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
판례 |
양도 |
-
자경농지 양도소득세 감면을 배제한 처분은 정당함[국승]
-
자경농지 감면대상이 되는 토지는 양도일 현재 농지여야 하고, 자경하였다는 점에 대한 입증책임은 양도소득세의 감면을 주장하는 납세자에게 있음.
|
창원지방법원-2019-구단-12709
(2020.06.24)
|
202 |
판례 |
양도 |
-
기준시가에 의한 과세처분 적정 여부[국승]
-
소득세법 제100조의 당초 구분된 토지와 건물의 가액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통상의 거래관행에 현저히 벗어나 합리적인 가액 구분이라고 볼 수 없는 경우도 포함되며, 소득세법 제100조 제3항은 간주규정으로 해석함이 상당한 바, 기준시가에 따라 안분계산하여 양도소득세를 부과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
|
서울고등법원-2019-누-58799
(2020.06.18)
|
203 |
판례 |
양도 |
-
공사계약서상 금액만으로 실지취득가액을 추정하기 어려우므로 추계조사의 방법으로 산정하여야 함.[국패]
-
공사계약서는 인정되나 추가 공사에 대한 비용을 뒷받침할 만한 증빙자료가 없는 등 장부 기타 증빙자료가 없어 취득가액이 불분명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추계조사의 방법으로 실지취득가액을 산정하여야 함.
|
대구지방법원-2019-구합-24529
(2020.06.17)
|
204 |
판례 |
양도 |
-
원고의 전 소유자의 신고가액은 다운계약서에 의한 것이므로 실제 확인되는 매매대금으로 양도소득세를 산정하여야 함[국패]
-
이 사건 부동산의 전소유자의 신고가액은 다운계약서에 의한 것이므로 실제 취득계약서, 영수증, 증언에 의하여 확인되는 실제 거래한 매매대금을 기초로 양도소득세를 산정하여야 함
|
서울행정법원-2018-구단-73877
(2020.06.16)
|
205 |
판례 |
양도 |
-
취득가액의 실지 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환산가액 적용 불가[국승]
-
거래상대방인 BBB㈜ 장부 및 원고가 신고한 취득세 취득가액을 통해 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지거래가액 확인이 불분명하다는 원고의 주장은 이유 없음
|
부산고등법원-2020-누-20385
(2020.06.12)
|
206 |
판례 |
양도 |
-
검인계약서 내용과 달리 실제 취득가액이 〇〇원이라는 원고의 주장은 이유 없음[국승]
-
(1심 판결과 같음) 검인계약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당사자 사이의 매매계약 내용대로 작성되었다고 추정되고, 그 계약서가 실제와 달리 작성되었다는 점은 주장자가 입증하여야 함
|
서울고등법원-2019-누-64404
(2020.06.11)
|
207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부동산의 양도에 따른 필요경비의 인정여부에 대한 판단[국승]
-
이 사건 부동산의 취득가액을 환산가액으로 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원고가 실제 지출한 금액을 필요경비로 인정할 수 없다.
|
대구지방법원-2019-구합-1540
(2020.06.11)
|
208 |
판례 |
양도 |
-
조합에서 탈퇴하면서 자신의 부동산 지분을 공동사업자에게 이전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는 경우 양도소득세에 해당하는지 여부[국승]
-
원고가 조합에서 탈퇴하면서 자신의 부동산 지분을 이전하고 받은 대가는은 양도소득에 해당하고, 원고의 위 지분이전은 결국 조합체인 공동매수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먼저 경료 한 후 다시 원고 소유의 지분이전등기를 경료하여야 함에도 이를 생략하고 곧바로 원고 지분을 이전한 것이므로 미등기전매에 해당함
|
대전고등법원-2019-누-12102
(2020.06.11)
|
209 |
판례 |
양도 |
-
사무실로 임대하긴 했지만 주택으로서의 구조와 성질이 동일하므로 주택으로 보아야 하며 조사처분과 관련하여 국가손해배상의무는 없음[일부패소]
-
2층을 법인의 사무실 용도로 임대하였다고 하나 주택으로서의 구조와 성질이 동일하고 별도의 노력 없이 주택으로 사용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2층을 주택으로 보면 주택면적이 더 커 이 사건 건물은 전체를 주택으로 보아야하며, 조사 처분과 관련하여 조사대상 선정 등에 위법이 없으므로 국가손해배상의무는 없음.
|
대구지방법원-2018-구합-25327
(2020.06.11)
|
210 |
판례 |
양도 |
-
양도소득세 예정신고기한의 다음날이 국세부과제척기간의 기산일로 볼 수 있는지[국승]
-
양도소득세 예정신고를 하였어도 국세부과 제척기간의 기산일은 양도소득세 예정신고기한의 다음날이 아니라 양도소득세 확정신고기한의 다음날임
|
대법원-2017-두-40235
(2020.06.11)
|
211 |
판례 |
양도 |
-
타인명의로 등기된 상속재산의 명의를 회복하고 공유물분할한 경우 취득시기는 상속개시일임[국승]
-
(1심판결과 같음)실질적으로 자산의 유상양도에 해당되지 않는 공유물분할로 인하여 이전받은 공유지분을 이후 유상양도한 경우 그 양도차익을 산정함에 있어서 그 공유지분의 취득가액은 최초의 공유물 취득시를 기준으로 정할 것이지 형식적인 공유지분의 이전시를 기준으로 정할 것은 아니므로 상속개시일이 기준이 됨
|
수원고등법원-2019-누-13592
(2020.06.10)
|
212 |
판례 |
양도 |
-
강제경매을 원인으로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인지 여부[국승]
-
경락대금이 원고의 채권자들에게 배당되어 채무변제에 사용된 이상 원고의 자산이 사실상 유상으로 이전되어 양도소득은 이미 발생한 것이므로 강제경매에 의하여 부동산의 소유권이 이전하는 경우에도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인 자산의 양도에 해당함
|
수원지방법원-2019-구합-1808
(2020.06.04)
|
213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토지의 양도는 미등기 전매에 해당하므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국승]
-
이 사건 토지의 잔금은 2010. 3. 25. 지급이 완료되었고, 원고가 추가로 지급하기로 한 2억 원은 새로운 매매계약이 아니므로 이 사건 양도는 미등기 전매에 해당함
|
대전지방법원-2018-구단-101293
(2020.06.04)
|
214 |
판례 |
양도 |
-
민사상 분쟁이 계속 중이라는 것이 양도세 납세의무 불이행의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는지[국승]
-
민사상 분쟁이 계속 중이라는 사정만으로 그 소득의 귀속자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라고 보기 어려워 양도세 납세의무 불이행의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음
|
대법원-2020-두-33862
(2020.05.28)
|
215 |
판례 |
양도 |
-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국승]
-
이 사건 건물의 객관적인 ‘현황’이 구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1호 다목의 다가구주택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이상, 망인의 구분행위가 있었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이 사건 건물은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15항의 적용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
수원고등법원-2019-누-12384
(2020.05.27)
|
216 |
판례 |
양도 |
-
다가구주택의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 여부[국승]
-
이 사건 주택은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15항 단서 규정이 정하는 다가구주택에 해당하지 않고, 이는 4층 부분이 증축되었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1세대 1주택 비과세 특례 규정을 적용할 수 없다.
|
서울행정법원-2020-구단-53524
(2020.05.27)
|
217 |
판례 |
양도 |
-
공사계약서에 계약서에 기재된 금액 및 실지지급금액 등을 실지거래가액으로 인정할 수 있음[국승]
-
(1심 판결과 같음) 공사계약서 및 송금 내역의 공사계약서에 계약서에 기재된 금액 및 실지지급금액 등을 실지거래가액으로 인정할 수 있음
|
광주고등법원(제주)-2019-누-1274
(2020.05.27)
|
218 |
판례 |
양도 |
-
국민주택 규모를 초과하므로 준공공임대주택등에 해당하지 아니함[국승]
-
이 사건 주택은 주거전용면적이 구 주택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국민주택 규모를 초과하므로, 준공공임대주택등에 해당하지 아니함
|
수원고등법원-2019-누-12933
(2020.05.27)
|
219 |
판례 |
양도 |
-
환산가액의 부동산 취득가액 인정여부[국승]
-
필요경비는 납세의무자에게 유리한 것일 뿐 아니라 필요경비를 발생시키는 사실관계의 대부분은 납세의무자가 지배하는 영역 안에 있는 것이어서 과세관청으로서는 그 입증이 곤란한 경우가 있으므로, 납세의무자에게 입증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것이 공평의 관념에 부합한다
|
인천지방법원-2019-구단-50257
(2020.05.22)
|
220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처분 중 양도소득세 가산세 감면의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국승]
-
이 사건 부동산의 취득가액을 실제 취득가액이 아닌 환산가액으로 한 경우는 양도소득세 가산세 감면의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
|
대구지방법원-2019-구합-22844
(2020.05.20)
|
221 |
판례 |
양도 |
-
(심리불속행) 원고가 제출한 증거나 증인들의 증언만으로는 제3자가 원고에게 부동산을 명의신탁하였다고 보기 어려움[국승]
-
(원심요지) 원고가 제출한 증거나 증인들의 증언만으로는 제3자가 원고에게 부동산을 명의신탁하였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이 사건 처분은 실질과세의 원칙에 위배된다고 할 수 없음
|
대법원-2020-두-32586
(2020.05.14)
|
222 |
판례 |
양도 |
-
취득가액 실제 조사의무에 반하여 이루어진 처분도 절차상 하자가 중대하고도 객관적으로 명백하여 무효라고 할 수 없음.[국승]
-
취득가액 실제 조사의무에 반하여 이루어진 처분도 절차상 하자가 중대하고도 객관적으로 명백하여 무효라고 할 수 없음.
|
광주고등법원(전주)-2019-누-2010
(2020.05.13)
|
223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주택이 증축된 주택인지 신축된 주택인지의 여부[국승]
-
건축법상 증축인지에 관하여 건축법 시행령 규정에도 불구하고 이와 달리 해석하여야 할 특별한 근거가 없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건축물대장상 등재된 내용은 주택현황 및 주택 건축내용을 그대로 표상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임
|
수원지방법원-2019-구단-8802
(2020.05.13)
|
224 |
판례 |
양도 |
-
보유기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 1세대 1주택의 양도인지 여부[국승]
-
국외거주를 필요로 하는 근무상의 형편으로 세대 전원이 국외로 출국한 것이 아니므로, 1년이상 보유기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 1세대 1주택의 양도라고 볼 수 없음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69066
(2020.05.12)
|
225 |
판례 |
양도 |
-
증여재산에 대한 이 사건 소급감정가액을, 양도소득세 산정시 필요경비로 공제하는 취득가액으로 인정할 수 없음[국승]
-
이 사건 감정가액은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평가된 금액이라고 볼 수 없어 이를 구 소득세법 제97조 제1항 제1호 (가)목 및 소득세법 시행령 제163조 제9항,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0조 제1, 2항에 따른 실지거래가액으로 인정할 수는 없음
|
서울행정법원-2020-구단-50600
(2020.04.29)
|
226 |
판례 |
양도 |
-
소급감정가액을 양도차익 계산 시 취득가액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국승]
-
당초 개별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증여세를 납부한 뒤 증여세 부과제척기간이 경과한 이후 양도소득세 감액을 목적으로 소급감정을 통하여 얻은 감정가액을 이 사건 부동산의 취득가액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
|
서울행정법원-2018-구단-50041
(2020.04.28)
|
227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매매계약서는 해당 작성일자 무렵 원고와 김영화 사이에서 작성되어 이행된 매매계약서로 봄이 상당함[일부패소]
-
이 사건 매매계약서는 해당 작성일자 무렵 원고와 김영화 사이에서 작성되어 이행된 매매계약서로 봄이 상당하며 그 취득가액을 실지거래가액으로 산정함이 타당함
|
수원고등법원-2019-누-12674
(2020.04.08)
|
228 |
판례 |
양도 |
-
양도소득세 대토감면의 요건 및 입증책임의 소재[국승]
-
구 조세특례제한법시행령 제67조 제3항 제1호의 해석상 새로운 농지소재지에서의 3년 이상 거주와 경작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기간을 같이 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종전 농지의 양도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시작하여야 함
|
수원지방법원-2019-구합-638
(2020.04.23)
|
229 |
판례 |
양도 |
-
쟁점금액을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있는지 여부 등[국승]
-
공사일지 노트에 기재된 공사비가 실제 지출되었다는 점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금융거래자료 등이 제출되지 않은 점, 공사업체가 부가가치세 또는 법인세 신고내역이 확인되지 않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쟁점금액을 필요경비로 산입하여야 한다는 청구주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판단됨
|
수원지방법원-2019-구단-7953
(2020.03.13)
|
230 |
판례 |
양도 |
-
이행지체로 인한 계약의 해지시 양도소득세 과세여부[각하]
-
이 사건 매매계약은 적법하게 해제되었음이 명백하여 그 효력이 소급하여 상실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원고에게 양도로 인한 소득이 있었다는 피고의 위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
수원고등법원-2019-누-13172
(2020.02.19)
|
231 |
판례 |
양도 |
-
다세대주택을 재고자산으로 보아 1세대1주택 해당여부[국승]
-
사용승인 직후 2세대를 임대하고, 이후로 모두 분양하기까지 9년가량 걸렸는데, 그 기간 둥 상당수의 주택을 임대하여 임대소득을 얻은 점 등에 비추어 쟁점주택은 판매 목적 재고자산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1세대 1주택의 비과세 요건에 해당하지 않음
|
의정부지방법원-2019-구단-5845
(2020.02.17)
|
232 |
판례 |
양도 |
-
경영이양 직접지불보조금의 지급대상이 되는 농지의 판단시점[국승]
-
구 조세특례제한법 제69조 제1항은 경영이양 직접지불보조금의 지급대상이 되는 농지를 양도할 때 발생하는 양도소득세를 감면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경영이양 직접지불보조금의 지급대상이 되는 농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도 양도할 때를 기준으로 판단해야함
|
대법원-2019-두-52010
(2020.01.09)
|
233 |
판례 |
양도 |
-
1세대1주택 해당여부[국패]
-
원고의 배우자가 양도하는 주택 외에 다른 주택의 극히 일부만의 지분을 보유한 것을 주택수에 편입하여 1세대 1주택 비과세 부인한 것은 위법함
|
의정부지방법원-2019-구단-6435
(2020.02.03)
|
234 |
판례 |
양도 |
-
상속으로 취득한 부동산의 소급감정가액을 양도시 취득가액으로 인정할 수 없음[국승]
-
이 사건 감정가액은 상속개시일로부터 12년 6개월이상 소급하여, 시간의 경과와 토지의 분할·합병 및 주변 환경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평가기준일 당시 시가를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움
당초 개별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상속세를 납부한 뒤 상속세 부과제척기간이 경과한 이후 양도소득세 감액 목적으로 소급감정한 가액을 세금 납부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보기도 어려움
|
서울행정법원-2017-구단-64708
(2020.04.28)
|
235 |
판례 |
양도 |
-
(심리불속행) 주택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건물공부상의 용도구분에 관계없이 실제 용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함[국승]
-
(원심 요지) 주택을 양도한 자가 다른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그 다른 건물이 ‘주택’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건물공부상의 용도구분에 관계없이 실제 용도가 사실상 주거에 공하는 건물인가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함
|
대법원-2020-두-36465
(2020.06.25)
|
236 |
판례 |
양도 |
-
심리불속행 사유에 해당한다고 보아 상고를 기각한 판결에는 재심사유로 삼을 수 없음[국승]
-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이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이 정한 심리불속행 사유에 해당한다고 보아 상고를 기각한 판결에는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누락이 있을 수 없으므로, 이를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에 따라 준용되는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호의 재심사유로 삼을 수 없음
|
대법원-2020-재두-5053
(2020.06.25)
|
237 |
판례 |
양도 |
-
(심리불속행) 지목상 전인 토지에 분묘가 있는 경우 재산세가 비과세되는 토지로 보아 비사업용토지에서 제외할 수 있는지 여부[국승]
-
이 사건 토지를 묘지로 보더라도 지방세법상 재산세가 비과세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며, 소득세법상 농지 등 외의 토지로 재산세가 별도합산 과세되거나, 분리과세되는 토지가 비사업용토지에서 제외되는데 이 사건 토지는 재산세가 종합합산과세되었으므로 비사업용토지에서 제외되는 토지가 아님
|
대법원-2020-두-36441
(2020.06.25)
|
238 |
판례 |
양도 |
-
검인계약서 상 기재된금액이 취득가액에 해당함[국승]
-
원고가 제출한 자료만으로는 이 사건 토지의 취득가액을 296백만원이라 볼 수 없고, 검인계약서 상 기재금액 148백만원을 취득가액으로 보는 것이 정당함
|
의정부지방법원-2019-구단-6619
(2020.06.22)
|
239 |
판례 |
양도 |
-
소득세법상 자산의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취득시기 및 양도시기[일부패소]
-
대출금을 승계하는 조건으로 양도하는 경우 대출금채무액을 공제한 나머지 잔금을 모두 지급함으로써 이 사건 지분 양수에 따른 대금지급의무를 이행하였다고 봄이 타당함
|
서울고등법원-2019-누-56670
(2020.06.19)
|
240 |
판례 |
양도 |
-
농지대토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감면받기 위해서는 종전 농지를 양도할 당시 양도자가 이를 직접 경작하여야 함[국승]
-
농지대토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감면받기 위해서는 종전 농지를 양도할 당시 양도자가 이를 직접 경작한 사실을 증명하여야 함
|
수원고등법원-2019-누-14267
(2020.06.17)
|
241 |
판례 |
양도 |
-
법무법인에게 지급한 이 사건 비용은 부동산 양도를 위한 소개비 및 계약서 작성비용, 또는 쟁송비용에 해당하지 아니함[국승]
-
이 사건 부동산을 매수자와 직접 계약한 점, 자문료와 계약서 작성비용 등을 구분하여 특정하지 못하는 점, 법무법인의 주된 제공용역 역시 소유권 확보를 위함이 아니라 양도 후 대금을 나눔으로써 분쟁을 해결하는데 있었던 점 등을 감안하면, 이 사건 비용은 이 사건 양도의 필요경비에 해당하지 아니함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62270
(2020.06.16)
|
242 |
판례 |
양도 |
-
민사소송에서 기존 협의매매계약 착오취소 후 강제조정결정을 통해 수령한 금전의 귀속시기는 강제조정결정이 확정된 때임[국승]
-
민사소송에서 기존 협의매매계약 착오취소 후 강제조정결정을 통해 수령한 돈은 양도소득에 해당하고 양도소득의 귀속시기는 강제조정결정이 확정된 때이며, 원고에게 신고 및 납부 불성실을 탓할 수 없는 정당한 사유가 존재한다고 보기 어려움
|
수원지방법원-2019-구단-9041
(2020.06.12)
|
243 |
판례 |
양도 |
-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제1호 다목에 해당하지 않는 다가구주택은 건물전체에 대하여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받을 수 없음[국승]
-
(1심판결과 같음)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제1호 다목에 해당하지 않는 다가구주택은 그 실질이 공동주택에 해당하므로 건물 전체를 하나의 주택으로 보아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을 적용할 수 없음
|
서울고등법원-2019-누-64497
(2020.06.10)
|
244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토지는 중과세율이 적용되는 비사업용토지에 해당함.[국승]
-
이 사건 1토지에 관한 소는 부적법하며, 이 사건 2토지의 실제 소유자는 원고로서 원고가 동생에게 명의신탁한 것이며, 원고는 이 사건 2토지 소재지에 거주하거나 자경하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비사업용 토지로서 중과세 대상이 된다.
|
서울고등법원-2019-누-65902
(2020.06.10)
|
245 |
판례 |
양도 |
-
다가구주택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15항 의거 1세대 1주택 비과세특례 규정을 적용할 수 없음[국승]
-
다가구주택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다가구주택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15항 의거 건물 전체를 하나의 주택으로 보아 비과세특례 규정을 적용할 수 없음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68537
(2020.06.10)
|
246 |
판례 |
양도 |
-
(1심 판결과 같음) 공유물분할 판결에 따른 토지의 취득은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유상양도가 아님[국승]
-
원고는 쟁점토지를 상속재산분할에 따라 취득하였고, 공유물분할은 소유형태를 변경한 것에 불과하므로, 쟁점토지의 취득시기는 공유물분할판결에 따른 이전등기일이 아니라 상속개시일로 보아야 함
|
수원고등법원-2019-누-13608
(2020.06.10)
|
247 |
판례 |
양도 |
-
(1심 판결과 같음) 공유물분할 판결에 따른 토지의 취득은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유상양도가 아님[국승]
-
원고는 쟁점토지를 상속재산분할에 따라 취득하였고, 공유물분할은 소유형태를 변경한 것에 불과하므로, 쟁점토지의 취득시기는 공유물분할판결에 따른 이전등기일이 아니라 상속개시일로 보아야 함
|
수원고등법원-2020-누-11134
(2020.06.10)
|
248 |
판례 |
양도 |
-
등기부등본상 소유권이전등기일을 양도시기로 볼 수 있음[국승]
-
이 사건 토지 2분의 1지분 매도에 대한 대금청산일이 불분명한 것으로 보고, 등기부등본 상 소유권이전등기일인 2017. 11. 17.이 이 사건 토지 2분의 1지분의 양도시기에 해당함
|
의정부지방법원-2019-구단-6626
(2020.06.08)
|
249 |
판례 |
양도 |
-
상속인의 연대납세의무에 있어서 상속 받은 비상장주식은 그 액면가액으로 상속으로 받은 재산의 한도를 산정하여야 하는지 여부[국승]
-
연대납세의무를 지는 상속인이 상속 받은 비상장주식의 가액은 그 액면가액이 아니라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 정하는 객관적인 방법에 따라 산정하여야 함
|
대구고등법원-2019-누-3194
(2020.06.05)
|
250 |
판례 |
양도 |
-
신고당시에 별도합산토지가 차후 종합합산토지로 변경되어도 비사업용토지해당하고 가산세부과 정당함(국승)[국승]
-
지자체가 별도합산토지로 당초 과세한 것은 법령상 근거없는 착오에 의한 것이므로 공적인 견해라고 볼 수 없어 신의성실원칙을 적용할 수 없고, 관계 법령상 별도합산토지가 아님에 명백하여 가산세 부과가 정당하며 종합합산토지로서 비사업용토지에 해당함
|
수원지방법원-2020-구단-6314
(2020.06.05)
|
251 |
판례 |
양도 |
-
1세대 1주택 판단시 실제 용도가 사실상 주거에 공하는 건물인가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함[국승]
-
본래 주거용으로서 주거용에 적합한 상태에 있고 주거기능이 그대로 유지·관리되고 있어 언제든지 본인이나 제3자가 주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건물의 경우에는 이를 주택으로 보아야 할 것임
|
대전지방법원-2019-구단-100815
(2020.06.04)
|
252 |
판례 |
양도 |
-
세무조사절차적 하자 및 8년 자경 양도소득세 감면[국승]
-
(1심 판결과 같음) 세무조사절차 과정에서 어떠한 절차적 하자가 있다고 보기 어렵고 원고가 이 사건 쟁점 토지를 8년 자경 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
대전고등법원(청주)-2020-누-1095
(2020.05.27)
|
253 |
판례 |
양도 |
-
1년이상 계속하여 경작한 경우로 볼 수 없어 상속인의 경작기간을 피상속인의 경작기간으로 볼 수 없음[국승]
-
사업소득금액이 발생한 기간을 제외하면 상속받은 연도와 양도연도의 경작기간은 1년 계속하여 경작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피상속인의 경작기간을 상속인의 경작기간으로 인정할 수 없음
|
대전고등법원(청주)-2020-누-1118
(2020.05.27)
|
254 |
판례 |
양도 |
-
양도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필요경비로 산입할 금액은 양도가액에 대응하는 비용으로서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통상적인 것이어야 한다.[국승]
-
필요경비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지출의 경위와 목적, 형태, 액수,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판단하여야 하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회질서를 위반하여 지출된 비용은 여기에서 제외된다.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3998
(2020.05.26)
|
255 |
판례 |
양도 |
-
원고가 이 사건 토지를 8년 이상 직접 경작 또는 재배한 자인지 여부[국승]
-
원고는 구 조세특례제한법 제69조 제1항에 따른 양도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는 요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없어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
|
부산지방법원-2019-구합-22072
(2020.05.22)
|
256 |
판례 |
양도 |
-
주식 양도에 대해 포괄적 대리권을 가진 자가 양도대금을 수령한 이상 그와 동시에 양도소득은 실현됨[국승]
-
이 사건 협의승낙서의 성격은 주주들의 지분을 주식비율과 별도로 새삼스럽게 확정하는 의미라기 보다는, 주주들 사이에 소외 회사의 경영을 정리하면서 각종 채권, 채무를 정산하는 의미로 보아야 함
|
대전지방법원-2017-구단-101357
(2020.05.21)
|
257 |
판례 |
양도 |
-
공장부지 조성공사의 주체는 원고이므로 필요경비를 부인한 부과처분은 부당 함[국패]
-
이 사건 토지에 관한 공장부지 조성 공사의 주체는 원고라 할 것이어서 이와 다른 전제에 선 이 사건 처분은 위법 함
|
대전지방법원-2018-구단-918
(2020.05.21)
|
258 |
판례 |
양도 |
-
양도소득세 경정청구 거부처분 취소 재심의 소[국승]
-
재심대상판결이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판단을 누락하였다는 이유로 재심의 소를 제기할 수 없음
|
대전고등법원(청주)-2019-재누-64
(2020.05.19)
|
259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원고들의 주식양도가 상장법인 대주주의 주식양도로서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국승]
-
구 소득세법 제98조에 따라 양도차익 계산에 있어 그 취득시기 및 양도시기는 원칙적으로 대금을 청산한 날이므로 원고들이 양도주식에 대한 대금을 수취한 날을 양도시기로 보아 대주주의 주식양도로 판단한 처분은 타당함
|
서울행정법원-2019-구합-63263
(2020.05.15)
|
260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토지는 관련 법령에 따른 협의매수 또는 수용된 토지가 아니므로 비사업용토지에서 제외할 수 없음[국승]
-
일반 사인간의 위치에서 매매가 이루어진 이 사건 토지의 양도는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른 협의매수 또는 수용된 토지가 아니고, 8년 이상 한국농어촌공사가 수탁한 토지도 아니므로 비사업용토지에서 제외할 수 없으므로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배제한 피고의 처분은 적법함(위헌법률심판신청 제청 역시 기각)
|
광주지방법원-2019-구합-14834
(2020.05.14)
|
261 |
판례 |
양도 |
-
건물 리모델링공사비용은 쟁점건물에 대한 자본적지출로 인정하여 필요경비로 공제할 수 없음[국승]
-
이 사건 건물 리모델링공사비용은 쟁점건물에 대한 자본적지출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필요경비로 공제할 수 없음.
|
광주지방법원-2019-구합-12302
(2020.05.14)
|
262 |
판례 |
양도 |
-
고정자산(부동산) 양도계약서와 별도로 임의구분하여 병원영업권 매매계약서를 작성하였다 할지라도 고정자산과 함께 양도된 영업권에 해당됨[국승]
-
병원영업권 매매계약과 고정자산(부동산) 양도계약의 매수인이 다르고 별도의 계약이 체결되었다는 사정만으로 원고가 이 사건 고정자산(부동산)과 이 사건 영업권을 별개로 양도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
대법원-2020-두-34377
(2020.05.14)
|
263 |
판례 |
양도 |
-
주거용 오피스텔은 소득세법 상 주택에 해당함[국승]
-
이 사건 오피스텔은 소득세법 소정의 주택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고 일시적으로 공실상태에 있다고 하여도 본래 주거용으로서 주거용에 적합한 상태에 있고 주거 기능이 그대로 유지․관리되고 있었으므로 이를 용도가 불분명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
서울행정법원-2020-구단-50228
(2020.05.13)
|
264 |
판례 |
양도 |
-
쟁점토지의 총 매매가액을 1차 토지와 2차 토지의 면적으로 안분하여 양도가액을 산정한 과세처분은 정당함.[국승]
-
쟁점토지를 1차와 2차 토지로 구분하여 양도한 것은 하나의 계약이며, 쟁점토지 관련 계약 금액을 1차와 2차 토지 면적으로 안분하여 1, 2차 토지의 양도가액을 정하여야 함.
|
대전지방법원-2019-구단-100976
(2020.05.07)
|
265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소급감정가액을 증여로 취득한 토지의 취득가액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국승]
-
증여세의 부과제척기간이 도과한 경우 소급감정에 의한 취득가액 인정은 엄격해야 하고, 주변 환경의 변화가 있어 소급감정가액이 평가기준일 당시 불특정 다수인 사이에 통상 성립되는 거래가액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움
|
서울행정법원-2017-구단-82065
(2020.04.28)
|
266 |
판례 |
양도 |
-
8년 이상 직접 경작한 사실이 인정되지 않음[국승]
-
8년 이상 직접 경작한 사실이 인정되지 않고, 신고‧납부하지 않은데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할 수 없어 양도소득세 감면을 하지 않고 가산세를 부과한 처분은 적법
|
의정부지방법원-2019-구합-11410
(2020.04.09)
|
267 |
판례 |
양도 |
-
재개발·재건축하여 취득한 신축주택의 경우 취득가액 계산[국승]
-
종전 주택을 재개발·재건축하여 취득한 신축주택의 경우에는 이 사건 특례규정 및 이 사건 계산식에 따라 ‘종전 주택 취득 당시 기준시가’를 기준으로 양도소득세를 계산함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69578
(2020.02.19)
|
268 |
판례 |
양도 |
-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규정을 충족하지 못한 다가구주택의 비과세 여부[국승]
-
비록 건축물대장에 의할 때 이 사건 건물이 다가구주택에 해당하고 하나의 물건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사회관념상으로는 각 층, 각 가구별로 독립되어 있고, 용도 또한 개별로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때 실질에 있어 공동주택에 해당함
|
의정부지방법원-2019-구단-6527
(2020.02.03)
|
269 |
판례 |
양도 |
-
토지 매수인이 농업법인을 거쳐 양수자에게 매도하였으나 실질은 매수인이 직접 양수인에게 매도한 것에 해당함[국승]
-
토지 매수인이 농업법인을 거쳐 양수자에게 매도하였으나 경제적 실질 내용에 따라 매수인이 직접 양수인에게 매도한 것에 해당함
|
제주지방법원-2018-구합-5653
(2020.01.22)
|
270 |
판례 |
양도 |
-
토지 매수인이 농업법인을 거쳐 양수자에게 매도하였으나 실질은 매수인이 직접 양수인에게 매도한 것에 해당함[국승]
-
토지 매수인이 농업법인을 거쳐 양수자에게 매도하였으나 경제적 실질 내용에 따라 매수인이 직접 양수인에게 매도한 것에 해당함
|
제주지방법원-2018-구합-5646
(2020.01.22)
|
271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시행령조항(소득세법 시행령 제168조의8 제2항)이 위헌이거나 위법하다고 할 수 없음[국승]
-
비사업용 토지인지 여부를 가림에 있어서 구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66조 제14항의
규정을 준용하는 것이 불합리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음
|
대법원-2019-두-52843
(2020.01.16)
|
272 |
판례 |
양도 |
-
토지 및 건물의 소유자 및 양도시기와 양도가액에 대한 당부[국패]
-
토지의 취득가액은 실지 거래가액으로 적용하여야 하고, 건물은 이*산이 실제 건축주이므로, 원고가 이*산에게 이 사건 건물을 양도하였음을 전제로 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며, 토지의 매매대금을 청산한 날이 분명하지 아니하므로, 토지의 소유권이전등기일을 양도시기로 보고 2010년 귀속 양도소득세를 부과한 것은 적법함
|
수원지방법원-2018-구단-7819
(2020.01.15)
|
273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토지 양도가 부당행위계산 부인 적용 대상인지[국승]
-
원고는 이 사건 토지를 6개 동 주택신축 부지로 개발하여 특수관계법인에게 양도한 것이고, 특수관계법인은 2개 동 주택신축 부지를 평가기간 내에 양도한 것으로 이를 시가로 판단하여 부당행위계산 부인을 적용한 것은 타당함
|
대전지방법원-2019-구단-100686
(2020.01.09)
|
274 |
판례 |
양도 |
-
양도 당시농지에 대한 입증책임은 납세자에게 있음[국승]
-
그 매수인도 이 사건 토지를 농지로 사용하지 않았던바, 원고 및 매수인 모두 이 사건 토지를 농지로 이용할 의도가 있었다고 보이지 않는 점 등을 종합하면, 이 사건 토지는 양도 당시 실질적으로 농지에 해당하였다고 볼 수 없다.
|
창원지방법원-2019-구단-11751
(2020.01.08)
|
275 |
판례 |
양도 |
-
쟁점토지의 취득 당시 실거래가액을 인정 또는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환산취득가액을 산정한 이 사건 처번은 적법함[국승]
-
이 사건 교환계약서, 매매계약서, 각 확인서, 소급감정평가서는 부동산 평가액 등 중요 부분이 미비하고 그 작성 경위와 다른 증거들에 비추어 쟁점토지의 취득 당시 실지거래가액을 확인할 만한 객관적인 증거로 삼기에 부족하고, 이 사건 교환계약이 교환대상 목적물의 객관적 가액 평가를 기준으로 한 가치적 교환에 해당한다고 볼 만한 객관적인 증거도 없음
|
서울행정법원-2018-구합-89305
(2020.05.07)
|
276 |
판례 |
양도 |
-
1990. 8. 30. 개별공시지가가 고시되기 전에 상속받은 토지의 취득가액[국승]
-
1990. 8. 30. 개별공시지가가 고시되기 전에 상속받은 토지의 상증세법 평가금액이 존재하지 아니하더라도 특별기준시가를 취득 당시 실지거래가액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함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68506
(2020.03.31)
|
277 |
판례 |
양도 |
-
해당 건물의 양도가 사업소득과 양도소득 중 어느 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국패]
-
양도인의 부동산 취득 및 보유 현황, 조성의 유무, 양도의 규모, 횟수, 태양, 상대방 등에 비추어 그 양도가 수익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지 여부와 사업활동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계속성과 반복성이 있는지 등을 고려하여 사회통념에 따라 판단한 바, 해당 건물의 양도는 사업소득에 해당함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52235
(2019.11.05)
|
278 |
판례 |
양도 |
-
(심리불속행) 외국법인 주식을 양도하였다거나 양도대금이 양도자에게 귀속되었다고 볼 수 없음[국패]
-
(원심 요지) 원고가 외국법인의 주식을 양도하였다거나 양도대금이 원고에게 귀속되었다고 인정하기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음
|
대법원-2019-두-60066
(2020.03.12)
|
279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상속주택이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 가능한지 여부[국승]
-
원고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상속개시 당시 원고가 부친인 AAA과 독립하여 별도의 세대를 구성하고 있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상속인과 피상속인이 상속개시 당시 동일세대인 경우에는 상속과 상관없이 이미 1세대 1주택이 아니었으므로 1세대 일시적 2주택의 특례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이 타당하다.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64849
(2020.03.18)
|
280 |
판례 |
양도 |
-
(심리불속행)어린이집 교재 및 교구 등에 대한 대가가 양도가액에 포함된 것인지 및 기타사용료가 양도대가인지 임대대가인지 여부[일부국승]
-
(원심요지)교재 및 교구 등은 구입시기가 오래되어 잔존가액이 미비하므로 양도대가를 따로 계산할 수 없고 구입비용 또한 자본적지출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비용으로 공제할 수 없으며, 기타사용료는 놀이터를 임대해준 대가이므로 양도가액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함.
|
대법원-2019-두-61229
(2020.03.26)
|
281 |
판례 |
양도 |
-
주거지역 등 편입일 이후에 취득하여 양도한 농지의 경우 자경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을 감면배제한 처분은 적법함[국승]
-
주거지역 등 편입일 이후에 취득하여 양도한 농지의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제69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라 자경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을 감면배제한 처분은 적법하고 피상속인이 8년 이상 경작한 농지를 주거지역 등 편입일 이후에 상속을 원인으로 취득하고 이를 양도한 경우라도 이를 달리 볼 것은 아님
|
대구고등법원-2019-누-4111
(2020.05.08)
|
282 |
판례 |
양도 |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단서규정의 적용에 있어서 다가구주택은 주택으로 사용하는 층수가 3개층 이하인 경우에 한 함.[국승]
-
한 가구가 독립하여 거주할 수 있도록 구획된 부분을 각각 하나의 주택으로 보아야 하고, 실제 주택으로 사용하는 층수가 3개 층을 초과하여 구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1호 다목에서 정하는 다가구주택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하나의 매매단위로 양도하였다고 하더라도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단서가 적용될 여지는 없음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63020
(2020.03.31)
|
283 |
판례 |
양도 |
-
(심리불속행) 8년 자경 여부 및 부정 과소신고불성실 가산세 적용의 적정 여부[국승]
-
(심리불속행) 국세기본법상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라고 함은 조세의 부과와 징수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위계 기타 부정한 적극적인 행위를 말하고, 적극적 은닉 의도가 나타나는 사정이 덧붙여지지 않은 채 단순히 세법상의 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허위의 신고를 함에 그치는 것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음
|
대법원-2019-두-54184
(2020.01.16)
|
284 |
판례 |
양도 |
-
미분양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과 관련하여, 주택 취득 전에 발생한 부속토지의 양도소득도 감면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국패]
-
‘주택’이란 주택법 제2조 제1호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세대의 구성원이 장기간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및 그 부속토지’를 가리키는 것이라 봄이 타당하므로 미분양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 대상에 주택 취득 전에 발생한 부속토지의 양도소득도 포함되는 것임
|
서울고등법원-2019-누-38627
(2019.10.23)
|
285 |
판례 |
양도 |
-
8년 이상 농지를 직접 자경하였는지 여부[국승]
-
(2심판결과 같음)원고가 제출한 자경사실확인서 등은 그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은데다가 각각의 기재 내용도 유사하여 확인자들이 원고가 요청한 내용 그대로 기재하였을 뿐인 것으로 보이므로 이를 그대로 믿기 어렵거나 증거로서 부족하며 원고는 해당 농지를 직접 경작한 것으로 보기 어려움
|
대법원-2020-두-34971
(2020.05.28)
|
286 |
판례 |
양도 |
-
심판청구기간이 도과된 것으로 전심절차를 경유하지 않은 소송은 적법하지 않음[국승]
-
같은 주소지에 거주하는 어머니에게 우편물 기타 서류의 수령권한을 묵시적으로 위임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므로 이 사건 이의신청 결정서를 수령한 2017. 11. 15. 위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의 통지를 받았다고 보아야함
|
대구고등법원-2019-누-4487
(2020.05.15)
|
287 |
판례 |
양도 |
-
창업 후 3년 이내인 벤처기업에 대한 출자란 벤처기업으로 창업한 지 3년 이내인 벤처기업에 대한 출자를 의미함[국승]
-
일반 기업으로 창업한 후 벤처기업으로 전환한 기업에 창업 당시 출자하여 취득한 주식은 구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13조 제1항 제1호에서 말하는 창업 후 3년 이내인 벤처기업에 대한 출자에 의하여 취득한 주식에 해당하지 않음
|
수원고등법원-2019-누-12865
(2020.04.29)
|
288 |
판례 |
양도 |
-
상속받은 부동산의 소급감정가액을 취득가액으로 볼 수 없음[국승]
-
당초 개별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상속세를 납부한 뒤 상속세 부과제척기간 경과 이후 양도소득세 감액을 목적으로 소급감정을 통하여 얻은 감정가액은 취득가액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이와 같은 취지에서 원고의 경정청구를 거부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
|
서울행정법원-2018-구단-59246
(2020.04.28)
|
289 |
판례 |
양도 |
-
현장확인을 재조사가 금지되는 세무조사로 볼 수 있는지 여부[국승]
-
단순한 사실관계의 확인이나 통상적으로 이에 수반되는 간단한 질문조사에 그치는 것이어서 납세자 등으로서도 손쉽게 응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거나 납세자의 영업의 자유 등에도 큰 영향이 없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재조사가 금지되는 세무조사로 보기 어려움
|
서울고등법원-2019-누-63548
(2020.04.24)
|
290 |
판례 |
양도 |
-
8년 자경 감면 적정여부 등[국승]
-
각 증거에 의하여 원고가 2004. 6. 29부터 2016. 8. 31.까지 이 사건 제1, 2토지 인근에서 재촌, 자격하였다고 볼 수 없으므로, 원고의 자경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 농지대토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 장기보유 특별공제액 공제 주장은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
인천지방법원-2019-구단-50080
(2020.04.24)
|
291 |
판례 |
양도 |
-
토지의 용도에 따른 통상적인 제한의 범위를 넘어 특별히 사용이 제한된 경우[국승]
-
토지의 용도에 따른 통상적인 제한의 범위를 넘어 특별히 사용이 제한된 경우에 해당하는지는 토지의 본래 용도에 따른 사용의 제한 여부를 원칙적인 기준으로 하되, 토지의 취득 목적과 실제 이용현황 및 본래 용도의 변경가능성 등도 아울러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판단
|
수원고등법원-2019-누-13936
(2020.04.22)
|
292 |
판례 |
양도 |
-
8년 자경농지 여부 및 지장물 보상금의 양도대가 포함 여부[국승]
-
원고가 쟁점토지를 8년 자경을 인정할 증거 없고, 쟁점 지장물 보상금의 실질은 양도대가에 해당하므로, 이 사건 처분은 적법
|
의정부지방법원-2019-구합-10844
(2020.04.16)
|
293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건물양도는 거래의 관행상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봄이 타당하므로 증여세 과세대상으로 볼 수 없음[국승]
-
이 사건 건물을 취득가격 대비 고가에 양도한 것은 개발이익 예상지역에 소재한 부동산으로 거래당사자간 이익 극대화를 위해 양도대가를 결정하였고, 소외법인의 증여의도는 없었으므로, 거래의 관행상 정당한 사유’가 존재하므로 상증세법상 증여세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이 사건 건물 양도가액 전액을 양도세 과세대상으로 고지한 처분은 적법함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59830
(2020.04.22)
|
294 |
판례 |
양도 |
-
양수인이 양도인의 최초 부동산 매매 계약을 해지하기 위해 지급한 계약해지금은 양도가액에 포함됨[국승]
-
양수인이 양도인의 최초 계약해지를 위해 양도인을 대신해 최초계약자에게 지급한 계약해지금은 양도가액에 포함됨
|
대전지방법원-2019-구단-45
(2020.04.16)
|
295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제2주택은 이 사건 양도주택 양도 당시 장기임대주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므로 원고는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 대상이 아님[국승]
-
이 사건 제2주택은 이 사건 양도주택 양도 당시 장기임대주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므로 1세대 1주택의 판정에 있어 주택수 산정에서 제외될 수는 없다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64771
(2020.04.14)
|
296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종중이 국세기본법 제13조의 ‘법인으로 보는 단체’에 해당하지 않아 양도소득세 부과대상인지 여부[국승]
-
종중이 부동산등기용 등록번호를 부여받은 것은 국세기본법 제13조에서 규정하는 ‘주무관청에 등록’한 것으로 볼 수 없으므로 세무서장에게 신청하여 승인을 받기 전까지는 법인으로 보는 단체라 할 수 없어 양도소득세의 부과대상이 됨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61314
(2020.04.14)
|
297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주택의 양도가 1세대1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국패]
-
배우자 주택은 가정어린이집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므로 이 사건 주택의 양도에 따른 양도소득세 과세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주택수에 포함되지 아니하여야 함
|
서울행정법원-2019-구단-64108
(2020.04.14)
|
298 |
판례 |
양도 |
-
양도된 토지의 8년 이상 자경 농지 해당 여부[국승]
-
8년 이상 자경농지로서 양도소득세 감면요건에 해당한다는 사실에 관한 증명책임은 양도소득세의 감면을 주장하는 납세의무자에게 있으나 원고가 제출한 증거들로는 이 사건 토지가 8년 이상 자경된 농지임을 인정하기에 부족함
|
서울고등법원-2019-누-46161
(2020.04.10)
|
299 |
판례 |
양도 |
-
8년 자경 여부[국승]
-
이 사건 농지에서 복숭아 묘목을 식재하여 복숭아농사를 지었고 3년 이상의 기간 동안 이 사건 농지를 자경하다가 양도한 것으로 농지대토감면을 충족하나 8년자경 감면 요건은 충족하지 못함
|
대전고등법원-2018-누-10475
(2020.04.09)
|
300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양도소득세 산정의 기초가 되는 양도가액이 정당하게 산정되었는지 여부[국패]
-
원고가 이행보증약정에 기해 AAA로부터 수령한 4억 원은 이 사건 토지를 매수하기 위한 대가가 아니므로 이 사건 토지의 양도가액에서 제외함이 타당하고, 원고가 양도세대납약정에 기해 AAA로부터 수령한 3억 2,500만원은 원고가 위 금원에 대한 경제적 이득을 향유하고 있어 이 사건 토지의 양도가액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함.
|
청주지방법원-2019-구합-7190
(2020.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