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
질의 |
양도 |
-
혼인으로 1분양권+1주택이 된 1세대에 적용되는 일시적 1세대2주택 비과세 특례 검토
-
‘20.12.31. 이전에 취득한 분양권의 사업시행완료에 따라 주택을 취득한 경우에는 ‘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를 취득한 것으로 보아 소득령§155①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356
[]
(2022.10.27)
|
102 |
질의 |
양도 |
-
소득령§155⑳ 적용시, 단기임대주택이 자진 말소된 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재등록한 경우 임대료 증액 제한 요건 기준
-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6(11)에 의하여 자진 말소하는 단기임대주택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재등록한 경우 소득령§155⑳(2)의 장기임대주택의 임대료 증액 상한의 기준은 재등록 이후 작성한 표준임대차 계약임
|
서면-2021-법규재산-6177
[]
(2022.10.26)
|
103 |
질의 |
양도 |
-
2020.7.11. 이후 단기임대주택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변경한 경우 소득령§155⑳ 적용대상인지 여부
-
2020.7.11. 이후 단기임대주택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변경한 경우 소득령§155⑳의 장기임대주택으로 볼 수 없음
|
서면-2021-법규재산-0684
[법규과-3057]
(2022.10.25)
|
104 |
질의 |
양도 |
-
주택을 취득한 후 임대, 거주, 재임대한 경우 상생임대주택 특례적용 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의3제1항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추어 해당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상생임대주택에 대한 1세대 1주택의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
서면-2022-법규재산-0893
[법규과-3040]
(2022.10.21)
|
105 |
질의 |
양도 |
-
매매특약에 따라 잔금청산 전 주택을 상가로 용도변경 시 양도물건의 판정기준일
-
주택에 대한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그 매매특약에 따라 잔금청산 전에 주택을 상가로 용도변경한 경우 2022.10.21. 이후 매매계약 체결분부터 양도일(잔금청산일) 현재 현황에 따라 양도물건을 판정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322
[]
(2022.10.21)
|
106 |
질의 |
양도 |
-
일시적 2주택 허용기간 및 타인으로부터 분양권을 구입하여 취득한 주택의 거주요건 적용 여부
-
무주택 1세대가 조정대상지역 공고일 이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하여 취득한 주택분양권이 완공되어 해당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제1항제5호에 따라 1세대1주택 비과세 거주요건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6470
[부동산납세과-3225]
(2022.10.21)
|
107 |
질의 |
양도 |
-
장기임대주택 2호 이상 임대등록이 말소된 경우 거주주택 양도 시 거주주택의 비과세 처분기한
-
장기임대주택을 2호 이상 임대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등록이 말소되는 장기임대주택의 등록 말소 이후 5년 이내에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소득령§155㉓이 적용되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4370
[법규과-3011]
(2022.10.20)
|
108 |
질의 |
양도 |
-
일시적 2주택 특례 적용 여부
-
일시적 2주택 특례와 소득령§155⑳을 중첩 적용될 수 있음
|
서면-2021-법규재산-7180
[법규과-3010]
(2022.10.20)
|
109 |
질의 |
양도 |
-
장기임대주택 자동말소 후 취득한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령§155⑳의 특례 적용 여부
-
장기임대주택이 소득령 제155조제23항 각 호에 해당하여 등록이 말소된 후 취득한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령 제155조제20항이 적용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7929
[법규과-3004]
(2022.10.20)
|
110 |
질의 |
양도 |
-
종전주택이 없는 상태에서 신규주택 분양권을 계약한 경우 일시적 2주택 허용기간
-
종전주택이 없는 상태에서 신규주택(분양권)을 계약한 경우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512, 2021.5.25.”를 참고하기 바람
|
서면-2022-부동산-4287
[부동산납세과-3201]
(2022.10.19)
|
111 |
질의 |
양도 |
-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을 소유한 경우 일시적 2주택 특례 적용 가능 여부 및 일시적 2주택 허용기간
-
(질의1) 소득령 §155③에 따른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을 소유한 경우에도 소득령 §155①에 따른 일시적 2주택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음 (질의2) 종전주택이 없는 상태에서 신규주택(분양권) 계약한 경우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512, 2021.5.25.”를 참고 바람
|
서면-2022-부동산-2220
[부동산납세과-3200]
(2022.10.19)
|
112 |
질의 |
양도 |
-
소득령§155⑳ 적용시, 단기임대주택이 자진 말소된 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재등록한 경우 임대료 증액 제한 요건 기준
-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6(11)에 의하여 자진 말소하는 단기임대주택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재등록한 경우 소득령§155⑳(2)의 장기임대주택의 임대료 증액 상한의 기준은 재등록 이후 작성한 표준임대차 계약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302
[]
(2022.10.19)
|
113 |
질의 |
양도 |
-
조정대상지역 공고 이전 오피스텔 분양계약 시 비과세 거주요건 적용 여부
-
무주택 세대가 조정대상지역 공고 이전에 오피스텔 분양계약하였으나, 해당 오피스텔이 조정대상지역 공고 이후에 완공되어 주거용으로 사용할 경우 2022.10.19. 이후 양도분부터 비과세 거주요건을 적용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312
[]
(2022.10.19)
|
114 |
질의 |
양도 |
-
임대등록이 자동 말소된 후 취득한 주택에 대하여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 여부 등
-
장기임대주택A가 민간임대주택법에 따라 임대의무기간이 종료되어 등록이 말소된 이후 새로 취득한 주택B에 2년 이상 거주하고 주택A의 해당 등록이 말소된 이후 5년 이내에 양도하는 경우, 주택B를 소득령§155⑳⑴의 거주주택으로 보아 비과세 특례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308
[]
(2022.10.18)
|
115 |
질의 |
양도 |
-
조합원입주권을 별도 세대원과 공동 취득한 경우 종전주택 양도시 비과세 가능 여부
-
1주택자가 조합원입주권을 별도 세대원과 공동 취득한 경우에도 소득령§156의2③ 또는 ④ 요건을 충족하여 종전주택 양도하는 경우에는 비과세 적용이 가능함
|
서면-2022-부동산-4207
[부동산납세과-3190]
(2022.10.18)
|
116 |
질의 |
양도 |
-
개정세법 시행일 이후 임대 계약시 임대료 상한 규정을 미충족한 경우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 여부
-
귀 질의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인 “서면-2020-부동산-3300 (2020.7.24.)”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2-부동산-3702
[부동산납세과-3153]
(2022.10.17)
|
117 |
질의 |
양도 |
-
배우자로부터 미분양주택의 분양권을 증여받은 경우 미분양주택 과세특례 적용 여부
-
배우자로부터 분양권을 증여로 승계받아 취득하는 주택은 「조세특례제한법」 제98조의3 제1항에 따른 과세특례가 적용되지 않음
|
서면-2022-부동산-0888
[부동산납세과-3132]
(2022.10.14)
|
118 |
질의 |
양도 |
-
일부세대원이 소득칙§71③ 각 호 외의 사유로 신규주택에 이사하지 못한 경우 일시적2주택 특례 적용 여부
-
세대의 구성원 중 일부가 소득칙§71③ 각 호 외의 사유로 신규주택에 이사하지 못한 경우 소득령§155①(2)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4020
[부동산납세과-3134]
(2022.10.14)
|
119 |
질의 |
양도 |
-
재건축 조합원입주권을 승계취득하여 완성된 주택의 취득시기 및 1세대 1주택 거주요건 적용 여부
-
(질의1)“조합원입주권”을 승계ㆍ취득하여 재건축된 주택을 취득한 경우 건축물의 취득시기는 재건축아파트의 사용승인서 교부일임. (질의2)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주택을 취득한 경우 거주요건을 적용하지 않음
|
서면-2022-부동산-0565
[부동산납세과-3133]
(2022.10.14)
|
120 |
질의 |
양도 |
-
주택을 취득하면서 승계받은 임대차계약을 갱신한 경우 상생임대주택 특례 적용 여부
-
전 소유자로부터 임대차계약을 승계받은 후 임차인이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하여 승계받은 계약을 갱신(갱신계약)하고 이후 그 갱신계약을 다시 갱신(재갱신계약)한 경우 갱신계약과 재갱신계약은 각각 “직전 임대차계약” 및 “상생임대차계약”으로 볼 수 있는 것임
|
서면-2022-법규재산-2849
[법규과-2917]
(2022.10.12)
|
121 |
질의 |
양도 |
-
재건축 사업시행인가된 주택 취득 당시 임대주택을 소유한 경우 소득령§156의2➄ 적용 여부
-
임대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재건축 사업시행인가된 주택을 취득 후 대체주택을 취득 후 소득령§155⑳을 충족하지 못한 상태에서 임대주택을 양도한 경우에는 소득령§156의2➄ 적용 대상이 아님
|
서면-2022-법규재산-2020
[법규과-2903]
(2022.10.12)
|
122 |
질의 |
양도 |
-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취득한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양도 시 장기보유특별공제 및 세율 적용방법
-
도정법상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조합원이 취득한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양도 시 양도소득금액은 소득령§166① 및 ⑤(1)에 따라 계산하며, 세율은 2년 이상 보유한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로 보아 기본세율을 적용함
|
서면-2022-법규재산-3353
[법규과-2850]
(2022.10.06)
|
123 |
질의 |
양도 |
-
포괄양수받은 임대주택의 임대사업자 등록이 자동말소된 경우 거주요건이 적용되는지 여부
-
「민간임대주택법」(2020.8.18. 법률 제17482호로 개정된 것) 제6조제5항에 따라 등록이 말소된 경우에는 1세대1주택 비과세를 적용 시 거주기간의 제한을 받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6568
[부동산납세과-2998]
(2022.10.06)
|
124 |
질의 |
양도 |
-
’21.1.1. 이후 분양권을 취득한 경우 소득령 제155조제1항 적용 여부
-
‘21.1.1. 이후 취득한 2개의 분양권이 주택으로 완성된 후 먼저 완성된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령§155① 적용대상이 아님
|
서면-2021-법규재산-1891
[법규과-2849]
(2022.10.06)
|
125 |
질의 |
양도 |
-
비상장주식 Escrow 조건 양도시기
-
비상장주식에 대한 양도차익을 계산시 취득 및 양도시기는 당해 자산의 대금을 청산한 날이 되는 것이며, 비상장주식을 양도하고 잠정합의된 양도가액을 수령한 다음 약정에 의한 추가금액을 수령한 경우 양도시기는 잠정합의된 가액을 수령한 날이 되는 것이고, 양도일 이후에 가감하기로 한 일정금액에 대하여는 그 일정금액을 받는 날에 수정신고하면 되는 것
|
서면-2022-자본거래-3735
[자본거래관리과-475]
(2022.09.30)
|
126 |
질의 |
양도 |
-
‘21.1.1. 이후 취득한 분양권이 신규주택으로 완공된 후 종전주택 양도 시 일시적2주택 여부
-
B분양권(’21.1.1. 이후 취득분)을 취득한 후에 A주택을 취득한 경우로서 B분양권이 주택으로 완공된 이후 A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령§155①에 따른 일시적2주택 규정이 적용되지 않음
|
서면-2021-법규재산-6773
[법규과-2785]
(2022.09.30)
|
127 |
질의 |
양도 |
-
장외파생상품(차액결제거래)의 거래 또는 행위로 발생하는 소득이 소득법상 양도소득인지 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9조의2제1항제2호나목에서 열거하지 않고 있는 기초자산의 가격과 연계하는 같은 호 가목에 따른 장외파생상품(차액결제거래)의 거래 또는 행위로 발생하는 소득은 소득법상 양도소득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음
|
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267
[]
(2022.09.30)
|
128 |
질의 |
양도 |
-
임차인의 법인인 경우 소득령§155의3 “상생임대차계약”이 될 수 있는지 여부
-
임차인이 법인인 경우에도, 그 임차법인이 당해 임차주택을 상시 주거용의 사택으로 사용하는 경우, 당해 임대주택에 대하여 소득령§155의3에 따른 상생임대주택 특례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임
|
서면-2022-법규재산-3253
[법규과-2768]
(2022.09.29)
|
129 |
질의 |
양도 |
-
’19.2.12. 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대체「주택분양권」의 종전규정 적용여부
-
’19.2.12. 전 장기임대주택을 보유하지 않는 상태에서 새로운 주택을 취득하기 위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대체「주택분양권」은 개정시행령 부칙에 따른 종전의 거주주택 특례규정을 적용받을 수 없음
|
서면-2021-법규재산-4760
[법규과-2767]
(2022.09.29)
|
130 |
질의 |
양도 |
-
임대사업자가 자진말소한 경우 임대의무기간의 2분의 1 이상 임대한 시점을 산정하기 위한 기산일
-
임대주택을 임대의무기간 내 자진말소한 경우 임대의무기간의 2분의 1 이상 임대한 시점을 산정하기 위한 기산일은 임대사업자의 임대사업자 등록일(임대사업자 등록 이후 임대가 개시되는 주택은 임대차계약서상의 실제 임대개시일)부터 기산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7820
[부동산납세과-2844]
(2022.09.26)
|
131 |
질의 |
양도 |
-
일반주택과 감면주택을 같은 과세연도에 양도한 경우 합산신고 대상인지 여부
-
귀 질의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인 “서면인터넷방문상담5팀-57,2007.01.04.”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1-부동산-7697
[부동산납세과-2630]
(2022.09.23)
|
132 |
질의 |
양도 |
-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3을 적용하여 기본세율과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
-
귀 질의 1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인 “사전-2017-법령해석재산-0506, 2017.09.19.”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1-부동산-8183
[부동산납세과-2630]
(2022.09.23)
|
133 |
질의 |
양도 |
-
포괄승계하여 취득한 임대주택이 자동말소된 경우 거주주택특례 적용 여부
-
장기임대주택(민간임대주택법 법률 제17482호 부칙§5① 적용주택에 한정)을 민간임대주택법§43②에 따라 임대사업자 지위를 포괄적으로 승계하여 취득하고 같은 법§6⑤에 따라 임대등록이 자동말소된 경우로서 등록말소된 이후 5년 이내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임대기간요건 갖춘 것으로 보아 소득령§155⑳을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2-법규재산-2182
[법규과-2730]
(2022.09.23)
|
134 |
질의 |
양도 |
-
임대주택이 재건축사업으로 2020.8.18. 전 멸실되어 임대등록이 말소된 경우 소득령 §155㉓ 적용 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제155조제23항에 따른 장기임대주택은「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2020.8.18. 법률 제17482호로 개정된 것) 부칙 제5조제1항이 적용되는 주택에 한정하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2924
[부동산납세과-2813]
(2022.09.22)
|
135 |
질의 |
양도 |
-
세대원 일부가 소득칙§71③ 각 호 외의 사유로 이사하지 못한 경우 소득령§156의2④ 적용 여부
-
세대의 구성원 중 일부가 소득칙§71③ 각 호 외의 사유로 재건축주택이 완성된 후 2년 이내에 이사하지 못한 경우 소득령§156의2④을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6923
[부동산납세과-2811]
(2022.09.22)
|
136 |
질의 |
양도 |
-
조합원입주권을 보유한 상태에서 신규주택을 취득하고 조합원입주권 양도 시 비과세 적용 여부
-
관리처분계획의 인가일등 현재 소득법 §89①(3)가목을 충족하는 기존주택이 조합원입주권으로 전환된 후 소득법 §89①(4)나목에 따라 신규주택을 취득하고 취득 후 3년 이내에 조합원입주권을 양도하는 경우 비과세를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7178
[부동산납세과-2812]
(2022.09.22)
|
137 |
질의 |
양도 |
-
소득령§155③에 따른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양도 시 중과세율 적용배제 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 제167조의3제2항제2호에 따라 공동상속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보지 아니하는 자가 소유한 공동상속주택의 상속지분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소득세법」 제104조 제7항에 따른 세율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188
[]
(2022.09.22)
|
138 |
질의 |
양도 |
-
공동사업에 현물출자한 토지등 전체가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인지 여부
-
거주자가 공동사업을 경영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에 의해 토지 등을 당해 공동사업에 현물출자하는 경우에 당해자산 전체가 사실상 유상으로 양도되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2947
[부동산납세과-2767]
(2022.09.20)
|
139 |
질의 |
양도 |
-
배우자로부터 증여 및 경매로 취득한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1세대 1주택 보유 및 거주기간 계산방법
-
배우자로부터 증여로 취득한 경우 1세대 1주택 보유기간 계산은 동일세대로서 보유한 기간을 통산하나, 배우자로부터 경매로 취득한 경우 1세대 1주택 보유기간 계산은 경락대금을 완납한 날부터 기산하여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4504
[부동산납세과-2766]
(2022.09.20)
|
140 |
질의 |
양도 |
-
‘21.1.1. 이후 분양권을 취득한 후 2주택을 취득하게 된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제155조제1항 적용대상인지 여부
-
‘21.1.1. 이후 분양권을 취득한 후 2주택을 취득하게 된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제155조제1항 적용대상이 아님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181
[]
(2022.09.20)
|
141 |
질의 |
양도 |
-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보유시 소득령§156의2⑤에 따른 대체주택 비과세 여부
-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을 보유하더라도 종전주택의 재개발사업등 사업시행인가 후 취득한 신규주택을 소득령§156의2⑤에 따른 요건을 갖추어 양도시 1세대1주택 특례가 가능한 것임
|
서면-2022-법규재산-0647
[법규과-2694]
(2022.09.19)
|
142 |
질의 |
양도 |
-
국내 소수단위 주식 투자자가 취득한 수익증권 매도 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과세방식(소득구분)
-
거주자가 소수 단위 주식 거래를 위해 취득한 수익증권을 매도하여 발생한 소득은 소득세법 제94조에 따른 양도소득 또는 같은 법 제17조에 따른 배당소득에 해당하지 않음
|
서면-2022-법규재산-3178
[법규과-2686]
(2022.09.16)
|
143 |
질의 |
양도 |
-
부담부증여 시 양도가액 평가액을 임대보증금 가액으로 산정한 경우 취득가액을 기준시가로 해야 하는지 여부
-
부담부증여 시 양도로 보는 부분에 대한 양도가액 산정 시, 「상속세 및 증여세법」제61조제5항에 따른 평가가액과 같은 법 제66조에 따른 평가가액이 동일한 경우에는 같은 법 제61조제5항에 의해 기준시가로 산정한 것으로 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147
[]
(2022.09.16)
|
144 |
질의 |
양도 |
-
조정대상지역 내 경매로 취득한 주택의 거주요건 적용 여부
-
소득령§154①(5)를 적용함에 있어, 경매로 취득한 신규주택은 매각허가결정일을 매매계약 체결일로 보아 적용함
|
서면-2021-부동산-1886
[부동산납세과-2741]
(2022.09.16)
|
145 |
질의 |
양도 |
-
지역주택조합 조합원이 종전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일시적2주택 허용기간
-
일시적 2주택 허용기간 판정은 기존해석(서면-2021-법규재산-5924, 2022.02.17.)을 참고하되 2022.5.10. 이후 양도분부터는 “1년”을 “2년”으로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7740
[부동산납세과-2738]
(2022.09.16)
|
146 |
질의 |
양도 |
-
국내 소수단위 주식 투자자가 취득한 수익증권 매도 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과세방식(소득구분)
-
거주자가 소수 단위 주식 거래를 위해 취득한 수익증권을 매도하여 발생한 소득은 소득세법 제94조에 따른 양도소득 또는 같은 법 제17조에 따른 배당소득에 해당하지 않음
|
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252
[]
(2022.09.15)
|
147 |
질의 |
양도 |
-
2채의 선순위 상속주택 중 1채를 별도세대에 증여 후 일반주택 양도 시 상속주택 특례 적용 여부
-
일반주택 1채를 보유한 1세대가 다른 피상속인으로부터 선순위 상속주택을 각각 1채씩 상속받아 선순위 상속주택 2채를 보유한 상태에서 상속주택 중 1채를 별도세대에 증여한 후 일반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상속주택 특례를 적용할 수 있음
|
서면-2021-법규재산-5908
[법규과-2656]
(2022.09.15)
|
148 |
질의 |
양도 |
-
일시적2주택자가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4 농어촌주택을 취득한 후 종전주택 양도시 비과세 여부
-
일시적2주택을 보유한 1세대가 종전주택을 신규주택 취득일부터 3년 이내에 양도하는 경우에는 국내에 1개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소득세법」제89조제1항제3호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
서면-2021-부동산-6220
[부동산납세과-2669]
(2022.09.14)
|
149 |
질의 |
양도 |
-
2채의 선순위 상속주택 중 1채를 별도세대에 증여 후 일반주택 양도 시 상속주택 특례 적용 여부
-
일반주택 1채를 보유한 1세대가 다른 피상속인으로부터 선순위 상속주택을 각각 1채씩 상속받아 선순위 상속주택 2채를 보유한 상태에서 상속주택 중 1채를 별도세대에 증여한 후 일반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상속주택 특례를 적용할 수 있음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126
[]
(2022.09.14)
|
150 |
질의 |
양도 |
-
1세대 1주택 비과세 판단 시 자동 말소된 임대주택이 주택 수에 포함되는지 여부 등
-
(질의3) 장기임대주택(이하 “해당임대주택”)이 재건축사업으로 멸실되어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22항제2호마목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해당임대주택에 대한 시․군․구청의 등록말소 이전에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같은 법 시행령 제155조제20항에 따른 1세대 1주택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0908
[부동산납세과-2713]
(2022.09.14)
|
151 |
질의 |
양도 |
-
무상증자로 취득한 주식의 취득시기 및 취득가액
-
무상주의 취득이 의제배당으로 과세되지 않는 경우 취득시기는 당해 무상주 취득의 원인이 되는 기존주식의 취득일이며, 취득가액은 “0”으로 하는 것입니다.
기해석사례(서면-2021-법규재산-1234, 2022.4.11., 양도, 재산세과-723, 2009.04.10.)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2-자본거래-3177
[자본거래관리과-450]
(2022.09.08)
|
152 |
질의 |
양도 |
-
사업시행인가일 현재 일시적2주택자인 경우로서 대체주택을 여러차례 취득한 경우 대체주택 특례 적용 여부
-
귀 질의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인 “서면-2019-법령해석재산-0466, 2021.05.07.”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2-부동산-1883
[부동산납세과-2630]
(2022.09.07)
|
153 |
질의 |
양도 |
-
직전사업연도 전체가 거래정지된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에 의한 대주주 판단방법
-
직전사업연도 전체가 거래정지되어 직전사업연도 종료일 현재의 최종시세가액이 없는 경우에는 전전연도의 최종거래일의 최종시세가액으로 시가총액 대주주 판단
|
서면-2020-법규재산-2186
[법규과-2582]
(2022.09.07)
|
154 |
질의 |
양도 |
-
(구)「도정법」상 (구)도시환경정비사업에 의한 신축주택의 중과세율 배제규정 요건인 10년 보유기간 계산방법
-
(구)도시환경정비사업에 의하여 신축된 주택을 ’20.6.30.까지 양도시, 소득령§167의10①(12)의 보유기간은 기존건물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 계산
|
서면-2020-법규재산-1407
[법규과-2589]
(2022.09.07)
|
155 |
질의 |
양도 |
-
신축한 후 5년 이내 고가주택 양도시 환산취득가액 가산세 적용 여부
-
귀 질의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인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939,2018.11.01.”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2-부동산-3466
[부동산납세과-2631]
(2022.09.07)
|
156 |
질의 |
양도 |
-
’19.2.12. 전에 취득하여 ’19.2.12. 이후에 동일 세대원에게 증여한 주택의 거주주택 비과세 가능 여부
-
장기임대주택과 거주주택을 보유한 1세대가 2019.2.12. 전에 신규주택을 취득한 경우로서, 2019.2.12. 이후에 신규주택 지분을 같은 세대인 배우자에게 증여한 후 양도하는 경우에도 거주주택 비과세 종전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음
|
서면-2021-부동산-8004
[부동산납세과-2651]
(2022.09.06)
|
157 |
질의 |
양도 |
-
임대차계약 갱신요구권 행사 시 일시적 2주택 특례의 전입 허용 기간
-
전 소유자에게 임대차계약 갱신요구권을 행사한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265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제155조제1항제2호 각 호 외 단서의 이사 및 전입기한은 갱신된 임대차계약 종료일임
|
서면-2021-법규재산-3070
[법규과-2332]
(2022.09.06)
|
158 |
질의 |
양도 |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9조의4에 따른 1세대 1주택의 거주기간 산정 시 임의재건축한 경우의 멸실전 주택 거주기간 통산 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9조의4에 따른 1세대 1주택의 거주기간을 산정할 때, 노후 등으로 인하여 멸실되어 임의로 주택을 재건축한 경우 그 멸실된 주택에 거주한 기간을 통산하여 계산하는 것임
|
서면-2020-법규재산-0287
[법규과-2525]
(2022.09.05)
|
159 |
질의 |
양도 |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9조의4에 따른 1세대 1주택의 거주기간 산정 시 임의재건축한 경우의 멸실전 주택 거주기간 통산 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9조의4에 따른 1세대 1주택의 거주기간을 산정할 때, 노후 등으로 인하여 멸실되어 임의로 주택을 재건축한 경우 그 멸실된 주택에 거주한 기간을 통산하여 계산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007
[]
(2022.09.05)
|
160 |
질의 |
양도 |
-
대주주 판정 시 사모펀드 간접지분 포함 여부
-
거주자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를 통하여 법인의 주식등을 취득하는 경우 그 주식등은 해당 거주자의 소유로 보아「소득세법 시행령」제157조 제4항부터 제7항까지의 규정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
서면-2022-자본거래-2757
[자본거래관리과-433]
(2022.08.31)
|
161 |
질의 |
양도 |
-
(구)「도정법」상 (구)도시환경정비사업에 의한 신축주택의 중과세율 배제규정 요건인 10년 보유기간 계산방법
-
(구)도시환경정비사업에 의하여 신축된 주택을 ’20.6.30.까지 양도시, 소득령§167의10①(12)의 보유기간은 기존건물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 계산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087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087]
(2022.08.31)
|
162 |
질의 |
양도 |
-
직전사업연도 전체가 거래정지된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대주주 판단방법
-
직전사업연도 전체가 거래정지되어 직전사업연도 종료일 현재의 최종시세가액이 없는 경우에는 전전연도 최종거래일의 최종시세가액으로 시가총액 대주주 판단
|
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236
[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236]
(2022.08.31)
|
163 |
질의 |
양도 |
-
조합원입주권이 주택으로 완성된 경우 1주택 1조합원입주권 비과세 전입기한
-
조합원입주권이 주택으로 완성된 경우의 1주택 1조합원입주권 비과세 전입기한은 소득령§156의2④(1)에 따라 판단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079
[]
(2022.08.31)
|
164 |
질의 |
양도 |
-
최종 장기임대주택 양도 시 거주기간 요건 적용 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1항을 적용할 때 같은 영 제155조제20항제1호의 거주주택에 대한 거주기간 요건을 고려하지 않는 것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081
[]
(2022.08.31)
|
165 |
질의 |
양도 |
-
일괄 양도하는 토지와 건물의 가액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 기준시가에 따라 안분하는 경우 기준 시점
-
일괄 양도하는 토지와 건물의 가액이 불분명한 때에 부가령 제64조에 따라 공급계약일 현재의 기준시가에 따라 안분계산 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077
[]
(2022.08.31)
|
166 |
질의 |
양도 |
-
부동산을 경매로 취득한 후 세입자에게 지출한 명도비용의 필요경비 해당 여부
-
부동산을 경매로 취득한 후 세입자에게 지출한 명도비용는 필요경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20-부동산-2101
[부동산납세과-2571]
(2022.08.30)
|
167 |
질의 |
양도 |
-
거주자의 직계비속과 동거하면서 그 직계비속의 배우자와는 별거하는 경우 동일세대 여부
-
거주자가 직계비속과 동거하면서 그 직계비속의 배우자와는 별거하는 경우 거주자와 직계비속의 배우자가 동일세대인지 여부는 생계를 같이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21-부동산-2534
[부동산납세과-2570]
(2022.08.30)
|
168 |
질의 |
양도 |
-
조정대상지역 공고 전에 분양권을 취득한 경우 일시적 2주택 허용기간
-
일시적 2주택 허용기간 판정은 기존해석(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512, 2021.5.25.)의 별첨 「세부 집행원칙」에 따름(2022.5.10. 이후 양도분부터는 “1년”을 “2년”으로 적용)
|
서면-2021-부동산-8254
[부동산납세과-2561]
(2022.08.29)
|
169 |
질의 |
양도 |
-
매각허가결정일에 조정대상지역으로 공고된 경우 일시적2주택 특례 허용기한
-
귀 질의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인 “서면-2021-법령해석재산-4728, 2021.12.20.”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1-부동산-3718
[부동산납세과-2395]
(2022.08.25)
|
170 |
질의 |
양도 |
-
특례주택을 일반주택보다 먼저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
-
특례주택과 일반주택(거주주택)을 보유하다 특례주택을 먼저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은 일반주택(거주주택) 취득일이며,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비과세 판정 시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는 주택은 보유기간 재기산 규정에서 다주택 판정 시에도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음
|
서면-2022-부동산-0843
[부동산납세과-2527]
(2022.08.25)
|
171 |
질의 |
양도 |
-
다주택자 최종 1주택 보유기간 기산일 산정
-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4에 따른 농어촌주택등의 취득 후 그 중 1주택 양도 시, 해당 주택의 보유기간 기산일은 당해 주택의 취득일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049
[]
(2022.08.25)
|
172 |
질의 |
양도 |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4조에 따른 관리처분계획의 인가 이전에 주택을 취득한 경우, 소득령§156의2③·④ 적용 여부
-
‘조합원입주권’이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4조에 따른 관리처분계획의 인가 등으로 인하여 취득한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를 말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943
[]
(2022.08.24)
|
173 |
질의 |
양도 |
-
「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4호 다목 해당 여부
-
법인의 주주 1인 및 그와 「소득세법 시행령」제157조에 따른 기타주주 상호간에 양도하는 당해 법인의 주식은 「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4호 다목에 따른 기타자산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이며, 이 경우 당해 법인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자도 기타주주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22-자본거래-2880
[자본거래관리과-415]
(2022.08.23)
|
174 |
질의 |
양도 |
-
「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4호 다목 해당 여부
-
법인의 주주 1인 및 그와 「소득세법 시행령」제157조에 따른 기타주주 상호간에 양도하는 당해 법인의 주식은 「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4호 다목에 따른 기타자산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이며, 이 경우 당해 법인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자도 기타주주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22-자본거래-3333
[자본거래관리과-415]
(2022.08.23)
|
175 |
질의 |
양도 |
-
「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4호 다목에 해당하는 주식 판단 시 부동산 보유비율 계산 방법
-
「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4호 다목의 자산총액은 해당 법인의 장부가액(「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자산으로서 해당자산의 기준시가가 장부가액보다 큰 경우에는 기준시가)에 따르는 것임
|
서면-2022-자본거래-2964
[자본거래관리과-414]
(2022.08.23)
|
176 |
질의 |
양도 |
-
특례주택을 거주주택보다 먼저 양도 시 거주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
-
거주주택과 장기임대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한 1세대가 장기임대주택 중 1채를 자진말소하고 양도(과세)한 후,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해당 거주주택의 소득령§154①에 따른 보유기간 기산일은 “당해주택 취득일”임
|
서면-2021-법규재산-6834
[법규과-2375]
(2022.08.17)
|
177 |
질의 |
양도 |
-
단기임대주택 자동말소 후 장기임대주택으로 재등록하는 경우 임대주택 중과배제 요건
-
단기민간임대주택의 임대의무기간 외 나머지 요건을 충족한 상태로 자동말소된 뒤, 2020.8.18. 이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재등록하여 임대기간을 미충족한 상태로 양도시, 소득령§167의3①(2)각목 외 부분 단서에 따라 중과배제 적용 가능함
|
서면-2021-법규재산-6391
[법규과-2359]
(2022.08.17)
|
178 |
질의 |
양도 |
-
장기보유특별공제율 표2 적용 시 세대원 일부가 사업상 형편으로 거주하지 않은 기간 포함 여부
-
소득법§95②의 ‘표2’에 따른 장기보유특별공제율 적용을 위한 ‘거주기간’을 계산할 때, 사업상의 형편 등 부득이한 사유로 세대원 일부가 거주하지 못한 기간도 포함할 수 있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6615
[법규과-2358]
(2022.08.17)
|
179 |
질의 |
양도 |
-
직전 임대차계약 임대기간 계산 시 1개월 미만을 1개월로 보아 상생임대주택에 대한 1세대1주택 특례를 적용할 수 있는지
-
상생임대주택에 대한 1세대1주택 특례를 적용함에 있어, 직전 임대차계약의 임대기간이 1년 5개월 19일인 경우 1개월 미만인 기간을 1개월로 보아 1년 6개월 임대한 것으로 봄이 타당함
|
서면-2022-법규재산-2784
[법규과-2376]
(2022.08.17)
|
180 |
질의 |
양도 |
-
종전주택이 조합원입주권으로 변환된 후, 해당 조합원입주권이 주택으로 완공되기 전에 다른 신규조합원입주권 취득 시 소득령§156의2④ 적용 여부
-
종전주택이 조합원입주권으로 변환된 후, 해당 조합원입주권이 주택으로 완공되기 전에 다른 신규조합원입주권 취득 시, 소득령§156의2④ 적용 가능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962
[]
(2022.08.12)
|
181 |
질의 |
양도 |
-
공동상속주택 보유자의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방법
-
공동상속주택 보유자의 소득법§95② [표2]에 따른 보유기간별 공제율은 소득령§159의4에 따른 “공동상속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보는 사람이 거주한 기간”을 적용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960
[]
(2022.08.12)
|
182 |
질의 |
양도 |
-
종전주택이 조합원입주권으로 변환된 후, 해당 조합원입주권이 주택으로 완공되기 전에 다른 신규조합원입주권 취득 시 소득령§156의2④ 적용 여부
-
종전주택이 조합원입주권으로 변환된 후, 해당 조합원입주권이 주택으로 완공되기 전에 다른 신규조합원입주권 취득 시, 소득령§156의2④ 적용 가능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964
[]
(2022.08.12)
|
183 |
질의 |
양도 |
-
무주택 세대가 타인으로부터 분양권을 구입하여 취득한 주택의 거주요건 적용 여부
-
무주택 세대가 조정대상지역 공고 이전에 타인으로부터 분양권을 구입하여 취득한 주택의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제1항제5호를 적용받을 수 있음
|
서면-2021-부동산-6007
[부동산납세과-2391]
(2022.08.10)
|
184 |
질의 |
양도 |
-
신축주택 등의 매매계약서 날인을 사후적으로 받는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2 적용 여부
-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99조의2제1항에 따른 신축주택등에 해당하나 매매계약을 체결한 즉시 매매계약서에 시장․군수․구청장으로부터 신축주택 등의 매매계약서 날인을 받지 아니한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2을 적용받을 수 없음
|
서면-2022-부동산-3387
[부동산납세과-2393]
(2022.08.10)
|
185 |
질의 |
양도 |
-
「조세특례제한법」제98조의3에 따른 감면주택을 일반주택보다 먼저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
-
「조세특례제한법」제98조의3에 따른 감면주택과 일반주택을 보유하다 감면주택을 먼저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은 취득일부터 기산함
|
서면-2020-법규재산-5396
[법규과-2296]
(2022.08.10)
|
186 |
질의 |
양도 |
-
임대등록이 자동말소된 주택을 일반주택보다 먼저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
-
임대등록이 자동말소된 주택과 거주주택을 보유하다 임대등록이 자동말소된 주택을 먼저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은 취득일부터 기산함
|
서면-2021-법규재산-1164
[법규과-2295]
(2022.08.10)
|
187 |
질의 |
양도 |
-
재건축사업에 따른 신축주택이 완공된 뒤에 대체주택 취득 시, 소득령§156의2⑤ 적용여부
-
소득령§156의2⑤에 따른 특례는 국내에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그 주택에 대한 재개발사업, 재건축사업 또는 소규모재건축사업등의 시행기간 동안 거주하기 위하여 다른 주택을 취득한 경우에 적용되는 것임
|
서면-2022-법규재산-1938
[법규과-2299]
(2022.08.10)
|
188 |
질의 |
양도 |
-
일부 세대원이 사업상의 형편 등으로 본래의 주소 또는 거소에서 일시적 퇴거한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 공제액 계산
-
장기보유특별공제 거주기간별 공제액 계산 시 거주자가 사업상의 형편 등 부득이한 사유로 본래의 주소 또는 거소에서 일시 퇴거한 경우 나머지 세대원이 양도대상 주택에 거주한 기간을 포함할 수 있음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942
[]
(2022.08.10)
|
189 |
질의 |
양도 |
-
임대사업자가 임대의무기간 중 포괄 양수 후 자진말소한 임대주택의 임대의무기간의 1/2 임대한 시점을 산정하기 위한 기산일
-
임대사업자가 임대의무기간 중 포괄 양수 후 자진말소한 임대주택의 임대의무기간의 1/2 임대한 시점을 산정하기 위한 기산일은 전 소유자의 임대사업자 등록일부터 기산하는 것임
|
서면-2020-법규재산-5310
[법규과-2305]
(2022.08.10)
|
190 |
질의 |
양도 |
-
1주택과 1조합원입주권을 소유한 1세대가 1주택 양도시 비과세 적용 여부
-
종전주택 취득 후 1년이 지나 조합원입주권을 취득하고, 취득 후 3년 이내 종전주택 양도시 소득령§156의2③ 적용 가능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927
[]
(2022.08.09)
|
191 |
질의 |
양도 |
-
임대차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시 일시적 2주택 특례의 신규주택 전입 허용기간
-
신규주택의 전 소유자에게 기존 임차인이 임대차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한 경우, 소득령(2022.02.15. 대통령령 제3242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5조제1항제2호의 전입기한은 임대차계약 종료일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929
[법규과-2285]
(2022.08.09)
|
192 |
질의 |
양도 |
-
매각대상기업 주식의 양수자와 재투자 대상 벤처기업이 동일한 경우, 조특법 제46조의8에 따른 과세특례가 적용되는지 등
-
매각대상기업 주식의 양수자와 재투자 대상 벤처기업이 동일한 경우에도 조특법 제46조의8에 따른 과세특례가 적용 가능함
|
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204
[]
(2022.08.09)
|
193 |
질의 |
양도 |
-
특례주택을 일반주택보다 먼저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
-
특례주택과 일반주택(거주주택)을 보유하다 특례주택을 먼저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은 아래 사례별 해석례에 따르며,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비과세 판정 시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는 주택은 보유기간 재기산 규정에서 다주택 판정 시에도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음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895
[]
(2022.08.05)
|
194 |
질의 |
양도 |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을 충족한 거주주택의 비과세 특례 선택 가능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을 충족한 거주주택의 비과세 특례 선택 가능여부
|
서면-2022-부동산-3098
[부동산납세과-2222]
(2022.08.02)
|
195 |
질의 |
양도 |
-
주택조합 입주권을 원조합원으로 부터 승계 취득한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3을 적용 가능 여부
-
귀 질의의 경우 기존해석사례(서면인터넷방문상담4팀-478, 2005.03.30.)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1-부동산-7975
[부동산납세과-2132]
(2022.08.02)
|
196 |
질의 |
양도 |
-
수도권 소재의 임야와 직선거리로 30km 이내에 거주지가 있을 경우 사업용토지에 해당하는지 여부
-
귀 서면질의의 경우, 기존해석사례 ‘재산세과-606(2009.03.24.)’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2-부동산-0678
[부동산납세과-2109]
(2022.08.02)
|
197 |
질의 |
양도 |
-
일시적2주택 세대가 거주 2년 미만일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 표2 적용 여부
-
귀 질의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서면-2021-부동산-7577, 2022.04.06.)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1-부동산-7376
[부동산납세과-2133]
(2022.08.02)
|
198 |
질의 |
양도 |
-
2주택자가 배우자에게 1주택 증여 후 이혼하여 남은 1주택 양도 시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
-
2주택(A,B)을 보유하다가 1주택(A)을 배우자에게 증여한 후 이혼한 다음 남은 1주택(B)을 양도하는 경우 1세대1주택 비과세 보유기간은 양도하는 B주택의 취득일부터 기산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863
[]
(2022.08.02)
|
199 |
질의 |
양도 |
-
해외 출국한 비거주자가 귀국 후 국내 1주택에 거주할 때 거주자로 전환된 경우 소득령 §154⑧ 적용 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 제1항에 따른 1세대1주택 비과세 판정시 같은 조 제8항 제2호의 규정은 거주자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3년 이상 1주택을 계속 보유하고, 그 주택에서 거주한 상태로 거주자로 전환된 모든 비거주자에게 적용되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2360
[부동산납세과-2108]
(2022.08.02)
|
200 |
질의 |
양도 |
-
종전주택이 조합원입주권으로 변환된 후, 해당 조합원입주권이 주택으로 완공되기 전에 다른 신규조합원입주권 취득 시 소득령§156의2④ 적용 여부
-
종전주택이 조합원입주권으로 변환된 후, 해당 조합원입주권이 주택으로 완공되기 전에 다른 신규조합원입주권 취득 시, 소득령§156의2④ 적용 가능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856
[]
(202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