하는 경우 해당 가액은 증여재산가액에 포함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226
[법령해석과-2905]
(2016.09.09)
|
90 |
사전 |
상증 |
-
매매가액이 있는 상장주식과 신주인수권증권의 평가방법
-
평가기간내 매매가액이 있는 코스닥 상장주식의 시가는 평가기준일 이전·이후 각 2개월간 공표된 거래소 최종시세가액의 평균액임 평가기간내 매매가액이 있는 신주인수권증권은 해당 가액을 시가로 보는 것이나, 해당 가액이 객관적인 교환가격이라고 인정되지 않는 경우 보충적 평가방법에 따른 가액을 시가로 보는 것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365
[법령해석과-3059]
(2016.09.27)
|
91 |
사전 |
상증 |
-
정규직 근로자 수의 계산방법
-
가업상속공제 사후관리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정규직 근로자 수의 산정 시 소수점 이하 부분은 절사나 반올림 없이 모든 비율을 반영하는 것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005
[법령해석과-1577]
(2016.05.13)
|
92 |
사전 |
상증 |
-
잔여재산을 유사한 공익법인에 귀속시킨 후 사후에 주무관청의 허가를 득하는 경우 추징 여부
-
잔여재산을 통합하는 공익법인에 귀속시킨 이후 청산절차가 종료되기 전까지 주무관청의 허가를 얻는 경우에도 그 잔여재산에 대하여 증여세가 과세되지 아니하는 것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282
[법령해석과-2615]
(2016.08.16)
|
93 |
사전 |
상증 |
-
가업상속재산을 공동상속받은 경우 가업상속공제 가능 여부
-
1개 가업을 공동상속한 경우 대표자로 취임하는 등 가업승계 요건을 충족한 자의 승계지분에 대해 가업상속공제를 적용하는 것입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238
[법령해석과-2473]
(2016.07.29)
|
94 |
사전 |
상증 |
-
공익법인이 10% 초과하여 주식을 출연받고 성실공익법인으로 확인을 받은 후 3년내 매각시 증여세 과세여부
-
성실공익법인이 공정거래법에 따른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는 법인과 공정거래법에 따른 동일인 관련자의 관계에 있지 않는 경우 상증령 제16조 제2항 단서 후단 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음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097
[법령해석과-1159]
(2016.04.06)
|
95 |
사전 |
상증 |
-
근저당이 설정된 재산과 채무를 공동으로 증여 받은 경우 증여재산가액 산정 방법
-
「상속세 및 증여세법」제47조 제1항에 의하여 증여받은 당해 재산에 담보된 증여자의 채무를 수증자가 부담하기로 약정하여 인수한 사실이 입증되는 경우에 한하여 증여재산의 가액에서 그 채무액을 공제한 금액을 증여세 과세가액으로 하는 것임
|
사전-2015-법령해석재산-0448
[법령해석과-1479]
(2016.05.04)
|
96 |
사전 |
상증 |
-
최대주주가 계열사 직원에게 주식증여시 특수관계 해당 여부
-
출자에 의하여 지배하고 있는 법인이 아니고‚ 배우자가 설립한 비영리법인의 사용인은 본인과 특수관계에 해당하지 않음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045
[법령해석과-792]
(2016.03.15)
|
97 |
사전 |
상증 |
-
최대주주가 계열사 직원에게 주식증여시 할증평가 요건 충족 여부
-
증여자가 본인 또는 공정거래법에 따른 기업집단 소속기업을 통하여 30% 이상 출자하여 지배하고 있는 법인의 사용인은 증여자와 특수관계에 해당하는 것이며‚ 증여자 등이 최대주주 등 해당시 할증평가 적용대상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046
[법령해석과-790]
(2016.03.15)
|
98 |
사전 |
상증 |
-
최대주주가 계열사 직원에게 주식증여시 할증평가 요건 충족 여부
-
증여자가 본인 또는 공정거래법에 따른 기업집단 소속기업을 통하여 30% 이상 출자하여 지배하고 있는 법인의 사용인은 증여자와 특수관계에 해당하는 것이며‚ 증여자 등이 최대주주 등 해당시 할증평가 적용대상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041
[법령해석과-781]
(2016.03.15)
|
99 |
사전 |
상증 |
-
최대주주가 계열사 직원에게 주식증여시 할증평가 요건 충족 여부
-
증여자가 본인 또는 공정거래법에 따른 기업집단 소속기업을 통하여 30% 이상 출자하여 지배하고 있는 법인의 사용인은 증여자와 특수관계에 해당하는 것이며‚ 증여자 등이 최대주주 등 해당시 할증평가 적용대상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043
[법령해석과-795]
(2016.03.15)
|
100 |
사전 |
상증 |
-
최대주주가 계열사 직원에게 주식증여시 할증평가 요건 충족 여부
-
증여자가 본인 또는 공정거래법에 따른 기업집단 소속기업을 통하여 30% 이상 출자하여 지배하고 있는 법인의 사용인은 증여자와 특수관계에 해당하는 것이며‚ 증여자 등이 최대주주 등 해당시 할증평가 적용대상임
|
사전-2016-법령해석재산-0047
[법령해석과-794]
(2016.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