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1 |
질의 |
양도 |
-
임대주택이 재건축되는 경우 임대기간 계산 및 임대주택 요건 충족 여부
-
임대주택이 재건축되는 경우 임대기간은 재건축 등으로 신축된 주택의 임대기간을 합산하여 임대기간을 계산하는 것임
|
서면-2019-부동산-0467
[부동산납세과-1223]
(2019.11.29)
|
2202 |
질의 |
양도 |
-
1주택이 재건축으로 2조합원입주권으로 변경 후 완공된 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대체주택 특례 적용
-
“1+1 재건축사업”으로 종전 1주택 대신 입주권 2개 취득한 경우소득령§156의2 제5항에 따른 대체주택 비과세 적용되지 않음
|
서면-2018-부동산-2603
[부동산납세과-34]
(2020.01.09)
|
2203 |
질의 |
양도 |
-
상속주택, 거주주택, 장기임대주택을 보유한 경우 비과세 특례 적용 여부
-
1세대가 4주택인 경우 다른 주택을 취득하여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세법시행령」제154조제1항을 적용할 수 없는 것임
|
서면-2018-부동산-3009
[부동산납세과-1366]
(2019.12.30)
|
2204 |
질의 |
양도 |
-
대주주 판정시 사모펀드 간접지분 포함 여부
-
거주자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를 통하여 법인의 주식등을 취득하는 경우 그 주식등은 해당 거주자의 소유로 보아 「소득세법 시행령」제157조 제4항부터 제7항까지의 규정을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0-자본거래-2388
[자본거래관리과-309]
(2020.06.12)
|
2205 |
질의 |
부가 |
-
선하증권을 양도하는 거래가 공통매입세액안분계산대상이 되는지 여부
-
동일한 보세구역 내에서의 선하증권의 매매는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며 공통매입세액 안분계산 대상인 ‘면세사업등’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
서면-2020-법령해석부가-0642
[법령해석과-1813]
(2020.06.12)
|
2206 |
질의 |
부가 |
-
면세사업에 사용할 목적으로 증축한 건물을 과세사업에 사용하는 경우 매입세액공제 여부
-
공동소유 부동산에서 공동으로 의료업인 면세사업을 영위하는 2인이 면세사업 확장을 위해 건물을 증축하면서 관련 매입세액을 불공제하고 이후 2인을 포함한 총 7인의 공동임대사업자를 구성하여 쟁점 부동산에서 임대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불공제된 매입세액은 공동임대사업자의 매입세액으로 공제할 수 없음
|
서면-2020-법령해석부가-1491
[법령해석과-1541]
(2020.05.25)
|
2207 |
질의 |
부가 |
-
사전약정한 가격할인액을 가맹점에게 정산 시 매출에누리 여부 등
-
사전약정에 따라 가맹점이 공급가액에서 일정액을 할인하여 판매하고 질의법인은 가맹점에 대한 매출채권에서 할인액을 차감하여 대가를 지급받는 경우 해당 할인액은 에누리액이며 재화 공급 후 에누리액이 발생되는 경우 수정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고 해당 월의 총공급가액에서 에누리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월합계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음
|
서면-2020-법령해석부가-1170
[법령해석과-1836]
(2020.06.12)
|
2208 |
질의 |
부가 |
-
보험대리점이 고객정보를 보험설계사에게 공급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면제 여부
-
보험대리점이 보험업과 관련하여 자신의 면세사업의 일환으로 소속 보험설계사에게 고객DB를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경우에는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용역의 공급에 해당하지 아니함
|
서면-2018-법령해석부가-3946
[법령해석과-1758]
(2020.06.10)
|
2209 |
질의 |
부가 |
-
잔금납입 전 전세계약으로 전환할 수 있는 조건이 부여된 오피스텔 분양계약의 공급시기
-
사업자가 오피스텔을 분양 공급하면서 그 매매대금을 재화를 이용가능하게 하는 날까지 6개월 이상의 기간동안 나누어 받기로 약정하며, 잔금 납입 전까지 분양계약을 해지하고 전세로 전환할 수 있는 특약을 별도로 체결하여 공급하는 경우 중간지급조건부로 재화를 공급하는 경우에 해당하여 공급시기는 대가의 각 부분을 받기로 한 때가 되는 것임
|
기획재정부 부가가치세제과-243
[]
(2020.06.18)
|
2210 |
질의 |
소득 |
-
계열사 근무시 퇴직소득세액을 정산하지 않은 경우 합의퇴직금의 근속연수 계산 방법
-
직ㆍ간접으로 출자관계가 있는 법인으로 전출한 자가 해당 법인에서 퇴직의 대가로 지급받는 합의퇴직금의 퇴직소득세 계산시 근속연수는 합의퇴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출자관계 있는 법인에서 재직한 기간을 모두 합산하는 것임
|
서면-2018-법령해석소득-2857
[법령해석과-1609]
(2020.05.28)
|
2211 |
질의 |
소득 |
-
계열사 근무시 퇴직소득세액을 정산하지 않은 경우 합의퇴직금의 근속연수 계산 방법
-
직ㆍ간접으로 출자관계가 있는 법인으로 전출한 자가 해당 법인에서 퇴직의 대가로 지급받는 합의퇴직금의 퇴직소득세 계산시 근속연수는 합의퇴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출자관계 있는 법인에서 재직한 기간을 모두 합산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226
[]
(2020.05.13)
|
2212 |
질의 |
소득 |
-
거주자의 국외주택 임대소득에 대한 필요경비 등 차등 적용 여부
-
「소득세법 시행령」제122조의2 제1항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국외주택을 임대하는 경우 「소득세법」제64조의2 제2항 단서 규저은 적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283
[]
(2020.06.01)
|
2213 |
질의 |
소득 |
-
부동산임대소득 등에 대한 신탁수익권을 증권화하여 유통하는 경우 신탁 이익의 소득구분
-
아래 사실관계의 쟁점1, 쟁점2의 소득은 배당소득에 해당합니다.
쟁점1) 신탁 부동산의 임대 및 처분에서 발생한 소득의 소득구분
쟁점2)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되는 수익권 매매차익의 소득구분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0667
[]
(2020.05.27)
|
2214 |
질의 |
소득 |
-
사립학교에서 국공립학교로 이직한 교원이 지급받는 명예퇴직수당의 근속연수 기산일
-
사립교원으로 근무하다 퇴직 후 공무원연금법 제25조 및 제26조에 따라 사립학교와 국공립학교 재직기간 합산을 인정받아 이미 지급받은 퇴직일시금을 모두 반납하고 국공립학교의 교원으로 임용된 자가 퇴직 시 지급받는 명예퇴직수당의 근속연수는 명예퇴직수당 산정 대상이 되는 사립교원 및 국공립교원의 재직기간을 합산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224
[]
(2020.05.13)
|
2215 |
질의 |
소득 |
-
개인사업자가 본인을 위해 사용한 중식대의 필요경비 해당 여부
-
개인사업자가 본인을 위해 사용한 중식대는 사업소득금액 계산시 소득세법 제27조에 따른 필요경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275
[]
(2020.06.01)
|
2216 |
질의 |
법인 |
-
증권거래세 신고서만 제출한 경우 지급명세서 미제출 가산세 대상 여부
-
유가증권 양도소득 지급명세서를 제출하지 않고 증권거래세 과세표준 신고서만 제출한 경우 유가증권 양도소득 지급명세서를 제출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임
|
서면-2019-법령해석법인-3686
[법령해석과-1852]
(2020.06.16)
|
2217 |
질의 |
법인 |
-
회생계획을 이행중인 법인에 해당하여 이월결손금 전액 공제가 가능한지 여부
-
회생절차 종결결정을 받았으나 법원이 인가 결정한 회생계획을 이행 중인 경우, 「법인세법 시행령」 제10조제1항1호의 ‘법원이 인가 결정한 회생계획을 이행 중인 법인’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19-법령해석법인-4303
[법령해석과-1775]
(2020.06.11)
|
2218 |
질의 |
국조 |
-
내국법인이 100% 지분을 보유한 외국법인 명의의 해외금융계좌 신고의무
-
외국법인 명의 해외금융계좌에 대해 해외금융계좌의 명의자와 실질적 소유자가 다른 경우 그 해외계좌를 사실상 관리하는 자가 실질적 소유자로 해외금융계좌 신고의무가 있음
|
서면-2020-국제세원-2516
[국제세원관리담당관실-479]
(2020.06.17)
|
2219 |
질의 |
국조 |
-
한·브라질 조세조약 제11조 제3항 나목의 적용 범위
-
브라질 정부 등이 지분 일부만을 간접으로 소유한 기관(「한-브라질 조세조약」 제11조 제3항 나목 영문본상 "agency"를 말함)은 동 규정의 적용대상에 해당합니다. 동 규정에 따라 브라질에서만 과세되는 이자의 범위는 해당 기관이 발행한 증권, 채권 또는 사채로부터 생기는 이자 전액임
|
서면-2020-법령해석국조-0058
[법령해석과-1202]
(2020.04.21)
|
2220 |
질의 |
국조 |
-
실질 소유자인 내국법인의 해외자회사 명의 해외금융계좌 신고 의무
-
외국법인이 보유한 해외금융계좌의 실질 소유자인 내국법인은 지분율 및 조세조약 체결여부와 무관하게 그 해외금융계좌에 대해 신고의무가 있음
|
기획재정부 국제조세제도과-276
[]
(2016627 )
|
2221 |
질의 |
국기 |
-
합산배제신고서만 제출한 경우에도 경정청구가 가능한지 여부 등
-
「종합부동산세법」 제8조 제2항 및 제3항에 따라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신고를 한 이후 그 신고한 내용에 변동이 없어 「종합부동산세법 시행령」 제4조 제4항 단서에 따라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 그 신고하지 아니한 과세연도에 대해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1항에 따른 경정청구가 가능한 것임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664
[]
(2020.05.27)
|
2222 |
질의 |
국기 |
-
주택임대소득 신고방법 수정신고 및 경정청구 가능여부
-
종합소득 결정세액의 계산에 있어 「소득세법」제14조 제3항에 따른 분리과세 주택임대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동법 제64조의2 제1항 각호의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선택·적용한 경우, 추후 「국세기본법」제45조 및 제45조의2에 따라 수정신고 또는 경정청구를 통해 동법 제64조의2 제1항 각호의 방법 중 다른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임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610
[]
(2020.05.14)
|
2223 |
질의 |
국기 |
-
납부지연가산세 기간계산시 납세고지일 포함여부
-
국세기본법 제47조의4의 “납세고지일부터 납세고지서에 따른 납부기한까지의 기간”에서 기간의 기산일은 납세고지일임
|
서면-2020-법령해석기본-1801
[법령해석과-1395]
(2020.05.12)
|
2224 |
질의 |
국조 |
-
분할사업부문의 분할기일 이전 사업연도에 대한 수정신고의 주체
-
○ 분할기일 이전 사업연도에 대해 분할사업부문의 원인으로 법인세를 분할등기일 후에 추가로 납부할 경우
⇨분할법인이 분할기일 이전 사업연도에 대해 수정신고
⇨법인세는 분할계획서가 정하는 바에 따라 분할신설법인에 승계됨(분할신설법인이 실질적으로 부담)
|
서면-2019-법령해석국조-1909
[법령해석과-3362]
(2019.12.23)
|
2225 |
질의 |
국조 |
-
한·브라질 조세조약 제11조 제3항 나목의 적용 범위
-
브라질 정부 등이 지분 일부만을 간접으로 소유한 기관(「한-브라질 조세조약」 제11조 제3항 나목 영문본상 "agency"를 말함)은 동 규정의 적용대상에 해당합니다. 동 규정에 따라 브라질에서만 과세되는 이자의 범위는 해당 기관이 발행한 증권?채권 또는 사채로부터 생기는 이자 전액입니다.
|
기획재정부 조세정책과-385
[]
(2020.04.14)
|
2226 |
질의 |
법인 |
-
법령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부득이한 주식 처분에 해당하는지 여부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해당하지 않는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속하는 법인의 주주가 순환출자 해소를 위해 주식을 처분한 경우는 법령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부득이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음
|
서면-2019-법령해석법인-0865
[법령해석과-1391]
(2020.05.11)
|
2227 |
질의 |
조특 |
-
기술혁신형 주식취득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 받은 후 해당 기업을 합병하는 경우 지분감소 여부
-
내국법인이 기술혁신형 주식취득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 받은 후 사후관리기간 중 해당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무증자 흡수합병하는 경우에는 지분감소로 보지 않음
|
서면-2017-법령해석법인-3363
[법령해석과-2989]
(2018.11.12)
|
2228 |
질의 |
부가 |
-
위탁자의 파산으로 분양계약을 이행할 수 없는 경우 수탁자가 신탁재산을 처분함에 있어 납세의무자 여부 등
-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위탁자가 파산 등인 상태에서 위탁자의 채무이행을 위하여 신탁재산을 처분함에 있어 신탁계약에 의한 위탁자의 지위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신탁사업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 위탁자가 재화를 공급하는 것으로 보며, 「부가가치세법」제3조의2에 따른 물적납세의무는 같은 법 제3조에 따른 납세무의무자에게 신탁재산이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19-법령해석부가-2950
[법령해석과-1255]
(2020.04.27)
|
2229 |
질의 |
부가 |
-
세관장이 장치기간경과 물품을 「관세법」에 따라 매각하는 경우 세금계산서 발급 여부 등
-
세관장이 장치기간경과 물품을 「관세법」에 따라 매각하고 해당 물품의 화주에게 수입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경우로서 세관장이 물품의 매각예정가격 산출, 공고시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가격으로 하여 낙찰자로부터 부가가치세를 징수한 경우 화주는 낙찰자에게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것임
|
서면-2020-법령해석부가-1401
[법령해석과-1620]
(2020.05.29)
|
2230 |
질의 |
상증 |
-
사전증여재산에 해당하는지 여부
-
피상속인이 사전증여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었던 재산은 상속재산에 포함되는 것이나 실제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구체적인 사실을 확인하여 판단할 사항임
|
서면-2020-상속증여-0436
[상속증여세과-364]
(2020.05.26)
|
2231 |
질의 |
상증 |
-
부동산 무상사용에 따른 이익의 증여 해당 여부
-
무상사용 기간이 5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무상사용을 개시한 날부터 5년이 되는 날의 다음 날에 새로 해당 부동산의 무상사용을 개시한 것으로 보는 것이며, 그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이 1억원 미만인 경우에는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19-상속증여-4715
[상속증여세과-360]
(2020.05.26)
|
2232 |
질의 |
상증 |
-
사내근로복지기금법인으로부터 받은 금품에 대한 증여세 과세 여부
-
사내근로복지기금법인이 사내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지원금이 치료비․학자금ㆍ장학금 기타 이와 유사한 금품에 해당하거나 기념품ㆍ축하금 등으로서 통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금품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증여세가 비과세되는 것임
|
서면-2020-상속증여-0597
[상속증여세과-361]
(2020.05.26)
|
2233 |
질의 |
상증 |
-
가업승계에 대한 증여세 과세특례 적용 여부
-
가업승계에 대한 증여세 과세특례는 가업의 승계 당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2조제2항에 따른 최대주주 또는 최대출자자에 해당하는 자(가업의 승계 당시 해당 주식등의 증여자 및 해당 주식등을 증여받은 자는 제외)로부터 증여받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20-상속증여-0193
[상속증여세과-372]
(2020.05.26)
|
2234 |
질의 |
상증 |
-
가업상속공제 적용 요건
-
가업상속공제 적용시 특수관계자의 보유주식 등을 합하여 최대주주 등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피상속인 및 그와 특수관계에 있는 자 모두를 최대주주 등으로 보는 것이며, 아버지와 아들이 공동으로 출자하여 공동대표자로 경영하는 경우 아버지 사망시 가업상속공제 여부는 아버지가 실질적 가업 경영의 주체인 경우에 적용되는 것임
|
서면-2019-상속증여-4501
[상속증여세과-363]
(2020.05.26)
|
2235 |
질의 |
상증 |
-
장학금 수령시 증여세 비과세 여부
-
지급받은 장학금이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학자금・장학금 기타 이와 유사한 금품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증여세가 비과세되는 것임
|
서면-2019-상속증여-2912
[상속증여세과-263]
(2020.04.16)
|
2236 |
질의 |
상증 |
-
국외부동산 처분대금을 국내로 송금하는 경우 증여세 과세 여부
-
국외에 소재하는 본인의 부동산을 매각하고 그 매각대금을 국내로 송금하여 본인 명의로 부동산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19-상속증여-3973
[상속증여세과-371]
(2020.05.26)
|
2237 |
질의 |
상증 |
-
재산 취득 후 재산가치 증가에 따른 이익의 증여
-
자신의 계산으로 개발사업의 시행 등의 행위를 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자가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로서 5년 이내에 개발사업 시행 등의 사유로 인하여 재산가치의 증가에 따른 이익을 얻은 경우에는 증여세가 과세되는 것임
|
서면-2019-상속증여-1613
[상속증여세과-367]
(2020.05.26)
|
2238 |
질의 |
상증 |
-
가업상속공제 적용시 최대주주등의 범위
-
주주1인 및 그와 특수관계에 있는 자가 30% 이상 출자하여 지배하고 있는 법인의 사용인은 당해 주주등과 특수관계가 있는 것임
|
서면-2020-상속증여-0595
[상속증여세과-370]
(2020.05.26)
|
2239 |
질의 |
상증 |
-
가업상속공제 사후관리시 정규직근로자 고용비율 계산방법
-
가업상속인의 고용요건은 상속 후 10년간의 고용요건을 사후관리하는 것으로서 상속이 개시된 사업연도 말부터 10년간 정규직근로자수의 전체 평균이 기준고용인원의 100분의 100 미만인 경우 상속세를 부과함
|
서면-2020-상속증여-0200
[상속증여세과-369]
(2020.05.26)
|
2240 |
질의 |
상증 |
-
해외재산 평가방법
-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재산의 평가는 당해 재산의 소재지국에 관계없이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0조 내지 제66조의 규정에 의하여 평가하는 것임
|
서면-2018-상속증여-3861
[상속증여세과-366]
(2020.05.26)
|
2241 |
질의 |
상증 |
-
공동사업 소득금액을 지분과 달리 분배하는 경우 증여세 과세 여부
-
공동사업에서 발생한 소득금액을 공동사업자 중 일부가 포기함에 따라 다른 공동사업자가 본인의 보유 지분을 초과하여 분배받는 경우에는 증여세가 과세되는 것임
|
서면-2019-상속증여-4318
[상속증여세과-368]
(2020.05.26)
|
2242 |
질의 |
상증 |
-
금융재산 상속공제 적용 여부 등
-
상속재산 중 금융재산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금융재산의 원천에 관계없이 금융재산상속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이며, 금융재산상속공제액 계산시 이연된 퇴직소득세는 금융채무에 포함되는 것임
|
서면-2019-상속증여-3933
[상속증여세과-365]
(2020.05.26)
|
2243 |
질의 |
상증 |
-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시 증여가액 계산
-
「상속세및증여세법」제45조의5의 증여이익을 계산함에 있어 특정법인의 이익에 특정법인의 주식보유비율을 곱하여 계산하는 경우 주식보유비율은 증여받은 것으로 보는 거래를 한 날 당시 주식보유비율임
|
서면-2020-자본거래-2035
[자본거래관리과-277]
(2020.05.27)
|
2244 |
질의 |
상증 |
-
유족이 수령한 형사합의금, 민사상 손해배상금이 상속세 과세대상에 해당되는지 여부
-
교통사고를 당하여 사망한 피상속인의 유족이 가해자측과 합의하여 유족위로금 명목으로 받게 될 형사합의금과 유족이 가해자측 보험사로부터 받게 될 민사상 손해배상금의 상속세 과세대상 여부
|
서면-2018-법령해석재산-2398
[법령해석과-785]
(2020.03.13)
|
2245 |
질의 |
양도 |
-
농어촌주택, 재건축주택, 대체주택을 소유하는 1세대가 대체주택 양도 시 1세대 1주택 비과세특례 적용여부
-
농어촌주택 취득 후 재건축기간 중 실수요 목적으로 추가 취득한 대체주택을 양도할 경우, 조특법상 농어촌주택 특례가 적용되지 않음
|
서면-2020-법령해석재산-0414
[법령해석과-518]
(2020.02.18)
|
2246 |
질의 |
법인 |
-
사업시행 협약에 따른 개발이익 배분금액의 손금 인식시기
-
내국법인이 지자체와 사업시행 협약을 체결하고 개발이익을 사업완료 후 정산하기로 한 경우로서 해당 개발이익 배분금액이 손금에 해당하는 경우에는합리적 근거에 따른 개발이익을 작업진행률에 따라 각 사업연도의 손금에 산입함
|
서면-2016-법령해석법인-5834
[법령해석과-3232]
(2018.12.12)
|
2247 |
질의 |
법인 |
-
현물출자후 피출자법인을 최초로 적격합병하는 경우 기존 압축기장충당금의 세무처리방법
-
현물출자로 인하여 발생한 자산의 양도차익에 상당하는 금액을 압축기장충당금으로 손금에 산입한 법인이 현물출자일로부터 3년이 경과한 후 피출자법인을 최초로 적격합병 하는 경우 기존의 압축기장충당금 잔액은 출자법인이 합병 시 승계하는 자산 중 최초 현물출자한 자산의 일시상각충당금(감가상각자산이 아닌 경우 압축기장충당금)으로 대체하는 것임
|
서면-2020-법령해석법인-1245
[법령해석과-1598]
(2020.05.28)
|
2248 |
질의 |
조특 |
-
식량작물재배손실에 대응하여 받는 보험금을 식량작물재배업에서 발생한 소득으로 볼 수 있는지
-
농업재해로 인해 발생한 식량작물재배손실에 대응하여 보상받는 보험금은 「조세특례제한법」 제68조의 규정에 의하여 법인세가 면제되는 식량작물재배업소득에 해당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법인세제과-692
[기획재정부 법인세제과-692]
(2020.05.28)
|
2249 |
질의 |
양도 |
-
특정주식 판정기준
-
「소득세법」제94조 제1항 제4호 다목에 해당하는지는 과점주주 중 1인이 주식등을 양도하는 날부터 소급하여 그 합산하는 기간 중 최초로 양도하는 날 현재 해당법인 주식등의 합계액 또는 자산총액을 기준으로 하는 것임
|
서면-2020-자본거래-2148
[자본거래관리과-279]
(2020.05.28)
|
2250 |
질의 |
종부 |
-
임대사업자의 지위를 상속받은 경우 합산배제 임대주택의 공시가격 기준일
-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임대사업자의 지위를 승계 받아 계속 임대 시, 피상속인의 임대개시일 기준으로 종부령§3①(8)가목의 요건을 적용함
|
서면-2019-법령해석재산-1054
[법령해석과-1602]
(2020.05.28)
|
2251 |
질의 |
양도 |
-
양도소득세가 비과세 되는 K-OTC 중견기업 소액주주에서의 중견기업의 정의
-
주권비상장법인의 대주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자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283조에 따라 설립된 한국금융투자협회가 행하는 같은 법 제286조 제1항 제5호에 따른 장외매매거래에 의하여 양도하는 경우 주식 양도소득세가 비과세되는 중견기업은 주식등의 양도일 현재「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4조 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에 해당하는 기업을 말함
|
서면-2020-자본거래-2102
[자본거래관리과-276]
(2020.05.27)
|
2252 |
질의 |
국기 |
-
개정법령으로 압류해제일이 실제 해제일과 다른 시점으로 의제되는지 여부
-
압류금지조항 신설은 소멸시효 중단과 관련된 기존의 압류의 효력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며 압류로 인해 중단되었던 소멸시효는 해제일부터 다시 진행하는 것
|
서면-2018-징세-1147
[징세과-2689]
(2018.04.06)
|
2253 |
질의 |
국징 |
-
경정청구로 인한 환급의 경우 국세환급가산금 기산일
-
2015.2.3. 이후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에 따른 경정의 청구에 따라 납부한 세액 또는 환급한세액을 경정함으로 인하여 환급하는 경우는 경정청구일로부터 국세환급가산금을 기산하는 것
|
서면-2015-징세-0148
[징세과-10020]
(2016.12.30)
|
2254 |
질의 |
국징 |
-
경정청구로 인한 환급의 경우 국세환급가산금 기산일
-
2015.2.3. 이후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에 따른 경정의 청구에 따라 납부한 세액 또는 환급한 세액을 경정함으로 인하여 환급하는 경우는 경정청구일로부터 국세환급가산금을 기산하는 것
|
서면-2015-징세-2598
[징세과-10021]
(2016.12.30)
|
2255 |
질의 |
국징 |
-
경정청구로 인한 환급의 경우 국세환급가산금 기산일
-
2015.2.3. 이후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에 따른 경정의 청구에 따라 납부한 세액 또는 환급한세액을 경정함으로 인하여 환급하는 경우는 경정청구일로부터 국세환급가산금을 기산하는 것
|
서면-2016-징세-6121
[징세과-10019]
(2016.12.30)
|
2256 |
질의 |
국징 |
-
경정청구로 인한 환급의 경우 국세환급가산금 기산일
-
2015.2.3. 이후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에 따른 경정의 청구에 따라 납부한 세액 또는 환급한세액을 경정함으로 인하여 환급하는 경우는 경정청구일로부터 국세환급가산금을 기산하는 것
|
서면-2016-징세-6120
[징세과-10018]
(2016.12.29)
|
2257 |
질의 |
국징 |
-
종합소득세에 대한 경정청구기한
-
2010년도 귀속 종합소득세는 확정신고기한인 2011년 5월 31일부터 3년인 2014년 5월 31일이 경정청구기한이 되므로 개정된 경정청구기한이 적용되지 않아 경정청구가 불가함
|
서면-2016-징세-6041
[징세과-9673]
(2016.12.20)
|
2258 |
질의 |
국기 |
-
감액경정 이후 증액재경정된 경우의 처리
-
새로운 사유로 인한‘증가된 과세표준부분’은 ‘당초 질의법인이 과세표준신고시에 신고를 했던 부분’과 중첩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19-징세-2538
[징세과-8145]
(2019.10.31)
|
2259 |
질의 |
국기 |
-
국세기본법 제85조의3의 해석범위
-
증빙자료를 스캔하여 보관하고 있는 것은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상의 “전자화문서에 해당하며, 이 경우 국세기본법 제85조의3 제4항의 요건을 갖춰야 보관의무를 이행하였다고 할 수 있음
|
서면-2019-징세-2768
[징세과-7611]
(2019.10.17)
|
2260 |
질의 |
국기 |
-
상속으로 인한 납세의무의 승계
-
과세관청은 보험금채권이 국세기본법 시행령 제36조의 압류금지재산에 해당하는 경우 동 채권을 압류할 수 없는 것임
|
서면-2017-징세-1472
[징세과-974]
(2018.02.08)
|
2261 |
질의 |
국조 |
-
동일 기업집단에 소속한 계열회사간의 거래가 국조법에 따른 정상가격에 의한 과세조정의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
-
내국법인의 의결권 있는 주식의 100분의 50이상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소유하고 있는 자가 제3의 외국법인의 의결권 있는 주식의 100분의 50이상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소유한 경우 그 내국법인과 제3의 외국법인의 관계는 특수관계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20-국제세원-1747
[국제세원관리담당관실-310]
(2020.04.21)
|
2262 |
질의 |
국조 |
-
「한국․캐나다 조세조약」 상 사학연금이 사회보장연금에 해당하는지 여부
-
귀 질의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서면-2018-법령해석국조-2143, 2018.09.07.)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0-국제세원-0386
[국제세원관리담당관실-78]
(2020.01.28)
|
2263 |
질의 |
국조 |
-
「한국ㆍ캐나다 조세조약」 상 국민연금이 제18조 제4항에 따른 “사회보장 법률에 따라 발생하는 급부”에 포함되는지 여부
-
귀 질의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서면-2019-국제세원-3897, 2019. 11. 19.)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0-국제세원-0095
[국제세원관리담당관실-53]
(2020.01.15)
|
2264 |
질의 |
국조 |
-
「한․영 조세조약」 상 예능인의 범위 및 광고컨텐츠와 예능인 용역에 대한 대가의 소득구분
-
예능인의 범위와 광고컨텐츠 및 예능인 인적활동에 대한 대가의 소득구분은 제공하는 컨텐츠나 용역의 종류와 성격, 수행하는 장소 등에 따라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20-국제세원-1337
[국제세원관리담당관실-339]
(2020.04.24)
|
2265 |
질의 |
국조 |
-
미국 영주권을 취득한 프로 골프선수의 거주지국 판정 방법
-
거주자․비거주자의 구분은 거주기간․직업․가족 및 국내 소재 자산 등 생활관계의 객관적 사실에 따라 판단할 사항이며, 이중거주자일 경우 「한․미 조세조약」 제3조 제2항에 따라 판정함
|
서면-2019-국제세원-4656
[국제세원관리담당관실-20]
(2020.01.08)
|
2266 |
질의 |
양도 |
-
연접한 2필지를 공동소유하고, 각 필지에 타인소유 주택이 함께 정착되어 있는 경우 그 중 1필지에 정착된 주택을 양도시 주택 부수토지의 범위
-
연접한 2필지를 공동소유하고, 각 필지에 타인소유 주택이 함께 정착되어 있는 경우 그 중 1필지에 정착된 주택을 양도시 타인의 주택이 정착된 연접한 토지도 쟁점주택의 부수토지에 포함되는지 여부
|
서면-2019-법령해석재산-4132
[법령해석과-944]
(2020.03.30)
|
2267 |
질의 |
조특 |
-
재난긴급생활비로 지급된 모바일상품권 사용금액의 소득공제 대상 여부
-
재난긴급생활비로 지급된 모바일상품권(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121조의2제1항에 따라 실지명의가 확인되는 것에 한함)으로 지급하는 대가는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 대상에 해당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244
[]
(2020.05.22)
|
2268 |
질의 |
소득 |
-
세무사 등록규정 등의 무효에 따른 세무대리 수행 가부
-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18.4.26.)의 대상인 세무사법 제6조 제1항 및 제20조 제1항 본문 중 변호사에 관한 부분 등이 ’20.1.1.부터 효력을 상실함에 따라, 세무사자격을 가진 자(세무사법 제4조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자는 제외)는 세무사 등록 없이도 세무조정을 비롯한 세무대리를 할 수 있는 것임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647
[]
(2020.05.22)
|
2269 |
질의 |
소득 |
-
지연지급된 연차수당 등에 대한 원천징수 시기
-
근로소득 발생 및 범위와 관련하여 당사자 간 다툼에 대한 법률적 판단에 근거하여 근로소득의 지급의무가 확정되는 경우 지급시점에 원천징수하는 것이나 근로소득 지급의무가 있음을 충분히 알 수 있었음에도 부주의, 오인 등으로 늦게 지급한 경우에는 소득세법 제135조에 따른 시기가 원천징수하여야 하는 시기임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599
[]
(2020.05.13)
|
2270 |
질의 |
상증 |
-
특정법인과 지배주주의 친족이 거래 시 상증법§45의5 적용 여부 등
-
특정법인이 지배주주의 동생(특수관계인)으로부터 주식을 매수하는 경우 해당 거래는 상증법§45의5① 각호의 적용대상에 해당하는 것이며, 이 때 주권상장법인의 주식 가액을 법인령§89②(2)에 따라 평가하는 경우 상증법§63를 준용하여 평가하는 것임
|
서면-2019-법령해석재산-3344
[법령해석과-296]
(2020.01.30)
|
2271 |
질의 |
상증 |
-
가업상속공제 후 사후관리기간 중 가업법인이 흡수합병되는 경우 고용유지의무 사후관리방법
-
가업상속공제를 적용받은 가업법인이 사후관리기간 중에 다른 법인에 흡수합병되는 경우 고용유지의무 사후관리를 적용함에 있어 정규직 근로자 수는 동 합병 이후 가업법인의 사업부문(사업장)에 속하는 정규직 근로자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임
|
서면-2019-법령해석재산-2133
[법령해석과-1502]
(2020.05.21)
|
2272 |
질의 |
조특 |
-
중소기업에 재취업하기 전 다른 기업에 취업한 사실이 있는 경우 조특법§30의 세액감면 적용 여부
-
직전 근무한 기업에서 퇴사 후 미취업 상태에 있던 여성이 동일한 중소기업에 취업한 경우로서 감면요건을 모두 충족한 경우에는 조특법§30의 세액감면을 적용받는 것임
|
서면-2019-법령해석소득-3314
[법령해석과-464]
(2020.02.14)
|
2273 |
질의 |
조특 |
-
수도권과밀억제권역 외에서 억제권역 내로 사업장을 이전한 경우 창업중소감면 계산방법
-
수도권과밀억제권역 외에서 창업한 중소기업이 수도권과밀억제권역으로 이전한 경우 이전일이 속하는 과세연도부터 남은 감면기간 동안 해당 창업중소기업은 수도권과밀억제권역에서 창업한 창업중소기업으로 봄
|
서면-2019-법령해석소득-3821
[법령해석과-388]
(2020.02.07)
|
2274 |
질의 |
소득 |
-
상가 건물 관리업자가 관리비를 현금으로 받는 경우 현금영수증 발급 대상인지
-
비주거용 부동산 관리업은 소득령 별표 3의2의 업종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현금영수증 가맹점에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하는 것은 아님
|
서면-2019-법령해석소득-4381
[법령해석과-813]
(2020.03.17)
|
2275 |
질의 |
소득 |
-
변호사가 종국 판결 전에 수임료 일부를 현금으로 지급받은 경우 현금영수증 발급하는 것인지 여부
-
변호사가 사건을 수임하고 용역의 대가 일부를 현금으로 지급받는 경우 그 지급받는 때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여야 하는 것임
|
서면-2019-법령해석소득-2204
[법령해석과-1059]
(2020.04.06)
|
2276 |
질의 |
양도 |
-
2주택자가 배우자로부터 증여받은 분양권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하여 양도할 경우 1세대 3주택 중과대상에 해당되는지 여부
-
2주택자인 신청인은 배우자가 “2018.9.13. 이전”에 취득한 분양권을 “2018.9.14. 이후”에 배우자로부터 증여받아 준공된 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하여 이를 양도할 경우, 해당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의 취득일은 신청인의 배우자가 분양권을 취득한 날(‘18.9.13. 이전)에 해당함
|
서면-2019-법령해석재산-0832
[법령해석과-1478]
(2020.05.19)
|
2277 |
질의 |
조특 |
-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관련 권리 등을 공급받는 경우 의제매입세액공제대상 권리의 범위
-
‘2019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조직위원회’에 공급하는 재화 또는 용역의 대가로 ‘대회관련 권리 등’을 2019년 12월 31일까지 공급받는 경우, 그 공급가액에 109분의 9를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사업자의 매입세액으로 공제할 수 있으며, ‘대회관련 권리 등’은 조직위원회가 지정한 대회와 관련된 기타의 모든 권리를 포함함
|
기획재정부 부가가치세제과-184
[]
(2020.04.03)
|
2278 |
질의 |
부가 |
-
사업용으로 사용하던 건축물 철거비용 및 오염토지 원상회복 비용 관련 매입세액공제 여부
-
사업자가 과세사업에 사용하던 건축물 및 토지를 「도시개발법」상 환지처분에 따라 토지 등으로 보상받고 해당 토지에 주상복합건물을 신축ㆍ분양하는 경우 사업자의 기존 건축물 철거비용 및 오염토양 원상회복 비용 관련 매입세액은 매출세액에서 공제되는 것이나, 환지처분 받은 토지를 그대로 매각하는 경우 해당 매입세액은 공제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19-법령해석부가-2319
[법령해석과-659]
(2020.03.03)
|
2279 |
질의 |
부가 |
-
출판권 설정계약에 따라 저작권 사용료를 지급받는 경우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
저작자가 본인 저작물에 대하여 출판권 설정계약을 체결하여 다른 사업자에게 독점적이고 배타적으로 출판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경우 재화의 공급으로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것임
|
서면-2019-법령해석부가-3274
[법령해석과-945]
(2020.03.30)
|
2280 |
질의 |
법인 |
-
영업자가 조직한 단체에 해당하여 회원이 납부하는 회비가 손금산입 대상인지 여부
-
조합 등의 사업자들을 회원사로 하여 설립된 사단법인은 영업자가 조직된 단체에 해당하며, 회원별로 차등적으로 회비를 부과하더라도 손금산입 대상임
|
서면-2020-법령해석법인-0332
[법령해석과-1282]
(2020.04.28)
|
2281 |
질의 |
조특 |
-
사회적기업이 국가 등으로부터 받는 지원금이 감면대상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
-
사회적기업이 국가 등으로부터 받는 지원금은 「조세특례제한법」 제85조의6제1항의 법인세가 감면되는 “해당사업에서 발생한 소득”에 해당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18-법령해석법인-3522
[법령해석과-1359]
(2020.05.07)
|
2282 |
질의 |
상증 |
-
무체재산권 평가시 전문가의 범위에 특허법인 포함 여부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제59조에 따라 무체재산권인 특허권을 평가함에 있어, 특허법인은 상증칙§19④에 따른 수입금액이 없는 특허권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에 해당함
|
서면-2017-법령해석재산-2305
[법령해석과-3031]
(2017.10.25)
|
2283 |
질의 |
국조 |
-
국외전출세 신고대상 해당여부
-
2018.01.01.부터 대주주인 거주자가 해외이주 등의 사유로 출국하는 경우 소득세법 제118조의9에 따라 출국 당시 소유하고 있는 국내주식 등을 출국일에 양도한 것으로 보아 양도소득세를 신고ㆍ납부하여야 함
|
서면-2020-국제세원-0785
[국제세원관리담당관실-328]
(2020.04.22)
|
2284 |
질의 |
국조 |
-
해외금융계좌 관련 질의에 대한 회신
-
「외국환거래법」에 따른 외국환업무취급기관의 경우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49조제6항제3호에 따라 해당 기관이 보유한 모든 해외금융계좌의 신고의무가 면제되는 것임
|
기획재정부 국제조세제도과-207
[]
(2020.04.17)
|
2285 |
질의 |
소득 |
-
부당이득금과 부당이득금에 대한 이자상당액의 과세여부
-
당초 분양대금에 포함될 수 없는 비용과 관련된 분양가액 납부 후 해당 비용과 관련하여 부당이득반환청구의 소에 따라 지급받은 부당이득금과 부당이득금에 대한 이자상당액은 소득세법 상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으며, 동 비용을 필요경비에 산입한 경우 필요경비에 산입한 과세기간의 필요경비에서 차감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214
(2020.05.11)
|
2286 |
질의 |
법인 |
-
매립면허 권리를 감가상각 할 수 있는지 여부
-
「새만금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36조의4제3항에 따라 국가로부터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제28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유수면 매립면허 권리를 현물출자 받은 경우 해당 공유수면 매립면허 권리는 감가상각 대상 자산으로 볼 수 없음
|
서면-2018-법령해석법인-3409
[법령해석과-1185]
(2020.04.20)
|
2287 |
질의 |
법인 |
-
인증차량을 업무용차량으로 전환 시 해당 업무용차량의 법인세법상 취득가액
-
내국법인이 인증차량 취득 후 업무용챠량으로 전용하는 경우 해당 업무용차량의 취득가액은 인증차량의 매입가액에 그 부대비용을 가산한 금액으로 함
|
서면-2019-법령해석법인-4028
[법령해석과-1172]
(2020.04.17)
|
2288 |
질의 |
법인 |
-
법인으로 보는 단체의 법인세 납세지
-
법인으로 보는 단체의 고유목적사업 수행 장소와 주된 수익사업소득인 부동산임대 소득의 부동산 소재지가 다른 경우 부동산 소재지를 납세지로 하는 것임
|
서면-2020-법령해석법인-0066
[법령해석과-1215]
(2020.04.23)
|
2289 |
질의 |
법인 |
-
다수인에게 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가를 1인으로부터 받는 경우 현금영수증 발급 방법
-
내국법인이 다수인에게 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가를 1인으로부터 전부 지급받는 경우에도 현금영수증은 용역을 공급받는 각 개인별로 발급하여야 함
|
서면-2020-법령해석법인-1134
[법령해석과-1214]
(2020.04.23)
|
2290 |
질의 |
법인 |
-
물적분할시 유보금액의 세무조정 방법
-
물적분할시 세무조정사항은 「법인세법」 제47조제4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85조제2호에 따라 분할신설법인에게 승계되지 아니하는 것이며, 이 경우 승계되지 아니하는 세무조정사항은 분할법인의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반대의 세무조정을 통해 손금에 산입하는 것임
|
서면-2019-법령해석법인-4286
[법령해석과-1262]
(2020.04.27)
|
2291 |
질의 |
조특 |
-
기업형임대사업자로 미등록한 사업자에게 토지를 양도한 경우 과세특례
-
거주자가 토지를 양도할 당시 양수자에 해당하는 주택건설사업자인 일반임대주택사업자가 관련 법률 등에 따라 기업형임대사업자로 등록할 수 없는 경우 양도하는 토지에 대하여 「조세특례제한법」제97조의7에 따른 양도소득세 과세특례를 적용받을 수 없음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660
(2017.09.26)
|
2292 |
질의 |
조특 |
-
조특령 §66⑭에 따른 3,700만원 규정을 적용할 때 귀속자 불분명하여 대표자 상여 처분된 금액 포함여부
-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66조제14항(2014.02.21. 대통령령 제25211호로 개정된 것)에서 “총급여액의 합계액”에는 「소득세법」제20조제1항제3호에 해당하는 상여로 처분된 금액이 포함되는 것임
|
서면-2016-법령해석재산-5391
[법령해석과-1733]
(2017.06.22)
|
2293 |
질의 |
조특 |
-
양수인이 기업형임대사업자로 등록할 수 없는 경우 양도소득세 과세특례 적용 여부
-
거주자가 토지를 양도할 당시 양수자에 해당하는 주택건설사업자인 일반임대주택사업자가 관련 법률 등에 따라 기업형임대사업자로 등록할 수 없는 경우 양도하는 토지에 대하여 「조세특례제한법」제97조의7에 따른 양도소득세 과세특례를 적용받을 수 없음
|
서면-2016-법령해석재산-5753
[법령해석과-2768]
(2017.09.29)
|
2294 |
질의 |
증권 |
-
증권거래세 면제 해당여부
-
「조세특례제한법」제13조에 따른 신기술사업금융업자 또는 신기술사업투자조합이 같은 조에 따른 신기술사업자에게 직접 출자함으로써 취득한 주권 또는 지분을 양도하는 경우 같은 법 제117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증권거래세 면제 대상임
|
서면-2019-자본거래-4675
[자본거래관리과-37]
(2020.01.22)
|
2295 |
질의 |
증권 |
-
증권거래세 과세대상
-
「상법」에 따른 합자회사 형태의 집합투자기구 사원 지분을 양도하는 경우「증권거래세법」제1조의2 제2항 및 같은 법 제2조에 따라 증권거래세 과세대상임
|
서면-2019-자본거래-1248
[자본거래관리과-128]
(2020.03.06)
|
2296 |
질의 |
증권 |
-
증권거래세 면제 해당여부
-
「조세특례제한법」제13조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창업기획자 또는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이 동조에 따른 창업자 또는 벤처기업에 직접 출자함으로써 취득한 주권 또는 지분을 양도하는 경우 동법 제117조 제1항 제1호 규정에 의해 증권거래세 면제 대상임
|
서면-2019-자본거래-3856
[자본거래관리과-38]
(2020.01.22)
|
2297 |
질의 |
양도 |
-
대주주 판정 시 전환사채를 포함하는지 여부
-
주식으로 전환되지 않은 전환사채는 ‘소유주식의 비율’ 또는 ‘소유하고 있는 해당 법인의 주식등의 시가총액’을 계산할 때 주식등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19-자본거래-2405
[자본거래관리과-31]
(2020.01.16)
|
2298 |
질의 |
양도 |
-
수도권 밖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의 종사자가 종전주택 양도시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
-
「소득세법 시행령」제167조의3제1항제2호에 따른 주택(장기임대주택)과 그 밖의 1주택(거주주택)을 국내에 소유하고 있는 1세대가 같은 영 제155조제20항제1호·제2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고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비과세 대상에 해당함.
|
서면-2019-부동산-0040
[부동산납세과-1338]
(2019.12.23)
|
2299 |
질의 |
양도 |
-
수도권 밖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의 종사자가 종전주택 양도시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
-
공공기관이 수도권 밖의 지역으로 이전하는 경우로서 공공기관의 종사자가 구성하는 1세대가 다른주택 취득한 날부터 5년 내에 하는 수도권에 소재하는 종전1주택(A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함.
|
서면-2019-부동산-1014
[부동산납세과-1365]
(2019.12.11)
|
2300 |
질의 |
양도 |
-
파생상품 양도차익 계산 방법
-
파생상품을 거래방식에 상관없이 파생상품의 양도차익은「소득세법 시행령」제161조의2 제4항에 따라 먼저 거래한 것부터 순차적으로 소멸된 것으로 보아 계산하는 것임
|
서면-2019-자본거래-1809
[자본거래관리과-117]
(2020.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