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
질의 |
소득 |
-
공동사업 구성원의 국민건강보험료에 대한 필요경비 산입 가능 여부
-
공동사업장 구성원이 지출한 사업자 본인의 지역가입 국민건강 보험료는 해당 공동사업장의 필요경비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5743
[법령해석과-2684]
(2017.09.22)
|
202 |
질의 |
소득 |
-
1주택 소유 주택임대업자가 주택 양도 후 2개의 오피스텔을 취득·주거용으로 임대하는 경우 주택임대소득 비과세 적용 방법
-
주거용 건물 임대업에서 발생한 수입금액의 합계액이 2000만원 이하인 자에 대한 비과세 주택임대소득의 요건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2주택 소유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주택임대 수입금액의 합계액을 그 대상으로 하는 것임
|
서면-2017-소득-1345
[소득세과-1259]
(2017.08.10)
|
203 |
질의 |
소득 |
-
선택적 분리과세 연금소득을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신고한 이후 분리과세로 경정청구 가능여부
-
「소득세법」제14조제3항제9호에 따른 연금소득을 종합소득과세표준의 계산에 있어 합산하여 신고한 경우, 「국세기본법」제45조의2에 따라 분리과세로 경정청구 할 수 있는 것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1556
[법령해석과-3103]
(2017.10.27)
|
204 |
질의 |
원천 |
-
산학협력단이 학생 및 교직원에게 지급하는 기술료보상금의 소득구분
-
산학협력단이 학생으로부터 지식재산권을 이전받은 대가로 학생에게 지급하는 기술료 보상금은 기타소득에 해당하며, 교직원으로부터 직무관련 연구수행 과정에서 획득한 노하우를 이전받은 대가로 교직원에게 지급하는 기술료 보상금은 근로소득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1558
[법령해석과-3688]
(2017.12.22)
|
205 |
질의 |
소득 |
-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상 설계공모 비용 보상금의 소득세법상 과세대상 여부
-
건축설계 및 관련 서비스업을 하는 거주자가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 시행령」제17조 제4항 및「건축 설계공모 운영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345호)」제21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급받는 공모비용의 보상금은「소득세법 시행령」제51조제3항제5호에 따라 사업소득의 총수입금액에 산입하는 것임
|
서면-2017-소득-0989
[소득세과-957]
(2017.05.31)
|
206 |
질의 |
소득 |
-
개인 의료업자가 입원시설을 부동산임대업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 구분 회계처리 여부 등
-
동일 사업장내에 부동산임대소득과 사업소득이 있는 사업자는「소득세법」제160조제4항의 규정에 따라 그 소득별로 구분하여 회계처리하여야 하는 것이나, 이 경우 당해 사업자가 부동산임대소득이 있는 거주자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는 임대업 부분의 사업자등록, 기타 관련 증빙에 의한 객관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판단할 사항임
|
서면-2017-소득-0933
[소득세과-1140]
(2017.07.12)
|
207 |
질의 |
소득 |
-
부담부 증여받은 채무에 대한 지급이자를 부동산임대 공동사업장의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있는지
-
공동사업에 출자하기 위하여 차입한 금액에 대한 지급이자는 당해 공동사업장의 소득금액계산상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없는 것이며, 출자를 위한 차입금 외에 당해 공동사업을 위하여 차입한 차입금의 지급이자는 당해 공동사업장의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있는 것임
|
서면-2017-소득-1342
[소득세과-1020]
(2017.06.16)
|
208 |
질의 |
소득 |
-
재해발생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과세표준의 수정신고시 재해손실세액공제의 적용 여부
-
재해발생일 이후에 재해발생일 이전 과세연도의 매출누락이 발견되어 수정신고하는 경우에는 재해손실세액공제 대상이 아닌 것임
|
서면-2017-소득-1195
[소득세과-1180]
(2017.07.20)
|
209 |
질의 |
소득 |
-
수영장 운영업에서 발생한 손해배상금을 부동산임대업의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있는지
-
실내수영장 운영업에서 부동산임대업으로 업종을 변경한 후에 실내수영장 운영업을 하면서 발생하였던 손해에 대해 지급하게 되는 손해배상금은 해당 거주자의 부동산임대소득금액 계산시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없는 것임
|
서면-2017-소득-1002
[소득세과-1019]
(2017.06.16)
|
210 |
질의 |
소득 |
-
농민이 재배한 대추를 원료로 대추칩을 가공하여 통신판매하는 경우 소득세 과세 여부
-
농민이 재배한 대추로 만든 대추칩을 생산한 후에 판매장의 설치없이 해당 대추칩을 통신판매함으로써 발생한 소득이 ‘작물재배업’에서 발생한 소득인지, ‘제조업’에서 발생한 소득인지는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기준으로 하는 것임
|
서면-2017-소득-0557
[소득세과-936]
(2017.05.29)
|
211 |
질의 |
소득 |
-
부부가 부동산임대업을 공동으로 하는 경우 주택의 임대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 계산방법
-
단독명의 주택과 공동명의 주택이 혼합된 경우 간주임대료 계산대상 해당여부는 각 거주자별로 판단하되,단독명의 주택과 공동명의 주택을 구분하여 각각 간주임대료를 계산하며, 간주임대료와 월 임대료를 합산하여 각 공동명의 주택별 소득금액을 계산한 후 각 공동명의 주택의 손익분배비율에 따라 각 거주별로 소득금액을 배분하여야 하는 것임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5179
[법령해석과-1606]
(2017.06.12)
|
212 |
질의 |
소득 |
-
변호사가 파산채권신고를 대리하고 배당금을 받도록 하게 한 대가로 지급받는 소득의 소득구분
-
변호사업을 하는 거주자가 채권자를 대리하여 신청한 파산사건에서 파산채권자들로부터 위임받은 내용에 따라 파산채권신고를 대리하고 그 파산채권자들이 배당금을 받도록 한 것에 대한 대가로서 지급받는 금액(수임료)은 사업소득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17-소득-1070
[소득세과-1050]
(2017.06.27)
|
213 |
질의 |
소득 |
-
농민이 재배한 대추를 원료로 대추칩을 가공하여 통신판매하는 경우 소득세 과세 여부
-
농민이 재배한 대추로 만든 대추칩을 생산한 후에 판매장의 설치없이 해당 대추칩을 통신판매함으로써 발생한 소득이 ‘작물재배업’에서 발생한 소득인지, ‘제조업’에서 발생한 소득인지는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기준으로 하는 것임
|
서면-2017-소득-0887
[소득세과-936]
(2017.05.29)
|
214 |
질의 |
소득 |
-
수도권과밀억제권역 밖으로 이전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소득세 감면 적용대상 공장 해당 여부
-
공장 지방이전 감면대상 공장은 제조장 또는 자동차정비공장으로서 제조 또는 사업단위로 독립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단순히 상품을 선별・정리・분할・포장・재포장하는 경우 등과 같이 그 상품의 본질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처리활동을 수행하는 곳은 감면대상 공장에 해당하지 아니함
|
서면-2017-소득-0991
[소득세과-1066]
(2017.06.29)
|
215 |
질의 |
소득 |
-
보험모집인이 대납한 보험료의 필요경비 인정 여부
-
「보험업법」에 규정된 보험계약의 체결 또는 모집에 종사하는 자가 보험계약의 체결 또는 모집과 관련하여 보험계약자나 피보험자를 위해 보험료를 대납하여 같은 법 제98조제4호를 위반한 경우에 해당 대납한 보험료는 「소득세법」제27조에 따른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없는 것임
|
서면-2017-소득-1561
[소득세과-1049]
(2017.06.27)
|
216 |
질의 |
소득 |
-
2017년에 지급받는 직무발명보상금에 대한 소득법상 소득구분 및 비과세범위
-
「발명진흥법」제2조제2호에 따른 종업원등이 같은 호에 따른 사용자등으로부터 2017.1.1. 이후 지급받는 직무발명보상금의 경우에는「소득세법」제20조제1항제5호의 규정에 의해 근로소득에 해당하고, 해당 종업원등이 퇴직한 후에 지급받는 경우에는 같은 법 제21조제1항제22의2의 규정에 의해 기타소득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17-소득-0803
[소득세과-882]
(2017.05.18)
|
217 |
질의 |
소득 |
-
판매목적 미분양 상가를 일시 임대하다가 자녀에게 증여한 경우 사업소득 과세대상 여부
-
판매를 목적으로 취득한 부동산을 일시적으로 임대하다가 판매하는 경우에는 부동산매매업에 해당하는 것이나, 부동산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이 부동산매매업 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부동산의 취득 및 양도의 목적과 경위, 이용실태, 거래의 규모ㆍ빈도ㆍ계속성ㆍ반복성 등을 종합하여 사회통념에 비추어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17-소득-1660
[소득세과-1067]
(2017.06.29)
|
218 |
질의 |
소득 |
-
보험업법상 보험설계사가 보험대리업으로 면세사업자등록 가능한지
-
「보험업법」제87조의 규정에 의하여 보험대리점이 되지 못하는 보험설계사는 부가가치세가 면세되는 보험대리 및 중개업을 업종으로 소득세법 제168조의 사업자등록을 할 수가 없는 것임
|
서면-2017-소득-0288
[소득세과-938]
(2017.05.29)
|
219 |
질의 |
소득 |
-
한의원 사업자의 국민건강보험법 제57조에 따른 부당이득 환수금액의 세무처리
-
의료업을 경영하는 거주자가 사업소득에 대한 총수입금액으로 신고한 금액 중 「국민건강보험법」제57조에 따라 환수되는 금액은 그 환수가 확정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총수입금액에서 차감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5543
[소득세과-1630]
(2016.11.01)
|
220 |
질의 |
소득 |
-
과소징수된 근로소득 원천징수세액에 대해 원천징수의무자가 납부의무를 지는지 여부
-
원천징수 대상소득에 대해 원천징수한 내용에 탈루 또는 오류가 있는 경우로서 근로자가 퇴직하여 원천징수의무자가 원천징수 이행이 어렵다고 인정되더라도 해당 소득의 귀속자로부터 소득세가 납부 또는 징수되지 아니한 경우 원천징수의무자의 원천징수의무는 소멸하지 아니함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5315
[법령해석과-1803]
(2017.06.30)
|
221 |
질의 |
원천 |
-
연금저축계좌의 ETF편입에 따른 과세대상소득 산정 방법
-
거주자가 연금저축계좌 운용을 위해 ETF에 투자하여 과세대상 소득을 산정하는 경우 투자중개업자와 체결한 중개계약에 따라 지급하는 위탁매매수수료를 차감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286
(2017.06.27)
|
222 |
질의 |
소득 |
-
관계사 전출시 퇴직급여를 수령한 경우 퇴직소득 계산시 전출입 회사간 근속연수 합산 여부
-
관계사 전출시 퇴직급여를 수령하였더라도 이후 전입된 회사에서 퇴직할 때 전출입 회사간 근속연수를 합산하여 퇴직소득세액을 정산가능함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208
(2016.05.17)
|
223 |
질의 |
소득 |
-
활어차량 개조업자의 총수입금액 산정 시 원자재 차량 취득가액 차감 가능여부
-
차량을 구입하여 활어차량으로 개조하는 사업자는 개조차량의 판매금액을 총수입금액에 산입하는 것이며, 구입한 차량의 취득가액을 수입금액과 상계하여 총수입금액에 산입하는 것이 아님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6173
[법령해석과-1853]
(2017.06.30)
|
224 |
질의 |
소득 |
-
택배차량 파손으로 인한 신규차량 구입 시 즉시상각의제 규정 적용 가능여부
-
택배업자가 운송차량의 사고로 이를 폐기하고 새로운 차량을 구입하는 경우 기존 운송차량의 장부가액은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있는 것임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5477
[법령해석과-1855]
(2017.06.30)
|
225 |
질의 |
소득 |
-
실버뱅킹 이익의「소득세법」상 과세대상 여부
-
실버뱅킹 이익이 소득세법상 과세대상인지 여부는 기존 유사 회신문(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67, ’17.2.28.)을 참고하시기 바람
|
서면-2017-원천-1638
[원천세과-694]
(2017.06.27)
|
226 |
질의 |
원천 |
-
연금저축계좌의 ETF편입에 따른 과세대상소득 산정 방법
-
거주자가 연금저축계좌 운용을 위해 ETF에 투자하여 과세대상 소득을 산정하는 경우 투자중개업자와 체결한 중개계약에 따라 지급하는 위탁매매수수료를 차감하는 것임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3877
[법령해석과-2014]
(2017.07.13)
|
227 |
질의 |
소득 |
-
택배업이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 적용대상 업종인 물류산업에 해당하는지 여부
-
한국표준산업분류상의 택배업(49401)은 「조세특례제한법」 제7조의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이 적용되는 물류산업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1510
[법령해석과-1875]
(2017.06.30)
|
228 |
질의 |
소득 |
-
상가의 수분양자가 1년간의 상가 수익보장금을 일시에 지급받아 잔금청산에 사용한 경우 수입금액 계산
-
신축 상가 분양업체로부터 수분양자가 지급받는 수익보장금이 소득세법 시행령 제51조 제3항제1호의 규정에 따른 선세금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위 같은 규정에 따라 선세금을 계약기간의 월수로 나눈 금액의 각 과세기간의 합계액을 사업소득의 총수입금액으로 계산할 수 있는 것이나,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구체적인 사실관계 등을 종합하여 판단해야 할 사항임
|
서면-2017-소득-1667
[소득세과-1211]
(2017.07.26)
|
229 |
질의 |
소득 |
-
회생계획인가결정에 따라 출자전환된 매출채권의 소득세법상 필요경비 인정 여부
-
회생계획인가의 결정에 따라 외상매출채권이 채무자의 주식으로 출자전환된 경우 매출채권의 대손은 인정되며 출자전환 후 감자하는 경우 대손인정되지 않음
|
서면-2017-소득-1347
[소득세과-1261]
(2017.08.10)
|
230 |
질의 |
소득 |
-
공동사업 구성원의 건보료에 대한 필요경비 산입 가능 여부
-
사업을 공동으로 경영하고 그 손익을 분배하는 공동사업장의 소득금액 계산시 공동사업자의 건강보험료는 공동사업장의 필요경비에 산입함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443
(2017.09.18)
|
231 |
질의 |
소득 |
-
공동사업장 구성원 변경 시 성실신고확인대상 판단방법
-
사업을 공동으로 운영하고 그 손익을 분배하는 공동사업의 경우 성실신고확인대상사업자의 여부는 공동사업장을 1사업장으로 보고 판단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447
(2017.09.18)
|
232 |
질의 |
소득 |
-
개별 사찰에서 발생하는 소득의 사업소득 과세대상 여부
-
법인이 아닌 단체에 해당하는 개별사찰이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종교단체(9491)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종교단체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소득은 사업소득의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해당 개별사찰이「소득세법」제19조제1항에서 정하는 특정사업을 경영하는 경우에는 그 사업 활동을 통하여 얻는 소득은 사업소득으로 과세되는 것임
|
서면-2017-소득-2281
[소득세과-1303]
(2017.08.22)
|
233 |
질의 |
원천 |
-
비과세종합저축 비과세 적용 여부
-
「조세특례제한법시행령」 제82조의2 제5항에 따라 비과세종합저축의 계약기간의 만료일 이후 발생하는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부과하는 것이며, 이 경우 「국세기본법」 제4조에 따라 「민법」 제161조는 적용되지 아니함
|
서면-2017-원천-2672
[원천세과-1023]
(2017.10.18)
|
234 |
질의 |
소득 |
-
공동사업 구성원의 국민건강보험료에 대한 필요경비 산입 가능 여부
-
공동사업장 구성원이 지출한 사업자 본인의 직장가입 국민건강 보험료는 해당 공동사업장의 필요경비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4431
[법령해석과-2683]
(2017.09.22)
|
235 |
질의 |
소득 |
-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상 사업시행자의 재결신청 지연으로 토지소유자에게 지급하는 지연가산금의 기타소득 여부
-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시행자인 조합의 재결신청 지연으로 인해 지급받은 지연가산금은「소득세법」제21조제1항제10호의 기타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
서면-2017-소득-1333
[소득세과-1629]
(2017.11.03)
|
236 |
질의 |
소득 |
-
화훼재배업의 사업소득 과세대상 여부
-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화훼작물 재배업(01122)’이나 ‘화훼 시설 재배업(01152)’에 해당하고 해당 과세기간의 작물재배업에서 발생하는 소득으로서 수입금액의 합계액이 10억원 이하인 경우에는 소득세가 비과세되는 것임
|
서면-2017-소득-2353
[소득세과-1621]
(2017.11.02)
|
237 |
질의 |
소득 |
-
의제배당소득금액 계산시 증여로 취득한 주식의 취득가액 계산
-
상속 또는 증여에 의하여 해당 주식 등을 취득한 경우 그 취득가액에는 상속재산의 가액 또는 증여재산의 가액에 해당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취득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지출한 부수비용 등의 합계액으로 하며, 이때 해당 자산에 대하여 납부하였거나 납부할 상속세 또는 증여세 상당액은 포함하지 않음
|
서면-2017-소득-2269
[소득세과-1628]
(2017.11.03)
|
238 |
질의 |
소득 |
-
점유취득시효에 의한 토지의 취득이 기타소득 과세대상인지
-
해당 거주자가「민법」제245조제1항에서 정하는 점유로 인한 부동산소유권 취득의 요건을 충족하여 해당 토지를 취득하는 경우에는「소득세법」제21조에 따른 기타소득의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17-소득-3104
[소득세과-1704]
(2017.11.17)
|
239 |
질의 |
소득 |
-
임차인의 과실에 의한 화재로 임대한 공장건물이 소실된 경우 임대인은 재해손실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
-
부동산임대업을 영위하는 거주자가 보유하고 있던 공장건물이 임차인의 과실로 인한 화재로 소실되어 임대차계약 약정 등에 따라 임차인이 해당 건물을 원상복구하거나 손해배상을 하는 경우에는 부동산임대사업자는 재해손실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음
|
서면-2017-소득-2278
[소득세과-1703]
(2017.11.17)
|
240 |
질의 |
소득 |
-
염전업을 하는 어업인이 천일염을 생산·판매하는 소득이 농가부업소득의 범위에 해당하는지
-
염전업을 하고 있는 사업자가 천일염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소득은「소득세법」제12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9조에 따른 농가부업소득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
서면-2017-소득-2478
[소득세과-1829]
(2017.12.14)
|
241 |
질의 |
소득 |
-
주택재건축 공동사업의 구성원 각자에게 분배되는 1주택이 총수입금액에 포함되는지 여부
-
재건축조합의 소득금액계산에 있어서 총수입금액은 일반분양하는 잔여세대의 아파트와 자기지분을 초과한 아파트를 취득하는 조합원으로부터 조합의 규약 등에 따라 분양대금으로 별도로 지급받는 금액 및 상가 등의 분양대금을 합계한 금액으로 하는 것임
|
서면-2017-소득-3466
[소득세과-1827]
(2017.12.14)
|
242 |
질의 |
소득 |
-
장례식장업을 하는 사업자가 임대인의 부도로 회수하지 못한 임차보증금을 대손금으로 필요경비 산입할 수 있는지
-
사업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당해 사업장에 대한 임차보증금이 소득세법 시행령 제55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대손금 요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있는 것임
|
서면-2017-소득-3493
[소득세과-1867]
(2017.12.21)
|
243 |
질의 |
소득 |
-
양계업을 하는 농민이 소를 사육하여 타인에게 도축의뢰한 후 판매하는 소득이 농가부업소득인지
-
양계업을 하는 농민이 축사에서 소를 사육하여 도축업자에게 도축을 의뢰한 후 해당 농민이 도축한 고기를 포장·판매하여 발생하는 소득은「소득세법」제12조제2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9조제1항에 따른 농가부업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
서면-2017-소득-2820
[소득세과-1868]
(2017.12.21)
|
244 |
질의 |
소득 |
-
회계법인 소속 공인회계사가 고용계약 없이 다수의 강의처에 회계 관련 강의를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경우 공인회계사업 해당 여부
-
공인회계사 자격이 있는 거주자가 회계법인에 소속된 피고용인으로서 근로를 제공하고 정기적으로 급여를 수령하는 것과는 별도로 영리를 목적으로 자기의 계산과 책임하에 계속적ㆍ반복적으로 다수인에게 회계 관련 강의용역을 제공하고 지급받는 대가는「소득세법」제19조제1항18호에 따른 사업소득에 해당하는 것이며 이에 해당하는지는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17-소득-2619
[소득세과-1892]
(2017.12.28)
|
245 |
질의 |
소득 |
-
대학교 소속 산업교원이 산학협력단으로부터 분배받는 산업자문료의 소득구분
-
대학에서 설립한 산학협력단이 산업체 등과 산업자문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산업교원이 산업자문을 제공하고 산학협력단으로부터 받은 산업자문료가직무발명보상금에 해당하는지는「발명진흥법」및 「산학협력법」등의 관련 법령에서 정한 내용에 따라 판단할 사항임
|
서면-2017-소득-2472
[소득세과-1741]
(2017.11.24)
|
246 |
질의 |
원천 |
-
부실채권 공매 이후 신탁수익금이 채권의 이자 상당 부분에 변제될 경우 이자소득 해당여부
-
매수한 피담보채권의 담보물을 공매하여 발생한 차익은 원칙적으로 원천징수 의무가 없는 것임. 다만, 당해 채권매매의 실질이 원 채권자의 지위를 포괄적으로 승계하는 것이면 원천징수 의무가 있는 이자소득에 해당하나, 당해 채권매매의 실질은 사실판단하여 결정할 사항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0974
[법령해석과-27]
(2018.01.05)
|
247 |
질의 |
소득 |
-
여신금융회사의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해당 여부
-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른 시설대여업을 영위하는 여신금융회사가 자동차를 대여하고 사용기간 종료 후 거래상대방에게 자동차를 판매하는 행위는 현금영수증 의무발급업종에 해당하지 아니함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644
(2017.12.26)
|
248 |
질의 |
소득 |
-
개정된 퇴직소득세액정산제도의 적용시기
-
출자 관계사로 전출하면서 퇴직금을 지급받은 경우 2016.2.16 이전에 실제 퇴직할 때 전출시 받은 퇴직금도 퇴직소득세액 정산 대상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633
(2017.12.22)
|
249 |
질의 |
소득 |
-
개정된 퇴직소득세액정산제도의 적용시기
-
출자 관계사로 전출하면서 퇴직금을 지급받은 경우 2016.2.16 이전에 실제 퇴직할 때 전출시 받은 퇴직금도 퇴직소득세액 정산 대상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0345
[법령해석과-264]
(2018.01.29)
|
250 |
질의 |
소득 |
-
부당하게 지급받은 건강보험급여의 ‘환수가 확정되는 날’의 의미
-
부당 지급받은 보험급여의 환수가 확정된 날이란 해당 의료업자에게 환수결정 통지서가 도달된 날을 의미하는 것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0990
[법령해석과-187]
(2018.01.23)
|
251 |
질의 |
소득 |
-
회생계획인가 결정에 따라 감액된 원금을 초과하여 변제받은 지연손해금의 기타소득 해당여부
-
회생계획인가 결정에 따른 채무면제로 인해 채권자의 채권원금 자체가 감액된 경우 동 결정에 따라 변제받은 금액 중 감액된 원금 부분을 초과하여 지급받은 지연손해금은 기타소득에 해당함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0532
[법령해석과-145]
(2018.01.17)
|
252 |
질의 |
소득 |
-
운용리스로 사용하던 업무용승용차를 과세기간 중 취득한 경우 감가상각 한도 계산방법
-
리스 만료로 해당 승용차를 직접 취득하여 계속 업무용승용차로 사용하는 경우 임차 또는 취득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차량으로 보아 해당 차량의 감가상각비 또는 감가상각비상당액의 한도를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1793
[법령해석과-82]
(2018.01.11)
|
253 |
질의 |
소득 |
-
원천징수대상소득을 원천납세의무자가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에 포함하여 신고하였으나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 원천징수의무자의 원천세 납부의무
-
원천징수의무자가 원천징수이행이 어렵다고 인정되어 원천징수의무자에게 「국세기본법」제47조의5 제1항에 따른 가산세액만 징수한 경우로서 그 원천징수대상소득을 납세의무자가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에 포함하여 신고하였으나 세액을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 원천징수의무자에게 다시 원천세를 부과할 수 없음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198
(2018.03.20)
|
254 |
질의 |
소득 |
-
재평가적립금으로 현금배당하는 경우 소득세법상 배당소득 과세대상 해당여부
-
귀 서면질의의 사실관계에서 재평가적립금은 「자산재평가법」 제28조제2항 각호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를 처분하지 못함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2618
[법령해석과-554]
(2018.02.28)
|
255 |
질의 |
소득 |
-
주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피스텔을 신축ㆍ판매한 사업자가 부동산매매업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
주거용 오피스텔을 신축하여 판매하는 사업자는 「소득세법」 제69조의 토지등 매매차익에 대한 예정신고 납부를 하여야 하는 것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2469
[법령해석과-327]
(2018.02.02)
|
256 |
질의 |
소득 |
-
분양자로부터 수분양자 등이 지원받는 수익보장금의 소득세 과세여부
-
상가 가격할인 목적이 아닌 상가 활성화 목적으로 상가 소유자가 상가 분양자로부터 지급받는 수익보장금은 그 사업자의 사업소득 총수입금액에 산입하는 것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0225
[법령해석과-1798]
(2017.06.30)
|
257 |
질의 |
소득 |
-
태양광발전 사업자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판매에 대한 수입시기
-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자’가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판매하는 경우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자는 인증서 인도일에 수입을 인식하는 것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1073
[법령해석과-2736]
(2017.09.28)
|
258 |
질의 |
소득 |
-
성실신고확인비용에 대한 세액공제액 추징 여부 판단방법
-
성실신고확인비용에 대한 세액공제 및 추징은 개인별로 적용하며, 과소신고한 성실신고확인대상 사업소득금액이 경정된 성실신고확인대상 사업소득금액의 100분의 10이상인 경우 성실신고세액공제액을 추징하고 경정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의 다음 과세연도부터 3개 과세연도 동안 성실신고세액 공제를 하지 아니함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1146
[법령해석과-1880]
(2017.06.30)
|
259 |
질의 |
소득 |
-
비과세 사업소득만 발생하던 사업자가 최초로 과세 사업소득이 발생한 경우 신규사업자인지 여부
-
비과세 사업소득만 발생하던 사업자에게 처음으로 과세대상 사업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그 사업자는 해당 과세기간에 신규로 사업을 개시한 사업자에 해당함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0735
[법령해석과-1876]
(2017.06.30)
|
260 |
질의 |
소득 |
-
선박의 폐선으로 선원이 선원법에 따라 지급받는 실업수당의 소득구분
-
선박의 폐선으로 선원이 「선원법」 제37조 제3호에 따라 지급받는 실업수당은 퇴직소득에 해당하며 「소득세법」 제12조에 열거된 비과세 소득에 해당하지 아니함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5052
[법령해석과-1412]
(2017.05.26)
|
261 |
질의 |
소득 |
-
부동산매매업자의 텔레마케터 수수료가 필요경비에 해당하는지 여부
-
부동산매매업자의 주택등 매매차익을 계산할 때 텔레마케터에게 지급하는 수수료는 양도비(소개비)에 해당하지 아니함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464
(2017.07.24)
|
262 |
질의 |
소득 |
-
사업자등록상 사업장을 이전하고 업종을 변경하여 사업개시 시 창업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 적용 여부
-
기존의 사업과 연관성이 없는 다른 업종의 사업을 새로이 개시하는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제6조의 창업 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이 적용되는 ‘창업’에 해당하는 것임
|
기준-2017-법령해석소득-0057
[법령해석과-1319]
(2017.05.19)
|
263 |
질의 |
소득 |
-
부동산매매업자의 텔레마케터 수수료가 필요경비에 해당하는지 여부
-
부동산매매업자의 주택등 매매차익을 계산할 때 텔레마케터에게 지급하는 수수료는 양도비(소개비)에 해당하지 아니함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4908
[법령해석과-2187]
(2017.07.27)
|
264 |
질의 |
소득 |
-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의 조합원이 조합으로부터 이주비 대여금 이자나 중도금 대출금 이자를 무상 지원받는 경우 소득세 과세 여부
-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조합이 자기지분(무상지분)을 초과한 아파트를 취득하는 조합원으로부터 조합의 규약 등에 따라 분양대금으로 별도로 지급받는 소득을 조합원의 이주비 대여금이나 중도금 대출금에 대한 이자의 지급에 충당함으로써 조합원이 해당 조합으로부터 무상으로 지원받게 되는 이자비용 상당액은 배당소득에 해당함
|
서면-2017-소득-1224
[소득세과-1336]
(2017.08.28)
|
265 |
질의 |
소득 |
-
舊「조세특례제한법」제86조의2에 따른 연금저축 가입자 사망 시 인출금의 소득구분
-
舊「조세특례제한법」제86조의2에 따른 연금저축에 가입한 자가 2015.1.1.이후 사망으로 인출하는 경우 당해 인출이 연금소득으로 과세되기 위해서는 사망이 확인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연금계좌 취급자에게 제출하여야 함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5966
[법령해석과-2735]
(2017.09.28)
|
266 |
질의 |
소득 |
-
상속으로 인한 사업승계시 일시상각충당금의 처리방법
-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사업을 포괄적으로 승계 받은 경우 상속 개시일 현재 「소득세법 시행령」 제59조 제3항에 따라 감가상각비와 상계하고 남은 피상속인의 보험차익금 관련 일시상각충당금의 잔액은 피상속인의 소득금액 계산시 총수입금액에 산입하는 것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445
(2017.09.18)
|
267 |
질의 |
소득 |
-
골드뱅킹에서 발생하는 거래이익의 배당소득 해당 여부
-
원화를 입금하면 국제 금시세(달러표시가격) 및 원/달러 환율을 적용하여 금(金)으로 적립한 후, 가입자가 출금 요청시 국제 금시세 및 환율로 환산한 원화로 출금하거나 금 실물을 지급하는 금융상품인 소위 골드뱅킹에서 발생하는 이익은 소득세법상의 배당소득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함
|
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67
(2017.02.28)
|
268 |
질의 |
소득 |
-
전자계산서를 공급시기 이후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 기간말 다음 달 11일 이전 발급·전송한 경우 가산세
-
전자계산서를 공급시기가 지난 후 과세기간 말의 다음달 11일 이전에 발급·전송한 경우 「소득세법」 제81조제3항제4호에 따른 가산세가 부과되는 것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0090
[법령해석과-2767]
(2017.09.29)
|
269 |
질의 |
소득 |
-
사업자 본인의 식대가 사업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필요경비에 해당하는지 여부
-
사업자가 사업활동 중에 본인의 식대를 지출하는 경우 사업자 본인의 식대는 사업소득금액 계산 시 필요경비에 해당하지 아니함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1981
[법령해석과-2737]
(2017.09.28)
|
270 |
질의 |
소득 |
-
현금영수증 발급시기 이후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경우 현금영수증 미발급 과태료 적용여부
-
현금영수증 의무발급 사업자가 거래대금을 현금으로 수령한 때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아니하고 이후 세금계산서를 교부한 경우 「조세범처벌법」 제15조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되는 것임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0341
[법령해석과-2808]
(2017.10.11)
|
271 |
질의 |
소득 |
-
인력파견업체가 인력을 무상으로 파견한 경우 해당 인건비가 필요경비에 해당하는지 여부
-
인력파견업체가 인건비를 부담하고 그 인력을 특수관계인이 아닌 자에게 파견 보내는 경우 무상제공된 용역의 가액은 「소득세법 시행령」 제79조제1항제1호의 기부금에 해당하지 아니함
|
서면-2017-법령해석소득-1414
[법령해석과-2959]
(2017.10.20)
|
272 |
질의 |
소득 |
-
소득세법상 특수관계에 있는 자의 범위
-
소득세법시행령 제98조제1항제4호의 특수관계자의 범위와 관련하여 「거주자가 당해 법인의 발행주식을 전혀 소유하지 아니한 경우」에 당해 법인은 거주자와 특수관계에 있는 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320
(2011.07.20)
|
273 |
질의 |
원천 |
-
신탁재산에 귀속되는 사회기반시설투융자회사 주식의 배당소득에 대한 과세특례 적용 여부
-
거주자가 본인의 의사에 따라 투자대상 선정 및 투자비중 결정 등을 행하는 특정금전신탁을 통해 과세특례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과세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임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49
(2014.01.23)
|
274 |
질의 |
소득 |
-
주택신축판매업 공동사업자의 현물출자 토지의 다른 공동사업자에게 소유권이전등기시 (사업)소득세 과세대상 여부
-
공동주택 신축판매업을 영위하는 공동사업자가 공동사업자별로 소유권이 된 현물출자 토지에 대해서 공동주택의 분양시에 대지권등기를 원활히 해주기 위하여 공동사업을 해지하지 아니하고 형식상 다른 공동사업자 중 1인에게 매매를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는 경우에는 토지의 가액을 공동사업장의 총수입금액에 산입하지 않는 것임.
|
서면-2016-소득-6196
[소득세과-109]
(2017.01.17)
|
275 |
질의 |
소득 |
-
자본준비금 감액 배당시 의제배당 과세 제외 적용 여부
-
이익잉여금이 있는 내국법인이 자본준비금을 감액한 금액을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배당하는 경우에 당해 내국법인의 주주는 그 결의에 따라 자본준비금을 감액한 금액을 배당받은 것으로 보는 것이고, 해당 배당금액은「소득세법 시행령」제26조의3 제6항에 따라서 그 지급받은 주주의 배당소득에 포함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6178
[소득세과-66]
(2017.01.16)
|
276 |
질의 |
소득 |
-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도서(책)의 무상 기부시 기부금액의 산정
-
작가가 업무와 관련없이 법정기부금단체에 자신이 집필한 도서를 무상으로 기부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81조제3항에 따라 그 기부금액은 도서의 기부 당시의 장부가액에 의하는 것이나, 장부가액이 없거나 사업자가 아닌 개인이 소장한 도서를 기부하는 경우에는 도서의 기부 당시의 시가에 의함.
|
서면-2016-소득-6179
[소득세과-67]
(2017.01.11)
|
277 |
질의 |
소득 |
-
부동산임대업을 증여에 의해 포괄적으로 승계받아 임대업을 영위하는 경우 자산의 취득가액 및 감가상각비 계산방법
-
부로부터 증여받아 포괄적으로 사업을 승계받은 거주자가 부동산임대업을 계속 영위하는 경우에 증여받은 토지 및 건물의 취득가액은 그 취득 당시에「소득세법 시행령」제89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계산한 금액으로, 감가상각방법 및 내용연수의 적용은 같은 시행령 제63조, 제63조의 3, 제64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2조, 제35조에 따라 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6132
[소득세과-2022]
(2016.12.30)
|
278 |
질의 |
소득 |
-
상속으로 취득한 사업용 고정자산의 취득가액 및 감가상각방법, 내용연수의 적용
-
부동산임대업을 상속받은 거주자가 상속으로 사업용 고정자산을 취득한 경우에 상속이 개시된 날의 시가를 해당 자산의 취득가액으로 하는 것이고, 해당 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방법, 내용연수의 적용은「소득세법 시행령」제63조, 제63조의 3, 제64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2조, 제35조에 따라 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3743
[소득세과-2023]
(2016.12.30)
|
279 |
질의 |
소득 |
-
교과용도서검정심위회의 심의위원이 지급받는 수당의 소득구분 및 비과세소득 해당 여부
-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에 따라 설치된 ‘교과용도서심의회’의 위원에게 같은 규정에 따라 지급하는 수당이 비과세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당해 심의회의 기능 및 업무내용과 당해 위원 등의 위촉 및 수당지급에 대한 근거규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16-소득-6113
[소득세과-2011]
(2016.12.29)
|
280 |
질의 |
소득 |
-
‘예테보리 지속가능 발전상’의 수상자가 받는 상금의 비과세 기타소득 해당 여부
-
스웨덴 소재 ‘예테보리 지속가능발전상 위원회’에서 수여하는 상의 수상자로서 받는 상금이 외국정부·국제기관·국제단체 기타 외국의 단체나 기금으로부터 받는 상의 수상자가 받는 상금과 부상인 경우에는 비과세 기타소득에 해당하는 것이나,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16-소득-5843
[소득세과-2012]
(2016.12.29)
|
281 |
질의 |
소득 |
-
동일 과세기간에 동일 펀드에 대한 투자로 환매이익과 환매손실이 각 발생한 경우 배당소득 총수입금액의 계산
-
집합투자증권의 환매를 통한 이익으로 배당소득세가 과세된 거주자가 같은 과세기간에 다시 동일 집합투자증권에 투자하고 환매하였으나 손실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거주자의 배당소득의 총수입금액을 계산함에 있어서 배당소득 총수입금액에서 해당 손실액을 차감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5513
[소득세과-1978]
(2016.12.26)
|
282 |
질의 |
원천 |
-
임원 퇴직시 종신보험으로 지급하는 이익의 소득구분
-
법인이 계약자 및 수익자를 법인으로, 임원을 피보험자로 하는 종신보험에 가입하고, 임원 퇴직 시 종신보험의 계약자 및 수익자를 법인에서 임원으로 변경하여 해당 임원이 얻는 이익은 퇴직소득에 해당함
|
서면-2016-법령해석소득-3158
[법령해석과-3688]
(2016.11.15)
|
283 |
질의 |
소득 |
-
비과세 농가부업소득에 대한 증빙불비 가산세 적용 여부
-
축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자가 다른 사업자로부터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받고 지출한 대가를 사업소득에 대한 필요경비로 계산하려는 경우에는 소득세법 제160조의2제2항에 따라 해당하는 증명서류를 받아야 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3289
[소득세과-1912]
(2016.12.14)
|
284 |
질의 |
소득 |
-
양어장을 공동으로 하는 어민의 비과세 농가부업소득금액 적용 기준
-
어민이 소득세법 시행령 제9조 제1항 및 제5항에 해당하는 어업을 공동으로 하는 경우에는 같은 조 제1항 제2호를 적용할 때 공동사업자별로 분배된 소득금액을 기준으로 비과세 요건을 판단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5877
[소득세과-1845]
(2016.12.06)
|
285 |
질의 |
소득 |
-
공익사업 시행자로부터 지급받는 수목 이전비 및 양도대가 등에 대한 소득구분
-
사업자가 관련 법률에 따라 사업용 자산인 토지의 보상가액과 구분하여 지급받는 수목 이전비는 수목을 이전한 과세기간의 총수입금액에 산입하고 그 이전에 소요된 비용을 필요경비에 산입하는 것이며, 비사업자인 거주자가 관련 법률에 따라 실비로 지급받는 수목 이전비는 소득세 과세대상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5742
[소득세과-1836]
(2016.12.05)
|
286 |
질의 |
소득 |
-
대표이사가 발명진흥법에 따라 지급받는 직무발명보상금이 비과세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
-
소득세법 제12조 제5호 라목에서 규정하는 비과세소득에는 법인세법 시행령 제20조 제1항에 규정된 임원이「발명진흥법」제15조에 따라 받는 보상금도 포함되는 것임.
|
서면-2016-소득-5703
[소득세과-1752]
(2016.11.21)
|
287 |
질의 |
소득 |
-
주상복합건물의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비과세 적용시 기준시가 9억원 초과 고가주택 해당 여부 판단
-
주상복합건물을 임대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에 주택으로 임대하는 부분이 ‘기준시가 9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8조의2제2항 및 제4항을 적용하여 그 범위가 정해진 주택부분에 대해서 소득세법 제99조에 따라 계산한 기준시가가 9억원을 초과하는지에 따라 판단하는 것임.
|
서면-2015-소득-2165
[소득세과-1709]
(2016.11.14)
|
288 |
질의 |
소득 |
-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사업주가 위탁 어린이집에 지급하는 위탁보육 비용의 근로소득 해당 여부
-
「영육아보육법」제14조 제1항 단서에 따라 위탁보육을 하는 사업주가 같은 법 시행령 제25조에 따라 위탁계약을 맺은 어린이집에 지급하는 위탁보육비는 위탁보육을 지원받는 근로자의 근로소득에 해당하는 것임. 다만, 「소득세법」제12조 제3호 머목에 따른 보육비는 비과세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5672
[소득세과-1679]
(2016.11.08)
|
289 |
질의 |
소득 |
-
직장가입자가 금융소득으로 추가 부담하게 된 건강보험료의 소득공제 적용 여부
-
2011.12.31. 개정된 「국민건강보험법」 제69조제4항제2호에 따라 2012.9.1. 이후 직장가입자인 사업주가 추가로 납부하는 국민건강보험료는 필요경비에 산입하는 것이며, 직장가입자인 근로자가 추가로 납부하는 국민건강보험료는 근로소득에서 공제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6216
[소득세과-149]
(2017.01.24)
|
290 |
질의 |
소득 |
-
정형외과의원 사업자의 국민건강보험법 제57조에 따른 부당이득 환수금액의 세무처리
-
의료업을 경영하는 거주자가 사업소득에 대한 총수입금액으로 신고한 금액 중 「국민건강보험법」제57조에 따라 환수되는 금액은 그 환수가 확정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총수입금액에서 차감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5422
[소득세과-1629]
(2016.11.01)
|
291 |
질의 |
소득 |
-
부동산매매계약을 체결한 매수인의 채무불이행으로 매도인이 지급받는 위약금의 기타소득 수입시기
-
위약금에 대한 기타소득의 수입시기는「소득세법 시행령」제50조제1항제1의2호에 따라 부동산매매계약의 해약이 확정된 날로 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5473
[소득세과-263]
(2017.02.13)
|
292 |
질의 |
소득 |
-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상 사업시행자의 재결신청 지연으로 토지소유자에게 지급하는 지연가산(손해)금의 과세대상 여부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급받는 손실보상금(損失補償金) 및 이에 따른 지연손해금은 재산권에 관한 계약의 위약 또는 해약으로 인해 받는 위약금과 배상금에 해당하지 않으며 기타소득에 해당하지 않음.
|
서면-2016-소득-6249
[소득세과-289]
(2017.02.16)
|
293 |
질의 |
소득 |
-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상 사업시행자의 재결신청 지연으로 토지 등의 소유자에게 지급하는 지연가산금의 과세대상 여부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급받는 손실보상금(損失補償金) 및 이에 따른 지연손해금은 재산권에 관한 계약의 위약 또는 해약으로 인해 받는 위약금과 배상금에 해당하지 않으며 기타소득에 해당하지 않음.
|
서면-2017-소득-0064
[소득세과-290]
(2017.02.16)
|
294 |
질의 |
소득 |
-
법원의 조정결정에 따라 지급받는 위로금의 소득세 과세 여부
-
근로자인 거주자가 강요에 의한 퇴직시 일정금액을 사용자로부터 지급받는다는 각서를 근거로 사용자에게 약정금을 청구하는 민사소송 진행 중 법원의 조정결정에 따라 위로금 명목으로 지급받는 금액이 근로소득·퇴직소득·기타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당해 소송기록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사실판단할 사항임.
|
서면-2016-소득-6239
[소득세과-264]
(2017.02.13)
|
295 |
질의 |
소득 |
-
업종변경한 경우 변경전 사업에서 발생한 대손금을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있는지
-
제조업에서 부동산임대업으로 업종을 변경한 후에 제조업에서 발생한 외상매출금을 자산으로 계상하여 오던 중 외상매출금의 일부가 대손금에 해당하는 경우, 그 대손금은 부동산임대소득금액 계산시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없는 것임.
|
서면-2016-소득-6248
[소득세과-291]
(2017.02.16)
|
296 |
질의 |
소득 |
-
3인의 공동사업자 중 2인이 나머지 1인의 다른 공동사업자에게 자기지분을 양도하고 지급받는 대가의 소득구분
-
상가신축판매를 영위하는 공동사업자 3인 중 2인이 판매용 신축 상가점포에 대한 지분을 나머지 다른 1인의 공동사업자에게 양도하고 얻은 소득은 소득세법 제19조, 제43조, 제87조의 규정에 의하여 당해 공동사업장의 사업소득에 해당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6250
[소득세과-316]
(2017.02.17)
|
297 |
질의 |
소득 |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보상에 대한 이의로 법원판결에 따라 지급받는 지연손해금의 기타소득 여부
-
공공용지 토지보상금에 대한 이의신청으로 법원의 판결에 따라 토지보상금을 지급받으면서 추가로 지급받는 지연손해금은 「소득세법」제21조 제1항 제10호에 따른 기타소득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임.
|
서면-2017-소득-0112
[소득세과-317]
(2017.02.17)
|
298 |
질의 |
소득 |
-
토지임대 대가로 임대계약기간 종료 후 골프장 등으로 받기로 한 경우 계약기간별 소득세 과세표준
-
구「부가가치세법 시행령(2013.2.15.개정)」시행 전 소유자가 자기의 토지 위에 임차인으로 하여금 골프장 등을 건설하여 일정기간 사용케 하고 대가로 사용기간 만료 후 골프장 등의 소유권을 무상으로 이전받기로 하고 토지를 임대한 경우 토지소유자의 임대수입금액은 골프장 등의 소유권이 이전될 때의 시가를 기준으로 과세기간별로 안분계산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6261
[소득세과-387]
(2017.03.06)
|
299 |
질의 |
소득 |
-
공동사업의 계속 중에 탈퇴하는 구성원으로부터 지분 인수시 감가상각자산의 기초(취득)가액
-
의료업을 경영하는 공동사업장의 구성원 3인 중 1인이 건강상의 이유로 공동사업장을 탈퇴하면서 자기 지분을 나머지 2인에게 양도하여 공동사업장의 구성원이 변경된 경우에 해당 공동사업장의 감가상각자산의 장부가액은 구성원 변경 전의 장부가액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17-소득-0066
[소득세과-555]
(2017.03.28)
|
300 |
질의 |
소득 |
-
공동사업의 계속 중에 탈퇴하는 구성원으로부터 지분 인수시 감가상각자산의 기초(취득)가액
-
의료업을 경영하는 공동사업장의 구성원 3인 중 1인이 건강상의 이유로 공동사업장을 탈퇴하면서 자기 지분을 나머지 2인에게 양도하여 공동사업장의 구성원이 변경된 경우에 해당 공동사업장의 감가상각자산의 장부가액은 구성원 변경 전의 장부가액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16-소득-5844
[소득세과-555]
(201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