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1 |
질의 |
양도 |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6조의3제3항에 따른 1세대 1주택 특례 적용 가능 여부
-
1세대가 일시적으로 1주택과 1분양권을 소유하게 된 경우 종전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이 지난 후에 분양권을 취득하고 그 분양권을 취득한 날부터 3년이 지나 종전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로서 소득령 §156의3③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때에는 이를 1세대1주택으로 보아 같은 영 §154①을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7603
[부동산납세과-956]
(2022.04.18)
|
1402 |
질의 |
양도 |
-
시업시행인가일 현재 일시적 2주택인 경우 이후 취득한 대체주택의 특례 적용 여부
-
종전주택(A)을 소유한 1세대가 신규주택(B)을 취득하고 신규주택이 재건축 사업시행인가된 경우로서, 대체주택(C) 취득 전에 종전주택(A)를 양도하여 일시적 2주택에 해당하는 경우 이후 취득한 대체주택(C)은 소득령§156의2⑤의 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음
|
서면-2021-부동산-6857
[부동산납세과-946]
(2022.04.18)
|
1403 |
질의 |
양도 |
-
지역주택조합 조합원이 종전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일시적 2주택 허용기간
-
종전주택이 없는 상태에서 신규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를 취득한 경우의 일시적 2주택 허용기간 판정은 기존해석(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512, 2021.5.25.)의 별첨 「세부 집행원칙」에 따름
|
서면-2022-부동산-1677
[부동산납세과-926]
(2022.04.15)
|
1404 |
질의 |
양도 |
-
재개발 대상 주택의 1/2지분을 소유한 1세대가 대체주택 취득 시 「소득세법 시행령」제156조의2 제5항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
재개발 대상 주택의 1/2지분을 소유한 1세대가 대체주택 취득 후 법소정의 요건을 갖춰 대체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 「소득세법 시행령」제156조의2 제5항을 적용할 수 있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1228
[법규과-1205]
(2022.04.15)
|
1405 |
질의 |
국조 |
-
해외주식 양도 시 양도차익 계산방법
-
복수의 증권사를 통해 해외주식을 거래하여 발생한 양도소득 신고 시 증권사마다 다른 방식으로 계산한 양도차익의 적용방법
|
서면-2022-국제세원-0764
[국제조세담당관-387]
(2022.04.15)
|
1406 |
질의 |
법인 |
-
법인과 법인간 공동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손익의 인식방법
-
법인과 법인이 손익분배비율, 공동사업운영 등을 정한 약정에 의해 공동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공동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각 법인의 지분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하여 법인세법을 적용하여 산출된 금액을 법인의 익금과 손금으로 하는 것임
|
서면-2021-법인-3026
[법인세과-605]
(2022.04.15)
|
1407 |
질의 |
양도 |
-
건설자금에 충당한 금액의 이자가 필요경비에 해당하는지 여부
-
사업용 자산에 대한 건설자금에 충당한 금액의 이자는 필요경비에 해당하지 않음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379
[]
(2022.04.14)
|
1408 |
질의 |
양도 |
-
거주주택 양도 전에 장기임대주택의 임대하지 않은 기간이 6개월 초과 시 거주주택 특례 적용 여부
-
거주주택(A)을 양도하기 전에 장기임대주택(B)에 6개월을 초과하는 공실이 발생한 상황이 거주주택 특례 적용 후의 소득령§155㉒에 따른 사후관리 위반 사유가 되지 않음
|
서면-2021-법규재산-5609
[법규과-1204]
(2022.04.14)
|
1409 |
질의 |
양도 |
-
장기보유특별공제율 표2 적용시 근무상 형편으로 거주하지 않은 기간을 포함할 수 있는지 여부
-
「소득세법」 제95조제2항에 따른 [표2]의 공제율 적용 시 근무상 형편 등으로 세대전부가 거주하지 못한 기간은 공제대상 거주기간에 포함하지 않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1685
[부동산납세과-907]
(2022.04.14)
|
1410 |
질의 |
국조 |
-
비거주자 상속인의 가업상속공제 가능 여부
-
피상속인이 거주자인 경우,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가업상속공제 요건을 갖춘 비거주자인 상속인은 가업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음
|
서면-2019-법규국조-4229
[법규과-1206]
(2022.04.14)
|
1411 |
질의 |
양도 |
-
조정대상지역의 공고가 있은 날에 매매계약을 체결한 경우 거주요건
-
무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의 공고가 있은 날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경우 거주요건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0624
[부동산납세과-909]
(2022.04.14)
|
1412 |
질의 |
상증 |
-
지정기부금단체로 지정 받기 전 출연받은 재산에 대한 증여세 과세가액 불산입 가능 여부
-
신규법인이 설립일부터 1년 이내에 공익법인등으로 고시된 경우에는 설립 당시 출연받은 재산에 대하여 증여세 과세가액 불산입 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음
|
서면-2021-상속증여-7726
[공익중소법인지원팀-373]
(2022.04.14)
|
1413 |
질의 |
종부 |
-
자녀와 주민등록상 동거가족이나 자녀가 해외거주시 별도세대로 보아 종합부동산세를 계산하는지 여부
-
본인과 자녀가 동일세대인지 여부는 형식상의 주민등록내용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생활관계등을 고려하여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22-부동산-0627
[부동산납세과-894]
(2022.04.14)
|
1414 |
질의 |
종부 |
-
법인 소유 다가구주택에 대해 사원용주택으로 합산배제 신고 가능한지 여부
-
법인 소유의 다가구 주택을 종업원에게 무상으로 제공시 다가구 주택의 각 구가 종부령§4①(1) 요건을 충족하면 합산배제되는 사원용주택에 해당함
|
서면-2020-부동산-3756
[부동산납세과-893]
(2022.04.14)
|
1415 |
질의 |
양도 |
-
준공후미분양주택의 「취득 후 5년간 발생한 소득」 계산방법
-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40조제1항을 준용하여 계산한 가액이 「소득세법」 제95조제1항에 따른 양도소득금액보다 크게 산정되는 경우에도 해당 가액을 준공후미분양주택의 취득일부터 5년간 발생한 양도소득금액으로 보아 감면금액을 계산함
|
서면-2021-법규재산-8218
[법규과-1181]
(2022.04.13)
|
1416 |
질의 |
종부 |
-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기관장에게 제공하는 사택이 합산배제되는 사원용주택에 해당하는지
-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제11조에 따른 연구기관의 원장은 「종합부동산세법 시행령」 제4조제1항제1호를 적용함에 있어 종업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
서면-2022-법규재산-0115
[법규과-1183]
(2022.04.13)
|
1417 |
질의 |
국조 |
-
간접외국납부세액의 손금산입 적용방법
-
「법인세법」(2020.12.22. 법률 제1765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7조 제4항 ‘간접외국납부세액’에 대해 ‘손금산입방법’ 적용 시,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에서 간접외국납부세액을 차감하여 과세표준을 계산하는 것임
|
서면-2021-법규국조-3584
[법규과-1180]
(2022.04.13)
|
1418 |
질의 |
법인 |
-
종중 소유 부동산 양도소득이 법인세 과세소득에서 제외되는지 여부
-
종중 소유 부동산을 처분일로부터 소급하여 3년 이상 계속 고유목적사업에 직접 사용한 경우에는 「법인세법」제4조제3항제5호 단서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제2항에 따라 해당 부동산 양도소득은 법인세 과세소득에서 제외되는 것임
|
서면-2022-법인-1603
[법인세과-593]
(2022.04.13)
|
1419 |
질의 |
종부 |
-
매입임대주택 합산배제 요건 공시가격 판단일은 언제로 하는지
-
임대개시일 또는 최초로 합산배제신고 한 연도의 과세기준일의 공시가격이 6억원(수도권 밖의 지역인 경우에는 3억원)이하인 경우 합산배제 가능하며, 공동주택가격이 공시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지방세법 제4조제1항, 같은 조 제2항에 따른 가액이 공시가격이 됨
|
서면-2020-부동산-5030
[부동산납세과-875]
(2022.04.13)
|
1420 |
질의 |
소득 |
-
소득규칙§14의2(2)에 규정된 “영 제98조제1항에 따른 특수관계에 있는 주주”의 의미
-
「소득세법 시행규칙」제14조의2제2호의 “영 제98조제1항에 따른 특수관계에 있는 주주”란 해당 법인과 「소득세법 시행령」제98조제1항에 따른 특수관계에 있는 주주를 의미하는 것임
|
서면-2021-법규소득-2864
[법규과-1166]
(2022.04.12)
|
1421 |
질의 |
양도 |
-
이혼으로 인한 재산분할로 소유권이전등기 후 남은 주택 양도 시 보유기간 재기산 여부
-
국내에 2주택을 보유한 자가 21.1.1. 이후 협의이혼에 따라 「민법」 제839조의 2에 따른 재산분할청구로 인하여 1주택(A주택)의 소유권을 이전하고 남은 1주택(B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그 양도하는 1주택(B주택)의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제5항에 따른 보유기간 기산일은 해당주택(B주택)의 취득일로 하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8381
[법규과-1155]
(2022.04.12)
|
1422 |
질의 |
양도 |
-
취득시기가 불분명한 주식과 취득시기가 동일한 주식 일부 양도 시, 양도순서 판단방법
-
취득시기가 분명하지 아니한 자산의 일부를 양도하는 경우 먼저 취득한 자산을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며, 취득시기가 동일한 자산 중 일부를 양도하는 경우 양도자산은 각 자산 보유비율대로 양도되었다고 보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1234
[법규과-1154]
(2022.04.11)
|
1423 |
질의 |
양도 |
-
장기임대주택이 자동말소 되고 조합원입주권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거주주택 양도 시, 소득령§155⑳ 적용여부
-
장기임대주택이 자동말소 된 후 조합원입주권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자동말소일로부터 5년 이내 거주주택 양도 시, 소득령§155⑳에 따른 거주주택 특례 적용이 가능함
|
서면-2021-법규재산-5317
[법규과-1143]
(2022.04.08)
|
1424 |
질의 |
양도 |
-
재건축사업 시행기간 중 조합원입주권이 동일세대원에게 상속된 경우, 소득령§156의2⑤ 특례 적용 여부
-
갑이 사망함에 따라 을이 A조합원입주권(A주택이 관리처분계획인가로 입주권으로 전환)을 상속받은 이후 A조합원입주권이 주택으로 완공되어 소득령§156조의2⑤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추어 B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이를 1세대1주택으로 보아 소득령§154①을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2-법규재산-0263
[법규과-1131]
(2022.04.08)
|
1425 |
질의 |
법인 |
-
내국법인의 본지점간 계산서 교부 방법
-
지점이 공급받은 재화를 본점에서 결제 하는 경우 본지점에서 각각 계산서 수취할 수 있고 본지점간 자금이체 거래는 계산서 발급대상 아님
|
서면-2021-법인-5786
[법인세과-562]
(2022.04.08)
|
1426 |
질의 |
법인 |
-
금형의 통합투자세액공제 적용 제외 자산 여부
-
금형은 「조세특례제한법」 제24조제1호가목 단서 및 같은 법 시행규칙 별표1제1호에 따른 공구에 포함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22-법규법인-0355
[법규과-1138]
(2022.04.07)
|
1427 |
질의 |
양도 |
-
일시적 2주택으로 양도(비과세)한 후 신규주택을 취득하고 다시 일시적 2주택으로 양도 시 보유기간 기산일
-
2주택자가 ’21.1.1.이후 일시적 2주택으로 양도(비과세)한 후 신규주택을 취득하고 다시 일시적 2주택으로 양도하는 경우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을 위한 보유기간은 해당 주택의 취득일부터 기산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7660
[부동산납세과-797]
(2022.04.07)
|
1428 |
질의 |
양도 |
-
재개발 사업시행인가일 현재 1주택을 보유한 1세대의 대체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 여부
-
재개발 사업시행인가일 현재 1주택(재개발주택)을 보유한 1세대가 1주택을 보유한 1세대와 혼인 후 재개발주택 외의 보유주택을 처분하고 대체주택 취득・양도하는 경우 대체주택 특례 적용 가능함
|
서면-2021-부동산-3331
[부동산납세과-801]
(2022.04.07)
|
1429 |
질의 |
조특 |
-
창업벤처중소기업에 대한 세액감면 적용 대상 여부
-
당초 세액감면을 적용받지 않는 경우로서 2013.1.1. 이후 창업 후 3년 이내에 벤처기업으로 2차 확인을 받은 경우 경우에는 2013.1.1. 법률 제11614호로 개정된 「조세특례제한법」 부칙 제4조에 해당하여 같은 법 제6조 제2항의 세액감면을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1-법규법인-0022
[법규과-1137]
(2022.04.07)
|
1430 |
질의 |
양도 |
-
2022.1.1. 이후 양도하는 고가주택 아닌 겸용주택의 양도차익 산정 방법
-
2022.1.1. 이후 양도하는 고가주택 아닌 겸용주택의 경우로서 주택외의 부분이 주택으로 간주되어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그 주택외의 부분의 가액을 주택의 가액에 포함시켜 「소득세법 시행령」 제156조를 적용하는 것이고, 그 양도차익은 전체를 주택으로 보아 같은 법 시행령 제160조에 따라 계산하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0634
[부동산납세과-747]
(2022.04.06)
|
1431 |
질의 |
조특 |
-
농어촌주택 부수토지 보유상태에서 농어촌주택 신축 취득하는 경우 조특법§99의4 적용 여부
-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4에 따른 농어촌주택 취득에는 농어촌주택 부수토지를 먼저 취득하여 보유한 상태에서 농어촌주택을 신축하여 취득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0828
[부동산납세과-745]
(2022.04.06)
|
1432 |
질의 |
양도 |
-
일시적 2주택자가 ’21.1.1.이후 종전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율
-
2주택자가 ’21.1.1.이후 1주택 양도하고 1주택을 취득하여 일시적2주택으로 양도하는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율 표2의 공제율을 적용하며, 보유기간은 해당 주택의 취득일부터 기산하고 거주기간은 취득일 이후 실제 거주한 기간에 따르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7577
[부동산납세과-784]
(2022.04.06)
|
1433 |
질의 |
양도 |
-
조특법에 따른 과세특례 주택을 보유하는 경우 조합원입주권 양도 시 비과세 여부
-
거주자가「소득세법」제89조제1항제4호가목을 적용하는 경우「조세특례제한법」제98조의3제1항을 적용받는 주택은 해당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6375
[부동산납세과-748]
(2022.04.06)
|
1434 |
질의 |
부가 |
-
제안공모 방식으로 부동산 매각 시 기존 건물가액 및 개발수익금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
사업자가 제안공모 방식으로 토지‧건물을 일괄양도함에 있어 철거가 전제된 건물가액이 “0”인지 여부는 매매계약서, 건물 노후화 상태 등 제반사정을 종합하여 사실 판단할 사항이며 개발수익금이 토지 개발에 대한 기대수익으로서 토지에 대한 대가에 해당하는 경우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것임
|
서면-2021-법규부가-6959
[법규과-1107]
(2022.04.06)
|
1435 |
질의 |
양도 |
-
2주택자가 1주택을 멸실하고 신축한 후 나머지 1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일시적 2주택 특례 적용
-
2주택자가 1주택을 멸실하고 신축한 후 나머지 1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신축주택은 멸실된 기존주택의 연장으로 보아 일시적 2주택 특례를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6298
[부동산납세과-783]
(2022.04.06)
|
1436 |
질의 |
양도 |
-
장기임대주택 자동말소 된 경우 일시적 2주택 특례와 장기임대주택 특례의 중첩적용이 가능한지
-
장기임대주택이 「민간임대주택특별법」§6⑤에 따라 자동말소되어 소득령§155⑳에 따른 장기임대주택이 임대기간요건을 갖춘 것으로 보는 경우로서 일시적 2주택 특례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중첩적용이 되어 소득령§154①이 적용될 수 있음
|
서면-2021-부동산-7423
[부동산납세과-728]
(2022.04.05)
|
1437 |
질의 |
양도 |
-
2주택을 보유한 1세대가 1주택을 양도하고 남은 1주택 양도 시 장기보유특별공제율 표2 공제율 적용
-
2주택자가 ’21.1.1.이후 1주택을 양도하고 2년 이상 거주한 남은 1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율 표2의 적용을 위한 보유기간은 해당주택의 취득일부터 기산하는 것이며, 거주기간은 해당주택의 취득일 이후 실제 거주한 기간에 따르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1386
[부동산납세과-721]
(2022.04.04)
|
1438 |
질의 |
양도 |
-
2주택과 ’21.1.1. 이후 취득한 오피스텔 분양권을 보유한 1세대가 오피스텔 분양권을 양도하고 종전주택 양도시 보유기간 기산일
-
2주택과 ’21.1.1.이후 취득한 오피스텔 분양권을 보유한 1세대가 오피스텔 분양권을 먼저 양도한 후 종전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보유기간은 해당 주택의 취득일부터 기산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7586
[부동산납세과-720]
(2022.04.04)
|
1439 |
질의 |
조특 |
-
창업벤처기업 세액감면규정의 확인이 창업 후 최초 확인을 의미하는지 여부
-
2013.1.1. 법률 제11614호로 개정된 「조세특례제한법」 부칙 제4조에 따른‘확인’은 최초 확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
|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212
[]
(2022.04.04)
|
1440 |
질의 |
양도 |
-
장기임대주택 자동말소 후 임대요건 등을 계속 준수해야 중과배제 가능한지 여부
-
민간임대주택법에 따라 임대의무기간이 종료한 날 등록이 자동말소된 장기임대주택이 자동말소된 이후 소득령§167의3①(2)의 요건을 준수하지 않더라도 해당 임대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중과세율 배제 가능
|
서면-2021-부동산-4644
[부동산납세과-722]
(2022.04.04)
|
1441 |
질의 |
양도 |
-
부담부증여 하는 다가구주택을 하나의 매매단위로 양도 시, 그 전체를 하나의 주택으로 볼 수 있는지
-
부담부증여 하는 다가구주택을 하나의 매매단위로 양도 시, 그 전체를 하나의 주택으로 보아 소득령§154①을 적용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340
[]
(2022.04.01)
|
1442 |
질의 |
법인 |
-
비영리법인의 본사 진출입로가 고유목적사업에 직접 사용되는 자산에 해당되는지 여부
-
수익・고유목적 사업을 영위하는 비영리내국법인이 공통자산 처분으로 인한 손익은 수익금액・매출액 등에 따라 안분하여 계상
|
서면-2022-법인-1052
[법인세과-504]
(2022.04.01)
|
1443 |
질의 |
종부 |
-
다가구주택에 대한 합산배제 요건 판단 기준
-
법인 소유 다가구 주택을 사원용 주택으로 제공시 다가구 주택 각 호가 합산배제 요건을 충족하는지로 판단하는 것이며 사원용 주택으로 사용되지 않는 호는 합산배제가 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0269
[부동산납세과-694]
(2022.04.01)
|
1444 |
질의 |
종부 |
-
다가구주택에 대한 합산배제 요건 판단 기준
-
종부령§4①(1)에 따른 합산배제 요건 적용 판단 시 다가구주택은 각 호 별로 면적이 국민주택규모 이하이거나 과세기준일 현재 공시가격이 3억원 이하여야 하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0182
[부동산납세과-695]
(2022.04.01)
|
1445 |
질의 |
종부 |
-
1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자가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다른 주택을 계약했을 때 합산배제 가능 여부
-
1주택을 소유한 개인이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기 이전에 새로운 주택을 취득하거나 그 주택을 취득하기 위한 계약 및 계약금을 지급한 경우 새로 취득한 주택에 대해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 합산배제 가능함
|
서면-2021-부동산-5152
[부동산납세과-696]
(2022.04.01)
|
1446 |
질의 |
종부 |
-
다가구주택에 대한 합산배제 요건 판단 기준
-
종부령§4①(1)에 따른 합산배제 요건 적용 판단 시 다가구주택은 각 호 별로 면적이 국민주택규모 이하이거나 과세기준일 현재 공시가격이 3억원 이하여야 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7524
[부동산납세과-693]
(2022.04.01)
|
1447 |
질의 |
상증 |
-
부(父)모(母)가 장남, 차남에게 각각의 가업을 승게하는 경우 가업승계 특례규정 적용방법
-
부(父)가 차남, 모(母)가 장남에게, 각각 경영하던 가업의 주식 등을 증여하여 가업을 승계함으로서 조특법§30의6① 등에 따른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도, 조특법§30의6②에 따라 거주자 1인이 모두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증여세 계산
|
서면-2020-법규재산-5942
[법규과-1077]
(2022.03.31)
|
1448 |
질의 |
국기 |
-
탈세제보포상금 지급 시기
-
탈세제보에 따른 과세처분에 대한 불복 절차가 모두 종료되지 않은 경우는 「국세기본법 시행령」 제65조의4제1항에서 규정하는 조세탈루제보자에 대한 탈세제보포상금 지급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볼 수 없음
|
서면-2021-법규기본-8137
[법규과-1076]
(2022.03.31)
|
1449 |
질의 |
조특 |
-
통합투자세액공제 적용대상 여부
-
다른 기업에서 연구개발한 신성장․원천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한 시설은 신성장사업화시설에 대한 투자에 해당하며, 바이오의약품 생산시 이물질 혼입 방지 기능을 하는 클린룸 설비에 대한 투자금액도 통합투자세액공제 대상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22-법규법인-1037
[법규과-1051]
(2022.03.30)
|
1450 |
질의 |
양도 |
-
조정대상지역 지정 후 본인 지분을 배우자에게 증여한 경우 거주요건 적용 여부
-
조정대상지역 공고일 이전에 부부 공동명의 주택을 취득한 1세대가 조정대상지역 공고일 후 본인 지분을 배우자에게 증여한 경우에는 거주요건을 적용하지 않음
|
서면-2022-부동산-1182
[부동산납세과-683]
(2022.03.30)
|
1451 |
질의 |
양도 |
-
장기임대주택 자동말소 후 임대요건 등을 계속 준수해야 중과배제 가능한지 여부
-
민간임대주택법에 따라 임대의무기간이 종료한 날 등록이 자동말소된 장기임대주택이 자동말소된 이후 소득령§167의3①(2)의 요건을 준수하지 않더라도 해당 임대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중과세율 배제 가능
|
서면-2022-법규재산-0208
[법규과-1023]
(2022.03.30)
|
1452 |
질의 |
양도 |
-
혼인합가로 3주택 보유 중 1주택 과세양도 후 남은 2주택 중 1주택 양도 시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
-
2021.1.1. 현재 3주택(A,B,C)을 보유 중인 1세대가 1주택(A)를 과세양도 후 남은 2주택(B,C) 중 1주택(C)을 양도하는 경우로서 혼인합가 특례가 적용되는 경우 해당 주택(C)의 비과세 보유기간은 직전 주택(A)의 양도일부터 기산하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4436
[법규과-1054]
(2022.03.30)
|
1453 |
질의 |
부가 |
-
대부업자가 대부업을 영위하는 특수목적법인에 채권관리 위탁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면세여부
-
대부업을 영위하는 사업자가 대부업법에 따라 대부업자로 등록한 다른 특수목적법인과 대부업무 위탁계약을 체결하여 특수목적법인에 대부채권 관리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금융용역으로서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것임
|
서면-2022-법규부가-0231
[법규과-1053]
(2022.03.30)
|
1454 |
질의 |
양도 |
-
농어촌주택과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을 보유한 1세대가 거주주택 양도시 비과세 특례 적용 여부
-
귀 질의의 경우 기존해석사례(서면-2020-부동산-0128 (2020.02.17.)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면-2020-부동산-4966
[부동산납세과-682]
(2022.03.30)
|
1455 |
질의 |
법인 |
-
주택신축 판매업 내국법인이 주택 부속토지를 양도하는 경우 비사업용 토지 해당 여부
-
주택신축 판매업 법인도 임야를 개발하여 주택신축 후 일괄양도 하는 경우에는 기간기준에 해당하는 주택 부속토지는 비사업용 토지에 해당
|
서면-2021-법인-7070
[법인세과-488]
(2022.03.30)
|
1456 |
질의 |
국기 |
-
소득금액이 없던 자가 상여처분에 따른 추가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적용되는 부과제척기간
-
당초 소득금액이 없던 자가 소득처분에 따른 소득을 추가신고하지 아니한 경우 5년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됨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323
[]
(2022.03.30)
|
1457 |
질의 |
국기 |
-
근로소득만 있던 자가 상여처분에 따른 소득의 추가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적용되는 신고불성실가산세 종류
-
당초 근로소득만 있어 확정신고하지 않았던 자가 소득처분에 따른 소득을 추가신고하지 않은 경우 과소신고가산세 대상에 해당함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324
[]
(2022.03.30)
|
1458 |
질의 |
소득 |
-
임대용 부동산의 증여로 인한 임대인 변경의 경우 조특법§96의3 세액공제 적용 여부
-
임대용 상가건물의 증여로 인하여 임대인이 변경된 경우에도「조세특례제한법시행령」 제96조의3에 규정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제96조의3에 따른 세액공제 적용 대상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21-소득-3311
[소득세과-428]
(2022.03.30)
|
1459 |
질의 |
양도 |
-
종전주택이 조합원입주권으로 전환된 후 신규주택 보유상태에서 해당 조합원입주권 양도 시 비과세 적용을 위한 양도기한
-
1세대가 신규주택(C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종전주택(A주택)이 조합원입주권으로 전환된 이후 해당 조합원입주권을 양도하는 경우로서, 소득법§89①(4)나목의 요건을 충족하여 신규주택(C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해당 조합원입주권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법§89①(4)에 따른 비과세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2140
[법규과-999]
(2022.03.29)
|
1460 |
질의 |
양도 |
-
취득당시 비조정대상지역인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 시 거주기간 요건 적용
-
2주택 이상을 보유한 1세대가 1주택 외의 주택을 모두 양도한 경우, 당해 최종 1주택이 취득 당시 비조정대상지역에 있었던 경우에는 최종 1주택이 된 날부터 2년 보유요건 충족 시 「소득세법 시행령」제154조제1항에 따른 1세대1주택 비과세를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2431
[부동산납세과-686]
(2022.03.29)
|
1461 |
질의 |
상증 |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규정 적용시 증여의제이익에서 차감하는 배당소득에 배당가산액(Gross-up)이 포함되는지 여부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규정 적용시 증여의제이익에서 차감하는 배당소득에는 배당가산액(gross-up)을 포함하지 않은 금액임
|
서면-2020-법규재산-3735
[법규과-1001]
(2022.03.29)
|
1462 |
질의 |
조특 |
-
임대용자산 취득이 기업소득 환류세제 적용시 ‘투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
자산 대여업을 부수사업으로 영위하는 법인이 해당자산을 취득하여 대여하는 경우 기업소득 환류세제상‘투자’에 해당
|
서면-2021-법인-8109
[법인세과-479]
(2022.03.29)
|
1463 |
질의 |
법인 |
-
대손금의 손금산입 시기
-
내국법인이 보유하고 있는 매출채권 중「법인세법 시행령」제19조의2 제1항 각 호의 규정에서 정한 사유로 회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9조의2 제3항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금에 산입하는 것임
|
서면-2021-법인-5790
[법인세과-477]
(2022.03.29)
|
1464 |
질의 |
양도 |
-
임대주택이 재개발로 멸실되는 경우 소득령 §155⑳의 특례 적용을 위한 거주주택 양도기한
-
임대의무기간의 1/2 이상이 경과하지 않은 장기임대주택(이하 “해당주택”)이 재개발사업으로 멸실되어 소득령§155㉒(2)마목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해당주택에 대한 시․군․구청의 등록말소시까지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소득령§155⑳에 따른 1세대1주택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6402
[법규과-976]
(2022.03.28)
|
1465 |
질의 |
상증 |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3조 제3항에 따른 최대주주등이 보유한 주식 등에 대한 할증평가 적용 여부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53조 제4항에 따른 최대주주 또는 최대출자자 및 그의 특수관계인에 해당하는 주주등의 주식 등에 대해서는 최대주주 등의 주식 할증평가를 적용하는 것이나,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53조 제7항 제7호에 따른 주식의 경우는 최대주주 등의 주식 할증평가를 적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
서면-2021-자본거래-5968
[자본거래관리과-163]
(2022.03.28)
|
1466 |
질의 |
상증 |
-
비상장주식 매매가액 시가 인정 여부
-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시가 계산 시 평가기준일 전후 6개월(증여재산의 경우 평가기준일 전 6개월부터 후 3개월)이내 당해재산에 대한 매매사실이 있는 경우 그 거래가액은 시가에 해당하는 것이나,
특수관계에 있는 자와의 거래 등 객관적으로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등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제49조 제1항 제1호 단서 금액은 제외하는 것임
|
서면-2022-자본거래-1249
[자본거래관리과-168]
(2022.03.28)
|
1467 |
질의 |
상증 |
-
비상장주식 매매가액 시가 인정 여부
-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시가 계산 시 평가기준일 전후 6개월(증여재산의 경우 평가기준일 전 6개월부터 후 3개월)이내 당해재산에 대한 매매사실이 있는 경우 그 거래가액은 시가에 해당하는 것이나,
특수관계에 있는 자와의 거래 등 객관적으로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등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제49조 제1항 제1호 단서 금액은 제외하는 것임
|
서면-2021-자본거래-6644
[자본거래관리과-167]
(2022.03.28)
|
1468 |
질의 |
상증 |
-
비상장주식의 순자산가액 계산 시 장부가액의 의미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제55조 제1항에 따라 비상장법인의 순자산가액을 계산하는 경우, 해당 법인의 자산을「상속세 및 증여세법」제60조 제3항 및 제66조에 따라 평가한 가액이 장부가액보다 적은 경우에는 장부가액으로 하는 것으로, 이 경우 장부가액이란 취득가액에서 감가상각비를 차감한 가액을 말함
|
서면-2021-자본거래-7304
[자본거래관리과-164]
(2022.03.28)
|
1469 |
질의 |
양도 |
-
계약서상 임대차기간이 1년인 임차인이 2년 거주 요청 시 신규주택 전입기한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1항제2호 각 목 외의 부분 단서에 따른 전 소유자와 임차인간의 임대차계약 종료일을 판정함에 있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제1항 본문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전 소유자와 임차인간의 임대차기간을 2년으로 보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3807
[법규과-959]
(2022.03.25)
|
1470 |
질의 |
소득 |
-
장애아동에게 발달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지급받는 대가가 현금영수증 발급 대상인지 여부
-
장애아동에게 발달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은 소비자상대업종에 해당하지 않고, 소득세법 제162조의3 제1항 또는 법인세법 제117조의2 제1항에 따라 현금영수증 가맹할 의무가 있는 업종에 해당하지 않는 점을 볼 때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할 의무가 없습니다.
|
서면-2022-전자세원-1166
[]
(2022.03.25)
|
1471 |
질의 |
양도 |
-
’17.8.2. 이전에 취득한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1세대 1주택 비과세 거주요건 적용 여부
-
’17.8.2. 이전에 취득한 주택은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 시 거주기간 요건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0081
[부동산납세과-658]
(2022.03.24)
|
1472 |
질의 |
조특 |
-
성과공유 중소기업의 경영성과급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 시 상시근로자 수 계산 방법
-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가 성과공유 중소기업 경영성과급 세액공제 적용대상 사업연도와 직전 사업연도 중 어느 하나의 사업연도에 상시근로자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사업연도와 직전 사업연도에서 해당 근로자를 제외하고 상시근로자 수를 계산하는 것임
|
서면-2022-법인-0590
[법인세과-464]
(2022.03.24)
|
1473 |
질의 |
종부 |
-
상속개시일 이후 상속지분이 변경되었을 때 상속주택이 세율 판단시 주택수에서 제외되는지 여부
-
상속을 통해 공동소유한 주택 지분 일부를 상속개시일 후 법인에 양도하여 과세기준일 현재 소유지분율 20% 이하 및 공시가격 3억원 이하 요건을 충족하게 되는 경우, 종부령§4의2③(1) 단서조항을 적용하여 세율 적용 시 주택수에서 제외할 수 있음
|
서면-2021-부동산-1750
[부동산납세과-660]
(2022.03.24)
|
1474 |
질의 |
종부 |
-
상속개시일 이후 상속지분이 변경되었을 때 상속주택이 세율 판단시 주택수에서 제외되는지 여부
-
상속을 통해 공동소유한 주택 지분 일부를 상속개시일 후 법인에 양도하여 과세기준일 현재 소유지분율 20% 이하 및 공시가격 3억원 이하 요건을 충족하게 되는 경우, 종부령§4의2③(1) 단서조항을 적용하여 세율 적용 시 주택수에서 제외할 수 있음
|
서면-2021-부동산-1844
[부동산납세과-659]
(2022.03.24)
|
1475 |
질의 |
양도 |
-
재산분할청구권의 행사에 따라 취득한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거주요건 적용 여부
-
계약금 지급일 현재 무주택 세대가 조정대상지역 공고일 이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사실이 확인되는 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이혼하는 경우로서, 일방 당사자가 혼인 후 부부쌍방의 노력으로 취득한 부부 공동명의 주택에 대해 재산분할청구권을 행사하여 타방 당사자 지분을 취득하고 당해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거주요건을 적용하지 않는 것임
|
서면-2022-부동산-0084
[부동산납세과-644]
(2022.03.23)
|
1476 |
질의 |
상증 |
-
5년 전 감면받은 농지 이외 농지를 동인인으로부터 증여받는 경우 합산배제 여부
-
감면받은 농지의 증여재산가액은 합산배제증여재산에 해당
|
서면-2021-상속증여-7722
[상속증여세과-169]
(2022.03.23)
|
1477 |
질의 |
조특 |
-
조특법§99의2 과세특례 대상 주택을 보유한 1세대가 조합원입주권 양도 시 비과세 여부
-
거주자가 소득법§89①(4)가목을 적용하는 경우 조특법§99의2①을 적용받는 주택은 해당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는 것임
|
서면-2020-법규재산-3142
[법규과-926]
(2022.03.23)
|
1478 |
질의 |
국기 |
-
조세심판원 결정이 국세기본법상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
조세심판원 결정은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소정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
기획재정부 조세법령운용과-310
[]
(2022.03.23)
|
1479 |
질의 |
양도 |
-
주식을 교환으로 양도하는 경우, 양도가액으로 보는 실지거래가액
-
주식 등을 교환으로 양도하는 경우, 교환대상 목적물에 대한 객관적인 금전가치를 기반으로 교환계약서상 기재한 교환가액은 양도가액으로 보는 실지거래가액에 해당하나,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제반사항을 고려하여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21-법규재산-4002
[법규과-918]
(2022.03.22)
|
1480 |
질의 |
주세 |
-
주류 통신판매 수단제공자의 범위와 의무
-
주류 통신판매 수단제공자가 주류 중개업자에 해당하는지는 사실판단할 사항이며, 「주류 통신판매에 관한 명령위임 고시」 제6조에서 규정하는 표시금지 의무 대상은 해당되지 않음
|
서면-2022-소비-0960
[소비세과-197]
(2022.03.22)
|
1481 |
질의 |
상증 |
-
주식을 시가로 소각하는 경우 [감자에 따른 이익의 증여] 과세대상 여부
-
귀 질의의 경우와 같이 주식을 시가로 소각하는 경우에는「상속세 및 증여세법」제39조의2 【감자에 따른 이익의 증여】증여세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이며,
기해석사례(서면-2020-자본거래-3107, 2020.07.16.)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서면-2022-자본거래-1164
[자본거래관리과-153]
(2022.03.22)
|
1482 |
질의 |
상증 |
-
비상장주식을 보충적 평가방법으로 평가 시 순자산가치로만 1주당 가액을 산정하는 경우
-
비상장주식을 보충적 평가방법으로 평가 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54조 제4항 제1호에 해당하는 경우, 순자산가치로 평가하는 것이나, 이에 해당하는지는 사실 판단할 사항임
|
서면-2022-자본거래-1248
[자본거래관리과-124]
(2022.03.22)
|
1483 |
질의 |
양도 |
-
’21.1.1. 현재 1주택자가 동거봉양 합가 특례를 적용받는 경우 보유기간 기산일
-
’21.1.1. 현재 1주택만 보유한 상태에서 1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직계존속을 동거봉양하기 위하여 세대를 합침으로써 1세대가 2주택을 보유하게 되는 경우로서 합친 날부터 10년 이내에 먼저 양도하는 주택은 1세대 1주택으로 보는 것이며, 이 경우 소득령§154①에 따른 보유기간은 양도하는 당해 주택의 취득일부터 기산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6926
[부동산납세과-625]
(2022.03.21)
|
1484 |
질의 |
양도 |
-
양도차익이 전소유자에게 반환된 경우 양도소득세 납세의무자 판단
-
양도소득세 납세의무자 판단은 실질과세의 원칙에 따라 판단할 사항임
|
서면-2021-법규재산-6581
[법규과-914]
(2022.03.21)
|
1485 |
질의 |
양도 |
-
장기임대주택과 분양권 보유 시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 여부
-
장기임대주택과 거주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해당 거주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분양권을 취득한 경우로서 그 분양권을 취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이를 1세대 1주택으로 봄
|
서면-2021-부동산-6294
[부동산납세과-626]
(2022.03.21)
|
1486 |
질의 |
국기 |
-
지방자치단체의 지급결정이 특례부과제척기간 적용대상인지 여부는 개별적 사실판단 사항임
-
지방자치단체의 지급결정이「국세기본법」제26조의2제6항제5호 “판결과 같은 효력을 가지는 화해나 그 밖의 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지급결정에 이르게 된 근거 및 원인을 살펴보아야할 개별적 사실판단 사항임
|
서면-2022-징세-0302
[징세과-947]
(2022.03.21)
|
1487 |
질의 |
법인 |
-
타법인 주주로부터 주식매입이 특수관계인간 거래에 해당되는지 여부
-
내국법인이 기업집단 법인의 임원으로부터 주식을 매입한 거래는 특수관계인간 거래에 해당
|
서면-2021-법인-5039
[법인세과-450]
(2022.03.21)
|
1488 |
질의 |
국조 |
-
국외지점의 지급 이자비용이 한도 초과 외국납부세액의 이월배제액 산정 시, 고려할 직ㆍ간접 비용인지 여부
-
외국납부세액공제 한도초과액 중 이월배제되는 금액 계산 시, 국외원천소득에서 차감하는 직ㆍ간접비는 소득 원천지국에서 과세할 때 비용으로 차감되지 않은 관련비용을 의미함
|
서면-2021-국제세원-8036
[국제조세담당관-312]
(2022.03.18)
|
1489 |
질의 |
양도 |
-
일반주택과 조특법상 특례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일반주택 양도 시 보유기간 기산일
-
21.1.1. 현재 일반주택과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2제1항에 따른 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일반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보유기간 기산일은 해당 일반주택의 취득일로 하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5890
[법규과-882]
(2022.03.18)
|
1490 |
질의 |
법인 |
-
자금보충약정 등으로 양수 받은 대출채권이 채무보증으로 인하여 발생한 구상채권에 해당하는지 여부
-
「법인세법 시행령」제19조의2 제6항 제5호에 따른 채무보증으로 인하여 발생한 구상채권과 관련된 대손금은 손금에 산입하는 것임
|
서면-2021-법인-3478
[법인세과-446]
(2022.03.18)
|
1491 |
질의 |
양도 |
-
2주택 보유세대가 ’21.2.17. 전에 별도세대인 손자에게 1주택을 증여한 경우 남은 주택의 보유기간
-
2주택 보유세대가 ’21.2.17. 전에 별도세대인 손자에게 1주택을 증여한 경우 남은 주택의 보유기간은 재기산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21-부동산-7878
[부동산납세과-568]
(2022.03.17)
|
1492 |
질의 |
양도 |
-
혼인합가 특례로 1주택을 먼저 양도(비과세) 하고 남은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보유기간 기산일
-
1주택(A)을 보유한 자와 1주택(B)을 보유한 자가 혼인함으로써 1세대가 2주택을 보유하게 되는 경우로서 혼인한 날로부터 5년 이내 1주택(B)을 먼저 양도하여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5항 특례에 따라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을 받고, 남은 1채(A)를 양도하는 경우 양도하는 주택(A)의 보유기간 기산일은 양도하는 당해 주택의 취득일임
|
서면-2021-부동산-4567
[부동산납세과-569]
(2022.03.17)
|
1493 |
질의 |
상증 |
-
상속받은 재산을 상속인이 아닌 손자녀에게 증여 후 사망한 경우 단기재상속세액공제 적용 여부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30조제1항에 따른 재상속되는 상속재산에는 피상속인이 상속인 또는 수유자가 아닌 자에게 증여한 재산가액이 포함되지 않는 것임
|
서면-2021-법규재산-4029
[법규과-859]
(2022.03.17)
|
1494 |
질의 |
상증 |
-
순자산가치로만 평가하는 80%이상 부동산 보유법인 판단시 자산총액 산정방법
-
순자산가치로만 평가하는 ‘자산총액 중 부동산 등의 가액이 80% 이상인 법인의 주식’ 판단시, 자산총액이란 ‘법인의 장부가액’에 따르고, ‘법인의 장부가액’이란 세무계산상 장부가액을 말하는 것임
|
서면-2022-법규재산-0469
[법규과-881]
(2022.03.17)
|
1495 |
질의 |
조특 |
-
임대의무기간 경과 후에도 임대요건 등을 준수해야 조특법§97의3 특례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
-
조특법§97의3(“쟁점특례”) ①에 따른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등(“쟁점주택”)을 조특령§97의3③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서 의무임대기간동안 계속하여 임대한 후 양도하는 경우, 양도일 현재까지 쟁점주택을 민간임대주택법§2(4) 또는 (5)에 따른 임대주택으로 등록하여 임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쟁점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음
|
서면-2021-법규재산-8062
[법규과-847]
(2022.03.16)
|
1496 |
질의 |
양도 |
-
임대주택법에 따른 분양전환으로 취득한 주택의 취득시기
-
임대주택법에 따른 분양전환으로 임대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매매대금이 기납부보증금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금청산일은 분양전환 합의에 의하여 기납부보증금이 매매대금화 되는 날임
|
서면-2021-부동산-7772
[부동산납세과-549]
(2022.03.16)
|
1497 |
질의 |
조특 |
-
창업벤처중소기업 감면 요건을 충족하는 지 여부
-
감면업종으로 창업하여 창업 후 3년 이내에 벤처기업으로 확인받은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감면을 적용 받을 수 없음
|
서면-2022-법인-1043
[법인세과-426]
(2022.03.16)
|
1498 |
질의 |
조특 |
-
통합투자세액공제 적용 여부
-
사업용 유형자산에 해당하는 기계장치는 연구개발전담부서 인정 여부와 관계없이 통합투자세액공제 대상에 해당함
|
서면-2022-법인-1038
[법인세과-427]
(2022.03.16)
|
1499 |
질의 |
법인 |
-
토지와 건물을 일괄 양도하는 경우 토지등 양도소득 과세특례 적용 방법
-
건물(미준공)은 토지등 양도소득 과세특례 적용대상이 아니므로 토지(전) 전체 면적에 대해서만 토지등 양도소득 과세특례를 적용
|
서면-2021-법인-5788
[법인세과-428]
(2022.03.16)
|
1500 |
질의 |
부가 |
-
도시철도를 건설하여 기부채납하고 관리운영권을 얻어 면세사업에 사용하는 경우 영세율 적용 여부
-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제2조제8호의 사업시행자가 도시철도 사업을 위한 운영설비 및 건설사업관리용역을 포함한 도시철도사업시설 일체를 지방자치단체에 기부채납하고 시설관리운영권을 취득한 거래는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부가가치세제과-152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