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사전 |
상증 |
-
재차 증여재산 중 일부만 상속세 합산과세되는 경우 증여세액공제 적용방법
-
상속재산가액에 합산되는 증여재산에 대한 증여세액이 공제대상이며, 배우자 상속공제 한도에서 사전 증여재산에 대한 과세표준을 차감함
|
법규재산2014-254
[]
2014.08.06
|
2 |
사전 |
상증 |
-
예탁중인 피상속인의 보상채권을 상속받은 경우 배우자상속공제 적용방법
-
보상채권이 무기명증권이고 만기까지 예탁되었다는 사유만으로는 배우자상속재산분할기한까지 분할할 수 없는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하며, ‘상속재산분할협의서’의 제출만으로 배우자분할상속기한 내에 분할이 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임
|
법규재산2012-334
[]
2012.09.04
|
3 |
사전 |
상증 |
-
영농상속공제와 배우자상속공제의 중복적용 여부
-
배우자가 영농상속공제 요건을 충족하는 재산을 상속받은 경우 영농상속공제와 함께 배우자상속공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임
|
사전-2018-법령해석재산-0171
[]
2018.05.29
|
4 |
사전 |
상증 |
-
법원의 이혼조정 성립 후 동일자에 사망한 경우 배우자상속공제를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등
-
가정법원의 이혼조정이 성립된 후 그 당일날 피상속인이 사망하여 상속개시 되는 경우 상속개시 당시 배우자의 지위를 상실한 상태이므로 배우자상속공제 불가하며, 사전증여재산 상속세 과세가액 합산 기간은 5년을 적용하고, 이혼시 재산분할청구권에 의하여 분할한 재산은 증여재산이 아니므로 상속세 과세가액에 합산하지 아니함
|
법규재산2013-228
[]
2013.09.11
|
5 |
질의 |
상증 |
-
신탁재산에 대한 배우자상속공제 적용 시 ‘등기․등록․명의개서 등’의 범위
-
피상속인의 신탁재산(부동산)에 대해 상증법§19에 따른 배우자상속공제 적용 시, 배우자의 상속재산을 분할한 경우를 판단함에 있어, 신탁원부의 위탁자 명의 변경은 필요하지 않음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68
[]
2021.01.26
|
6 |
질의 |
상증 |
-
배우자상속공제 적용 시 등기원인이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으로 한정되는지 여부
-
상속인간 협의분할한 경우로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9조에 따른 배우자상속공제 적용 시, 등기원인이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으로 한정되지 않음
|
서면-2019-법령해석재산-4492
[법령해석과-2888]
2020.09.08
|
7 |
질의 |
상증 |
-
배우자상속공제 적용 시 등기원인이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으로 한정되는지 여부
-
상속인간 협의분할한 경우로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9조에 따른 배우자상속공제 적용 시, 등기원인이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으로 한정되지 않음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764
[]
2020.09.03
|
8 |
질의 |
상증 |
-
배우자 상속공제
-
배우자가 상속받은 재산을 배우자상속재산분할기한까지 분할하여 신고하는 경우 실제 받은 금액으로 배우자상속공제 가능
|
서면-2015-상속증여-0457
[]
2015.04.22
|
9 |
질의 |
상증 |
-
상속재산분할 심판청구의 경우 배우자 상속재산분할 신고기한 연장 적용시기
-
상속재산 분할 심판청구로 인한 배우자상속재산분할 신고기한 연장사유는 2014.1.1. 이후 상속재산을 분할하여 신고하는 분부터 적용하는 것임
|
상속증여세과-352
[]
2014.09.18
|
10 |
질의 |
상증 |
-
배우자 상속공제 계산 시 배우자의 사전증여 재산가액이 배우자가 실제 상속받은 금액에 포함되는지 여부
-
배우자상속공제액을 계산할 때 배우자가 상속개시전에 증여받은 재산은 “배우자가 실제 상속받은 금액”에 포함하지 아니함
|
상속증여세과-220
[]
2013.06.17
|
11 |
질의 |
상증 |
-
동일인으로부터 증여받은 증여재산가액 합산여부
-
동일인으로부터 증여받은 증여재산가액 합산규정(「상속세 및 증여세법」제47조제2항) 적용시 동일인의 배우자 여부는 각 증여시점별로 판단하는 것임
|
서면-2020-상속증여-2264
[상속증여세과-579]
2020.07.30
|
12 |
질의 |
상증 |
-
부득이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배우자상속공제 적용방법
-
배우자상속재산분할기한 다음날부터 6월이 되는 날까지 분할할 수 없는 부득이한 사유 해당여부는 관할세무서장이 상속세 과세표준과 세액의 결정시 판단하여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19-상속증여-0211
[상속증여세과-]
2019.06.19
|
13 |
질의 |
상증 |
-
협의이혼 성립 전 사망한 경우 배우자 상속공제 적용 여부 등
-
협의이혼이 성립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 배우자 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으며, 피상속인이 생전에 배우자에게 분할한 재산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부과되는 것임
|
서면-2018-상속증여-2973
[상속증여세과-]
2018.12.04
|
14 |
질의 |
상증 |
-
협의이혼 성립 전 사망한 경우 배우자 상속공제 적용 여부 등
-
협의이혼이 성립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 배우자 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으며, 피상속인이 생전에 배우자에게 분할한 재산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부과되는 것임
|
서면-2018-상속증여-2957
[상속증여세과-]
2018.12.04
|
15 |
질의 |
상증 |
-
배우자가 영농상속공제를 적용받는 경우 배우자상속공제 한도액 계산 시 영농상속재산가액을 차감하는지 여부
-
배우자가 영농상속공제 요건을 충족하는 재산을 상속받은 경우 영농상속공제와 함께 배우자상속공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배우자상속공제 한도액 계산 시 영농상속재산가액을 차감하지 아니함
|
서면-2017-법령해석재산-1892
[법령해석과-1471]
2018.05.30
|
16 |
질의 |
상증 |
-
영농상속공제와 배우자상속공제의 중복적용 여부
-
「배우자가 영농상속공제 요건을 충족하는 재산을 상속받은 경우 영농상속공제와 함께 배우자상속공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임
|
서면-2014-법령해석재산-21753
[법령해석과-1441(2018.5.29.)]
2018.05.29
|
17 |
질의 |
상증 |
-
가업상속공제와 배우자상속공제의 중복 적용 여부
-
피상속인으로부터 배우자가 「상속세 및 증여세법」제18조제2항제1호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에 따른 가업상속공제 요건을 충족하는 주식을 상속받은 경우 가업상속공제와 함께 「상속세 및 증여세법」제19조에 따른 배우자 상속공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254
[]
2018.03.22
|
18 |
질의 |
상증 |
-
가업상속재산 중 일부를 가업종사 상속인이 상속받는 경우 등
-
가업상속재산 중 일부를 가업에 종사하는 상속인이 상속받은 경우에도 해당 가업상속재산에 대해서는 가업상속공제를 적용하는 것임
|
서면-2016-상속증여-3909
[상속증여세과-1041]
2016.09.27
|
19 |
질의 |
상증 |
-
가업상속공제와 배우자 상속공제
-
배우자가 상속받은 재산을 배우자상속재산분할기한까지 분할하여 신고하는 경우 실제 받은 금액으로 배우자상속공제 가능함
|
서면-2015-상속증여-2299
[상속증여세과-1284]
2015.12.11
|
20 |
질의 |
상증 |
-
배우자상속재산분할기한까지 배우자의 상속재산을 분할할 수 없는 경우의 배우자상속공제 적용
-
부득이한 사유로 배우자상속재산분할기한까지 배우자의 상속재산을 분할할 수 없는 경우로서 배우자상속재산분할기한의 다음날부터 6개월이 되는 날까지 상속재산을 분할하여 신고하는 경우에는 배우자상속재산분할기한 이내에 분할한 것으로 보는 것임
|
재산세과-537
[]
2011.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