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메뉴

질의회신

[��������������������� : 9,033 건 검색]

국세기본법
번호 종류 세목 제목 및 요지 문서번호
501 질의 조특
관계기업에 대한 중소기업 판단
관계기업에 속하는 법인으로서「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2014.4.14. 대통령령 제253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의4에 따라 산정한 자본금이 같은 법 시행령 별표1의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법인은「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2015.2.3. 대통령령 제2607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서면-2018-법인-0666
[법인세과-1242]
(2018.05.24)
502 질의 조특
정비사업조합 설립인가등의 취소에 따른 채권의 손금산입 요건
「조세특례제한법」제104조의26제1항제2호의 채권을 전부 포기하는 경우란 시공자등이 과세표준 신고와 함께「조세특례제한법시행령」제104조의23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는 채권의 포기에 관한 확인서를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제출한 경우를 의미하는 것임
서면-2017-법인-0294
[법인세과-1042]
(2018.05.03)
503 질의 조특
선박 취득에 따른 중소기업 등 투자세액공제 적용
중소기업 등 투자세액 공제 적용시 수도권과밀억제권역에 있는 해당 사업장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취득하는 사업용 고정자산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법인의 본점이 소재한 지역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임
서면-2018-법인-1034
[법인세과-1032]
(2018.05.01)
504 질의 조특
특정 환자의 치료제로 사용할 의약품의 부가가치세 면제여부
사업자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허가를 받은 의약품인 발작성 야간 헤모글로빈뇨증 환자의 치료에 사용할 치료제를 공급하는 경우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것임
서면-2018-법령해석부가-0760
[법령해석과-1171]
(2018.05.01)
505 질의 조특
오피스텔을 주거용으로 분양하는 경우 과․면세 여부
국민주택 공급에 대한 면세여부 판정에 있어 국민주택은 주택법에 따른 주택에 한정하는 것으로, 주택법에 근거하지 않은 오피스텔의 경우 면세되는 주택에 해당하지 않음
서면-2018-부가-1084
[부가가치세과-905]
(2018.04.27)
506 질의 조특
지주회사의 설립 등에 대한 과세특례
현물출자 등을 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다음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2년을 경과하여 지주회사 제외 신고를 함에 따라 지주회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취득한 주식의 장부가액과 현물출자 등을 한 날 현재의 시가와 차액은 일시 익금 산입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서면-2018-법인-0001
[법인세과-914]
(2018.04.17)
507 질의 조특
금사업자와 스크랩등 사업자의 수입금액 증가 등에 대한 세액공제
“매입자 납부 익금 및 손금을 합친 금액”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06조의4 또는 제106조의9에 따른 금거래계좌나 스크랩등거래계좌를 사용하여 결제하거나 결제받은 익금과 손금을 합계한 금액을 말하는 것임
서면-2018-법인-0657
[법인세과-915]
(2018.04.17)
508 질의 조특
내국법인의 금융채무 상환을 위한 자산매각에 대한 과세특례
「조세특례제한법」제121조의26제1항을 적용하는 경우 익금산입을 이연하는 금액은 “금융채무 상환액”이 아니라, 해당 자산을 양도함으로써 발생하는 양도차익 중 동법 시행령 제116조의30제5항에 따라 산정한 “양도차익상당액”임
서면-2018-법인-0290
[법인세과-913]
(2018.04.17)
509 질의 조특
소기업 범위에 대한 경과조치 적용 여부
개정규정 시행일이 속하는 직전 과세연도에 종전규정에 따라 소기업에 해당하지 않는 법인은 소기업 범위에 대한 경과조치 적용 대상에 해당하지 않음
서면-2017-법령해석법인-1081
[법령해석과-926]
(2018.04.10)
510 질의 조특
공익사업을 위한 수용 등에 따른 공장이전에 대한 과세특례 적용 여부
공익사업을 위한 수용 등에 따른 공장 이전에 대한 과세특례를 적용 받은 법인이 공장 이전 후 업종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특례를 계속 적용 받을 수 있는 것임
서면-2018-법인-0196
[법인세과-799]
(2018.04.09)
511 질의 조특
사회적기업에 대한 법인세 감면 기간 확대 적용 여부
2013.1.1.「조세특례제한법」 제85조의6 사회적기업 및 장애인 표준사업장에 대한 법인세 감면 개정 규정은 2013.1.1. 이후 인증받은 사회적기업 및 인정받은 장애인 표준사업장부터 적용하는 것임
서면-2017-법인-1301
[법인세과-800]
(2018.04.09)
512 질의 조특
소기업 유예기간 경과조치 적용 방법
소기업 유예기간에 대한 경과조치는 2016과세연도에 종전규정에 따라 소기업에 해당하더라도 개정규정에 따라 소기업에 해당하지 않는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2015과세연도에 소기업에 해당하여야 적용할 수 있음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266
[기획재정부조세특례제도과-266]
(2018.04.06)
513 질의 조특
중소기업 유예기간 중 독립성 요건을 위배한 경우 유예기간 계속 적용 여부
중소기업 유예기간을 적용받는 기업은 유예기간 중 독립성 요건을 위배한 경우에도 유예기간을 계속 적용하는 것임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264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264]
(2018.04.06)
514 질의 조특
농업회사법인의 법인세 감면 대상 소득의 범위
농업회사법인이 농산물을 재배 후 이를 가공하여 발생하는 소득은 「조세특례제한법」 제68조 제1항의 감면대상소득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임
서면-2017-법인-2294
[법인세과-719]
(2018.03.28)
515 질의 조특
법인전환에 따른 창업 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 적용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을 적용받던 거주자가 하던 사업을 법인전환 요건을 충족하여 중소기업 법인으로 전환하는 경우, 해당 중소기업 법인은 개인 기업의 남은 감면기간에 대하여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을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서면-2017-법인-3365
[법인세과-641]
(2018.03.20)
516 질의 조특
시제품 제작 관련비용의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대상 여부 외
제조업을 영위하는 내국인이 기술개발활동을 위하여 연구개발 전담부서에서 지출하는 인건비, 부품ㆍ원재료비 등의 비용은 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의 규정에 의한 연구 및 인력개발비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서면-2017-법인-2852
[법인세과-550]
(2018.03.12)
517 질의 조특
정규직 전환에 따른 세액공제 후 퇴직 시 추징 여부
정규직 근로자로의 전환을 한 날부터 2년이 지나기 전에 해당 정규직 근로자와의 근로관계를 끝내는 경우, 근로관계가 끝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에 당초 공제받은 세액상당액에 이자상당액을 가산하여 법인세로 납부하여야 함
서면-2018-법인-0468
[법인세과-549]
(2018.03.12)
518 질의 조특
수도권과밀억제권역 밖 이전 후 구공장을 임대하는 경우 세액감면 해당 여부 외
수도권과밀억제권역에서 공장시설을 갖추고 2년 이상 계속하여 조업한 중소기업이 수도권과밀억제권역 밖으로 공장시설을 전부 이전한 후 이전일로부터 1년 이내에 구공장의 공장시설 전부를 철거 또는 폐쇄하여 당해 공장시설에 의한 조업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구공장을 임대한 경우에도 적용하는 것입
서면-2017-법인-3079
[법인세과-414]
(2018.02.20)
519 질의 조특
연구ㆍ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시 자체연구개발과 수탁연구개발 비용의 안분계산
연구개발 전담부서에서 자체연구개발과 수탁연구개발을 함께 수행하는 자의 인건비는 연구개발 수행기간ㆍ시간 등 합리적인 방법으로 안분계산하는 것임
서면-2016-법인-5365
[법인세과-415]
(2018.02.20)
520 질의 조특
중소기업 범위 판단 시 매출액 기준 판단 시점
'17.2.7.「조세특례제한법(이하 “조특법”이라 한다) 시행령」제2조제1항이 개정됨에 따라 중소기업 여부 판단 시 매출액 기준 판단 시점은 당해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임
서면-2017-법인-2335
[법인세과-385]
(2018.02.14)
521 질의 조특
문화접대비 해당 여부
내국법인이 상품권을 취득하여 접대비로 사용하는 경우로서, 동 상품권이 이용약관상 현금환불이 불가능하고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130조 제5항의 문화비로만 사용이 가능한 경우 문화접대비에 해당하는 것임
서면-2016-법인-4462
[법인세과-335]
(2018.02.09)
522 질의 조특
세액감면 중복지원 배제 해당 여부
조세특례제한법 제127조(중복지원의 배제) 규정은 동일한 과세연도 내에서는 각 조세감면규정간의 중복적용이 배제되나, 각 과세연도를 달리해서는 중복지원으로 배제되지 않는 것임
서면-2017-법인-0363
[법인세과-239]
(2018.01.31)
523 질의 조특
에너지절약시설 투자세액공제 대상의 범위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제13조의2 제1항 별표8의3의 집단에너지시설은 「집단에너지사업법」 규정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사업허가를 받은 자의 집단에너지공급시설로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승인을 득한 시설을 의미함
서면-2017-법인-2847
[법인세과-213]
(2018.01.26)
524 질의 조특
창업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의 월수 계산시 창업일의 의미
「조세특례제한법」 제30조의2(2006.12.30. 법률 제8146호로 개정되기 전) 제3항 규정의 창업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의 월수의 적용에 있어 법인의 창업일은 법인설립등기일을 말하는 것임
서면-2017-법인-3045
[법인세과-208]
(2018.01.25)
525 질의 조특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대상 직무발명보상금 여부
「발명진흥법」에 따른 직무발명보상금을 종업원에게 지출하는 경우 해당 지출액은「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별표6 의 1.연구개발 라목에 따라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를 적용받는 비용에 포함되는 것임
서면-2017-법인-1724
[법인세과-209]
(2018.01.25)
526 질의 조특
법인의 공장 및 본사의 수도권 밖 이전에 따른 법인세 감면 시 근무인원 계산 방법
법인 본사의 수도권 밖 이전에 따른 법인세 감면대상 소득을 산출함에 있어 ‘이전본사 근무인원’은 수도권 밖으로 이전한 본사에서 본사 업무에 종사하는 상시 근무인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임
서면-2017-법인-2466
[법인세과-3492]
(2017.12.19)
527 질의 조특
영농조합법인의 조합원이 받는 의제배당소득에 대한 조세특례적용 여부 및 과세방법
영농조합법인의 출자자인 조합원이 해산으로 인하여 받는 의제배당소득은「조세특례제한법」제66조의 과세특례를 적용함
서면-2017-소득-2470
[소득세과-1828]
(2017.12.14)
528 질의 조특
사업연도 중 연구전담요원에서 제외되는 경우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대상 인건비 산정방법
임원이자 연구전담요원인 자가 사업연도 중 회사의 주식을 10% 초과 취득하여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대상 전담요원에서 제외되는 경우
- 제외 사유 발생일 이전까지의 인건비는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대상인지 여부
서면-2017-법인-2477
[법인세과-3383]
(2017.12.08)
529 질의 조특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밖 이전 후 재이전 시 감면세액 추징대상 여부법
「조세특례제한법」제63조에 따라 수도권과밀억제권역 밖 지역이전 중소기업에 대한 세액감면을 적용받던 중 공장을 일부 임대하거나 동일한 과밀억제권역 밖 지역으로 이전 시 당초 감면받은 세액을 추가납부하여야 하는지 여부
서면-2017-법인-0903
[법인세과-3382]
(2017.12.08)
530 질의 조특
주주인 임원의 전담부서 근무인원에 포함 여부
임원이 아닌 주주(총발행주식의 10%를 초과하여 소유)의 배우자이면서 출자임원인 연구원이 「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의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적용 시 같은 법 시행규칙 제7조 제3항에 따른 전담부서에서 근무하는 직원에서 제외되는지 여부
서면-2017-법인-2178
[법인세과-3278]
(2017.11.29)
531 질의 조특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 대상 업종 여부
질의법인이 영위하는 뉴스 및 기사 제공, 주간지 등 광고게재 등에서 발생하는 매출이 「조세특례제한법」 제7조【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및 같은 법 시행령 제6조 제6항의 지식기반산업 세액감면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
서면-2017-법인-1902
[법인세과-3277]
(2017.11.29)
532 질의 조특
중소기업 유예기간이 종료된 지방이전 법인의 세액감면 계속 적용여부
지방이전 법인으로 조세특례제한법 제63조 제1항에 따라 감면을 받고 있는 법인이 규모의 확대로 중소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같은 법 제63조 제1항에 따른 감면을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서면-2017-법인-2323
[법인세과-3219]
(2017.11.22)
533 질의 조특
지역농협이 계상한 교육지원비용의 접대비 또는 기부금 시부인 대상 여부
조합법인이 법령 또는 정관에 규정된 설립목적을 직접 수행하는 사업(비수익사업)을 위해 지출하는 금액은 기부금 또는 접대비로 보지 않는 것임
서면-2017-법인-1521
[법인세과-3220]
(2017.11.22)
534 질의 조특
상생결제제도의 최초 구매기업이 중소기업인 경우 상생결제 지급금액에 대한 세액공제 가능 여부
「조세특례제한법」 제7조의4 제1항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최초 구매기업인 중소기업이 상생결제제도를 통해 판매기업인 중소기업에게 구매대금을 지급하는 경우 동법 제7조의4에 따른 상생결제 지급금액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서면-2017-법인-1360
[법인세과-3218]
(2017.11.22)
535 질의 조특
법인전환에 따른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사후관리시 처분주식의 취득시기
취득시기가 다른 자산 중 일부를 증여하는 경우 먼저 취득한 재산부터 먼저 증여한 것으로 보는 것이며, 취득시기가 동일한 자산 중 일부를 증여 또는 양도하는 경우에는 자산의 보유비율대로 양도 또는 증여되었다고 보는 것임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741
(2017.10.29)
536 질의 조특
면세판매자가 다른 면세판매자를 통해 면세물품을 위탁판매 시 영세율 적용 여부
면세판매장을 경영하는 사업자(위탁자)가 다른 장소에서 면세판매장을 경영하는 사업자(수탁자)와 위탁판매계약에 따라 수탁자의 면세판매장에서 위탁판매하는 경우 위탁자에게 영세율을 적용하는 것임
서면-2016-법령해석부가-4507
[법령해석과-2134]
(2017.10.27)
537 질의 조특
법인전환에 대한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사후관리 시 주식 등의 50% 이상 처분의 기준
법인전환으로 취득한 주식의 50%이상을 처분하였는지 여부는 출자한 주주 각자의 보유주식수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임
서면-2017-법령해석재산-1453
[법령해석과-3102]
(2017.10.27)
538 질의 조특
면세판매자가 다른 면세판매자를 통해 물품을 위탁판매하는 경우 영세율 적용 여부
면세판매장을 경영하는 사업자(위탁자)가 다른 장소에서 면세판매장을 경영하는 사업자(수탁자)와 위탁판매계약에 따라 수탁자의 면세판매장에서 면세물품을 위탁판매하는 경우 위탁자에게 부가가치세 영세율을 적용하는 것임
기획재정부 부가가치세제과-546
(2017.10.26)
539 질의 조특
본점명의 스크랩등거래계좌 사용 시 가산세 등 적용 여부
지점사업장에서 매입한 스크랩 등의 가액 및 부가가치세액을 그 공급을 받은 때나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은 때에 본점사업장 명의로 개설한 스크랩 등 거래계좌를 사용하여 입금한 경우에는 같은 조 제5항 규정의 부가가치세액의 미입금에 따른 매입세액 불공제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기획재정부 부가가치세제과-506
(2017.10.10)
540 질의 조특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여부
의약외품 제조 및 품질관리 개선시설에 투자하는 금액은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서면-2016-법령해석법인-3156
[법령해석과-2747]
(2017.09.29)
541 질의 조특
양수인이 기업형임대사업자로 등록할 수 없는 경우 양도소득세 과세특례 적용 여부
거주자가 토지를 양도할 당시 양수자에 해당하는 주택건설사업자인 일반임대주택사업자가 관련 법률 등에 따라 기업형임대사업자로 등록할 수 없는 경우 양도하는 토지에 대하여 「조세특례제한법」제97조의7에 따른 양도소득세 과세특례를 적용받을 수 없음
서면-2016-법령해석재산-5753
[법령해석과-2768]
(2017.09.29)
542 질의 조특
오피스텔 양도시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및 과세전환시 매입세액공제 여부
오피스텔을 신축․취득하여 상시 주거용으로 임대하다가 양도하는 경우에는 면세사업과 관련된 일시적․우발적 공급으로 부가가치세가 면제됨
서면-2017-부가-0607
[부가가치세과-2311]
(2017.09.28)
543 질의 조특
기업형임대사업자로 미등록한 사업자에게 토지를 양도한 경우 과세특례
거주자가 토지를 양도할 당시 양수자에 해당하는 주택건설사업자인 일반임대주택사업자가 관련 법률 등에 따라 기업형임대사업자로 등록할 수 없는 경우 양도하는 토지에 대하여 「조세특례제한법」제97조의7에 따른 양도소득세 과세특례를 적용받을 수 없음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660
(2017.09.26)
544 질의 조특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 여부
의약외품 제조 및 품질관리 개선시설에 투자하는 금액은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722
(2017.09.25)
545 질의 조특
분할존속법인의 연구인력개발비세액공제 적용 방법
분할존속법인의 ‘해당 과세연도 개시일부터 소급하여 4년간 발생한 연구·인력개발비’는 우선 분할신설법인에게 귀속될 금액을 계산(월할계산)한 후 총발생액에서 분할신설법인에게 귀속될 금액을 차감하여 계산하는 것임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724
[기획재정부조세특례제도과-724]
(2017.09.25)
546 질의 조특
발전소 내 직영 구내식당에서 임직원에게 제공하는 음식용역의 부가가치세 면제 여부
발전소 내 직영 구내식당에서 임직원에게 직접 제공하는 음식용역은 조특법 제106조제1항제2의 규정에 따른 부가가치세 면제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함
기획재정부 부가가치세제과-476
(2017.09.19)
547 질의 조특
공장의 대도시 밖 이전에 대한 법인세 과세특례 대상 범위
기존 보유 부지에 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는 경우 새로이 취득하는 지방공장의 가액은 대도시공장 양도일로부터 사업개시일까지 기간 중에 동일한 업종을 영위하기 위해 취득·증설에 소요된 금액을 포함하되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토지가액은 제외하는 것임
서면-2016-법인-4409
[법인세과-2516]
(2017.09.18)
548 질의 조특
공장 및 본사의 지방이전에 따른 감면대상 소득 계산 방법
본사지방이전 세액감면을 적용함에 있어「조세특례제한법」제63조의2 제2항 제1호의 “그 공장에서 발생하는 소득”이란 이전 전의 공장에서 발생한 소득은 포함하지 아니하는 것이며, 이전한 공장의 이전 전·후의 소득에 대하여는 같은 법 제143조의 규정에 의하여 구분경리 하여야 하는 것임
서면-2017-법인-0669
[법인세과-2517]
(2017.09.18)
549 질의 조특
영농조합법인에 대한 감면소득의 범위
「조세특례제한법」 제66조제1항에 따라 법인세를 일부 면제하는 “작물재배업에서 발생하는 소득 외의 소득”에는 영농조합법인이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농어촌 관광휴양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음식ㆍ숙박업을 영위하여 발생하는 소득은 포함되지 않는 것임
서면-2017-법인-0255
[법인세과-2515]
(2017.09.18)
550 질의 조특
연구전담요원의 법인전체 근무인원 포함 여부
“법인전체 근무인원”은 법인 전체의 상시근무인원의 연평균인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법인의 업무에 상시적으로 종사하는 “부설연구소의 연구전담요원”은 법인전체 근무인원에 포함되는 것임
서면-2015-법령해석법인-2321
[법령해석과-2571]
(2017.09.14)
551 질의 조특
연구전담요원의 ‘법인전체 근무인원’ 해당 여부
“법인전체 근무인원”은 법인 전체의 상시근무인원의 연평균인원을 의미하는 것으로“부설연구소의 연구전담요원”은 법인전체 근무인원에 포함되는 것임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699
[기획재정부조세특례제도과-699]
(2017.09.12)
552 질의 조특
제주투자진흥지구내에서 운영하는 휴양콘도미니엄업의 감면대상 여부 등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116조의15제1항제1호에 따른 감면사업을 경영하기 위해 제주투자진흥지구내에서 운영하는 휴양콘도미니엄업은 감면대상에 해당함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697
[기획재정부조세특례제도과-697]
(2017.09.11)
553 질의 조특
중소기업 실질적 독립성 요건 충족 여부
“평균매출액등이 별표1의 기준에 맞지 아니하는 기업”은 “매출액이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2조제1항제1호에 따른 중소기업기준에 맞지 아니하는 기업”으로 보는 것임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695
[기획재정부조세특례제도과-695]
(2017.09.11)
554 질의 조특
제3자물류비용 세액공제 대상 물류비의 범위
물류비용은 판매가 확정되어 물자의 이동이 개시되는 시점부터 소비자에게 인도 또는 반품되거나 재사용 또는 폐기까지의 물류활동에 따른 비용을 말하는 것임
서면-2014-법인-21855
[법인세과-2383]
(2017.09.05)
555 질의 조특
주주인 임원에게 지급한 직무발명보상금의 연구·인력개발비 해당 여부
내국법인이 직무발명보상금을 주주인 임원에게 지출하는 경우 해당 지출액은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를 적용받는 비용에 포함되는 것이나 직무발명보상금과 관련하여 해당 주주인 임원의 발명한 행위가 법인의 업무 범위 및 해당 주주인 임원의 과거 또는 현재의 직무에 속하는지, 법인에게 이익이 발생하여 그 일부를 보상한 것인지 등은 사실판단할 사항임
서면-2016-법인-5678
[법인세과-2359]
(2017.09.04)
556 질의 조특
수도권과밀억제권역 밖으로 공장이전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세액감면 해당여부
지방이전 중소기업 세액감면은 수도권과밀억제권역에서 공장시설을 갖추고 2년 이상 계속하여 조업한 중소기업이 수도권과밀억제권역 밖으로 공장시설을 전부 이전한 후 이전일로부터 1년 이내에 구공장의 공장시설 전부를 철거 또는 폐쇄하여 당해 공장시설에 의한 조업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구공장을 임대한 경우에도 적용하는 것임
서면-2016-법인-4582
[법인세과-2358]
(2017.09.04)
557 질의 조특
여러 업종에 공동으로 사용되는 자산의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 적용방법
공동으로 사용되는 사업용자산을 취득한 경우에는 해당 사업용자산은 그 자산을 주로 사용하는 사업의 사업용자산으로 본다.
서면-2016-법인-2882
[법인세과-2384]
(2017.09.04)
558 질의 조특
작물재배업 해당 여부
농업회사법인이 원원종을 개발 · 재배하여 원종을 생산한 후 이를 국내 · 외에 위탁하여 채종한 나종자를 가공하여 생산한 상품종자를 판매함으로써 얻은 소득은 농업소득에 해당하는 것임
기획재정부 법인세제과-1014
[기획재정부법인세제과-1014]
(2017.08.24)
559 질의 조특
분양권을 취득하고 준공공임대주택등으로 등록한 경우 「조세특례제한법」제97조의5 적용 여부
2017.12.31. 이전 분양권을 승계 취득하고, 아파트가 완공된 후 3개월 이내에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준공공임대주택등으로 등록할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제97조의5 제1항에 따른 양도소득세 감면 대상에 해당하는 것임
서면-2016-법령해석재산-5746
[법령해석과-2193]
(2017.07.28)
560 질의 조특
농약 살포용으로 사용되는 드론이 영세율 적용 또는 환급대상 기자재에 해당하는지 여부
농약 살포용으로 사용되는 드론은 농림특례규정 제3조 제3항 및〔별표 1〕제19호에 따른 영세율이 적용되는 농업기계인 농업용 병충해방제기에 해당하는 것임
서면-2017-법령해석부가-1202
[법령해석과-2134]
(2017.07.24)
561 질의 조특
농약 살포용으로 사용되는 드론의 영세율 적용 여부
농약 살포용으로 사용되는 드론은 농림특례규정에 따라 영세율이 적용되는 농업기계인 농업용 병충해방제기에 해당하는 것임
기획재정부 부가가치세제과-366
(2017.07.20)
562 질의 조특
공장 및 본사 수도권 밖 이전 감면 적용 시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과세연도의 의미
본사 수도권 밖 이전 감면 적용 시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과세연도를 판단할 때 그 소득은 본사 수도권 밖 이전 감면대상소득을 의미함
서면-2016-법령해석법인-5259
[법령해석과-2036]
(2017.07.14)
563 질의 조특
관광호텔 내에서 운영하는 예식장 관련 수입 등이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대상 업종인지 여부
관광사업 업종은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 대상 업종에 해당하나 관광호텔 내 예식장 등의 관광사업 해당 여부는 「관광진흥법」에 따라 판단할 사항임
서면-2016-법인-3560
[법인세과-1720]
(2017.06.29)
564 질의 조특
농업회사법인에 대한 법인세 감면대상 업종 여부
영농조합법인 또는 농업회사법인의 법인세가 면제되는 업종인 “작물재배업”은「통계법」제22조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업종분류에 따르는 것임
서면-2016-법인-4894
[법인세과-1719]
(2017.06.29)
565 질의 조특
조특령 §66⑭에 따른 3,700만원 규정을 적용할 때 귀속자 불분명하여 대표자 상여 처분된 금액 포함여부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66조제14항(2014.02.21. 대통령령 제25211호로 개정된 것)에서 “총급여액의 합계액”에는 「소득세법」제20조제1항제3호에 해당하는 상여로 처분된 금액이 포함되는 것임
서면-2016-법령해석재산-5391
[법령해석과-1733]
(2017.06.22)
566 질의 조특
주거용 오피스텔 분양시 부가가치세 과면세 여부
조세특례제한법」제106조제1항제4호에 따라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국민주택은「주택법」에 따른 국민주택 규모 이하의 주택을 말하는 것으로「주택법」에 따른 주택에 해당하지 않는 건축물에 대하여는 면세를 적용할 수 없는 것임
서면-2017-부가-0979
[부가가치세과-1382]
(2017.05.31)
567 질의 조특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 대상 업종 여부
질의법인이 영위하는 신문판매, 신문지면 광고게재 등에서 발생하는 매출이 「조세특례제한법」 제7조【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및 같은 법 시행령 제6조 제6항의 지식기반산업 세액감면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
서면-2016-법인-5369
[법인세과-1311]
(2017.05.23)
568 질의 조특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 대상 업종 여부
개발된 프로그램을 매입하여 거래처 등에 설치 후 유지보수하는 업종이「조세특례제한법」제7조【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및 같은 법 시행령 제6조 제6항의 지식기반산업 세액감면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
서면-2017-법인-0771
[법인세과-1313]
(2017.05.23)
569 질의 조특
중견기업 판정 시 관계기업의 매출액 합산 여부
중견기업 판정시 ‘직전 3개 과세연도의 매출액의 평균금액’에는 관계기업에 속하는 기업의 매출액은 합산하지 아니함
서면-2017-법인-0965
[법인세과-1312]
(2017.05.23)
570 질의 조특
커피 제조머신 등의 중소기업 등 투자세액공제 대상 사업용자산 여부
음식점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이 사업에 직접 사용하기 위하여 투자하는 커피 제조머신, 제빙기, 오븐 등 주방장비와 냉장쇼케이스 등 비품이 「조세특례제한법」 제5조의 ‘중소기업 등 투자세액공제’ 적용 사업용자산에 해당하는지 여부
서면-2017-법인-0105
[법인세과-1310]
(2017.05.23)
571 질의 조특
Mask 제작을 위한 외주가공비가 연구·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 대상에 해당하는 지 여부
내국법인의 전담부서등에 근무하는 연구전담요원이 반도체칩 개발을 위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Mask”제작을 위한 외주가공비는 「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에 규정된 연구·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 대상에 해당하는 것임
서면-2015-법인-2530
[법인세과-112]
(2017.05.11)
572 질의 조특
신축주택 등을 분양받은 후 배우자에게 분양권의 2분의 1 증여 시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2 적용 여부
조특법 §99의2에 따른 신축주택을 분양받은 거주자가 분양권 상태에서 해당 신축주택의 지분 2분의 1을 배우자에게 증여하여 신축주택을 공동으로 취득하는 경우 배우자에게 증여한 지분 2분의 1은 과세특례 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함
서면-2016-법령해석재산-5311
[법령해석과-1181]
(2017.05.01)
573 질의 조특
근로자복지증진을 위한 시설투자의 세액공제 대상 범위
일반 상업용 건물 중 일부를 근로자 휴게실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제94조의 제5항의 계산방법을 준용하여 근로자복지증진시설투자에 대한 공제세액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서면-2016-법인-4981
[법인세과-1119]
(2017.05.01)
574 질의 조특
근로자복지증진을 위한 시설투자의 세액공제 대상 범위
일반 상업용 건물 중 일부를 근로자 휴게실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제94조의 제5항의 계산방법을 준용하여 근로자복지증진시설투자에 대한 공제세액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서면-2016-법인-4981
[법인세과-1119]
(2017.05.01)
575 질의 조특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적용 여부
해산하는 법인의 대표이사가 수도권과밀억제권역 외의 지역에 제조업을 영위하는 법인을 종전사업의 승계 또는 종전 자산의 인수에 의하지 않고 새로이 설립하는 경우 신설 법인은 「조세특례제한법」 제6조에 따라 ‘창업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을 적용받을 수 있음
서면-2016-법인-6031
[법인세과-1118]
(2017.05.01)
576 질의 조특
법인전환에 대한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사후관리 시 현물출자한 자산의 50%이상 처분의 기준에 대한 회신
2명 이상으로부터 사업용 고정자산을 현물출자아 법인을 설립한 경우, 승계받은 사업을 폐지하였는지 여부는 설립된 법인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임
서면-2016-법령해석재산-4862
[법령해석과-1063]
(2017.04.19)
577 질의 조특
농업회사법인의 농업소득 외 소득 해당 여부
농업회사법인이 다른 업체에서 구입한 계란, 병아리의 판매와 액란(외부에서 계란을 구입하여 가공)의 판매에서 발생한 소득은 ‘농업소득 외 소득’에 해당하는 것임
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121
[기획재정부금융세제과-121]
(2017.04.11)
578 질의 조특
전환법인에 현물출자하여 이월과세 적용 후 전환법인이 합병으로 소멸하는 경우 사업의 폐지 해당 여부
임차법인인 을법인이 임대법인인 갑법인을 흡수합병 후 갑법인의 임대사업장을 을법인이 자가사용하는 것은 이월과세 사후관리 위반에 해당하지 아니함
서면-2016-법령해석재산-3439
[법령해석과-855]
(2017.03.30)
579 질의 조특
복식부기의무자가 종합소득 과세표준 및 세액을 추계하여 신고한 경우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이 배제되는 것인지 여부
복식부기의무자가 종합소득 과세표준 및 세액을 추계하여 신고한 경우 「조세특례제한법」제128조제2항에 따라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이 배제되는 것임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335
(2017.03.27)
580 질의 조특
중소기업 유예기간 적용시기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2조 제1항 각호 외의 부분단서에 해당되어 중소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때에는 최초로 그 사유가 발생한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와 그 다음 3개 과세연도까지는 이를 중소기업으로 보고, 동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과세연도별로 같은령 제2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 중소기업 여부를 판정하는 것임
서면-2016-법인-5096
[법인세과-759]
(2017.03.24)
581 질의 조특
창업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 적용대상 제조업 해당 여부
「조세특례제한법」 제6조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 자기가 직접 제품을 제조하지 아니하고 제조업체에 의뢰하여 제조하는 사업으로서 구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2017.3.17.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1항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제조업으로 보아 창업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을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서면-2017-소득-0523
[소득세과-518]
(2017.03.22)
582 질의 조특
공공기관 본사의 수도권 밖 이전에 따른 법인세 감면 여부
이전공공기관이 본사를 수도권 밖으로 이전하는 경우 부동산업 및 건설업과 직접 관련하여 발생하는 토지 및 건물의 양도에 따른 소득금액은 감면대상소득에 해당함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306
[기획재정부조세특례제도과-306]
(2017.03.16)
583 질의 조특
사회적기업에 대한 법인세 감면의 적용 시기
「조세특례제한법」 제85조의6 제1항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인증’은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2조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보는 사업부문 또는 법인에 대해 당초 인증한 날에 따르는 것임
서면-2016-법인-5372
[법인세과-635]
(2017.03.13)
584 질의 조특
거주자가 하던 사업을 농업회사법인으로 전환 시 감면기산일
거주자가 하던 사업을 현물출자를 통해 농업회사법인으로 전환하여, 작물재배업에서 발생하는 소득 외의 부대사업등 소득에 대해 법인세를 감면받는 경우 감면기간의 기산은 농업회사법인으로 전환 후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사업연도를 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임
서면-2016-법인-5972
[법인세과-591]
(2017.03.08)
585 질의 조특
반도체 웨이퍼 운반용 장비의 생산성향상시설 투자세액공제 대상 여부
운수업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중소기업이 바퀴와 웨이퍼 적재 부분으로 이루어져 반도체 공장 내에서 반도체 웨이퍼를 운반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웨이퍼 운반용 장비는 생산성향상시설 투자 등에 대한 세액공제 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함
서면-2016-법령해석법인-3469
[법령해석과-620]
(2017.03.07)
586 질의 조특
소기업·소상공인 공제부금에 대한 소득공제 적용방법
법인의 대표자로서 2016.1.1.이후에「조세특례제한법」제86조의3제1항이 정하는 소기업·소상공인공제에 가입하여 납부하는 공제부금에 대해서는 해당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위 같은 조 같은 항에 따라 근로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할 수가 있음
서면-2016-소득-6247
[소득세과-315]
(2017.02.17)
587 질의 조특
개발품에 대해 일정 대가를 수수하는 경우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가능 여부
납품업체가 자체연구개발에 따른 특허권 등을 소유?사용하면서 납품조건을 충족시키는 개발품(시제품)만을 공급하고 받은 대가는 연구·인력개발비에 해당하는 비용에서 차감하지 아니하는 것임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177
[기획재정부조세특례제도과-177]
(2017.02.09)
588 질의 조특
장기임대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과세특례의 주택의 임대를 개시한 날
「조세특례제한법시행령」제97조 제3항에 의거 임대주택의 소재지 관할세무서장에게 주택의 임대를 개시한 날부터 3개월이내에 주택임대신고서를 제출하는 경우 주택의 임대를 개시한 날은 최초 주택임대 개시일을 말하는 것임
서면-2016-부동산-5777
[부동산납세과-139]
(2017.02.07)
589 질의 조특
경형자동차 유류세 환급 대상 여부
경형승용차 1대를 소유한 세대가 개인택시 승용차 1대를 동시에 소유하는 경우 유류세 환급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함
기획재정부 환경에너지세제과-49
(2017.01.26)
590 질의 조특
사업성이 인정되는 소득에「조세특례제한법」제97조의4 적용 여부
「조세특례제한법」제97조의4는 장기임대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과세특례제도로 사업소득에는 적용되지 아니하는 것임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53
(2017.01.23)
591 질의 조특
자산총액 5천억원 이상인 비영리법인이 기업의 주식을 30% 이상 소유한 경우 독립성기준 위배 여부 회신
자산총액이 5천억원 이상인 비영리법인이 기업의 주식을 30% 이상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소유하는 경우, 해당 자회사는 실질적인 독립성 기준에 위배되지 않는 것임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56
(2017.01.12)
592 질의 조특
신설분할합병이 현물출자 과세특례 적용 대상 분할에 해당하는지 여부
조특법 38조의2 제2항에 따라 지주회사로 전환환 내국법인에 주식을 현물출자한 경우 주식양도차익을 과세이연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조특법 38조의2 제2항에서 규정한 분할은 분할합병을 포함함
서면-2016-법인-6014
[법인세과-102]
(2017.01.11)
593 질의 조특
벤처기업이 일반기업에 흡수 합병된 이후 합병신주 양도 시 과세특례 적용 여부
벤처기업 주식을 취득하여 보유기간 요건을 충족한 이후 벤처기업이 벤처기업이 아닌 다른 기업에 흡수합병되어 취득한 합병신주를 양도하는 경우 합병구주의 양도차익 상당액에 대해서는 과세특례가 적용되는 것임
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11
(2017.01.11)
594 질의 조특
시제품 제작 관련 비용의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대상 범위
전담부서에서 연구용으로 사용하는 견본품·부품·원재료와 시약류구입비(시범제작에 소요되는 외주가공비를 포함한다)에는 해당 법인이 자체 제작한 견본품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이 경우 취득가액은 「법인세법 시행령」 제72조를 준용하여 산정함
서면-2016-법령해석법인-4937
[법령해석과-145]
(2017.01.11)
595 질의 조특
관계기업으로 중소기업에서 제외된 기업의 매출액이 감소한 경우 중소기업 유예기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
1. 2012.1.1. 이후 관계기업으로 독립성 기준을 위배하여 중소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경우, 중소기업 유예기간을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2. 중소기업 유예기간은 최초 1회에 한하여 적용하는 것임
서면-2015-법인-2390
[법인세과-107]
(2017.01.11)
596 질의 조특
내국법인이 소유한 부동산 양도를 부동산매매업으로 보아 중소기업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지 여부
내국인이 2 이상의 서로 다른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사업별 수입금액이 가장 큰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보는 것임
서면-2016-법인-4646
[법인세과-110]
(2017.01.11)
597 질의 조특
2 이상의 서로 다른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주된 사업의 분류 기준
내국인이 2 이상의 서로 다른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사업별 수입금액이 가장 큰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보는 것임
서면-2014-법인-21857
[법인세과-108]
(2017.01.11)
598 질의 조특
소프트웨어 사용료가 연구·시험용시설의 임차 또는 이용에 필요한 비용에 해당하는지 여부
내국법인이 연구개발을 위한 전담부서등에서 직접 사용하기 위한 연구·시험용시설의 임차 및 이용에 대한 비용은 「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에 규정된 연구·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임
서면-2015-법인-2529
[법인세과-111]
(2017.01.11)
599 질의 조특
내국법인이 소유한 부동산 양도를 부동산매매업으로 보아 중소기업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지 여부
내국인이 2 이상의 서로 다른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사업별 수입금액이 가장 큰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보는 것임
서면-2016-법인-4648
[법인세과-109]
(2017.01.11)
600 질의 조특
공공기관이 혁신도시 등으로 이전하는 경우 법인세 과세이연
이전공공기관이 다른 이전공공기관을 통합한 후, 정부의 이전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에 따라 일부 부서가 다른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경우, 해당 부서의 이전과 관련된 본사의 대지 및 건물의 취득가액 등을 포함하여 과세이연금액 계산
서면-2016-법령해석법인-3717
[법령해석과-131]
(2017.01.10)
처음으로 1 2 3 4 5 6 7 8 9 10   끝으로 총 9033(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