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701 |
판례 |
상증 |
-
주식 명의신탁에 대하여 명의신탁관계 종료 후 행해진 증여세 부과처분의 적법 여부[국승]
-
명의신탁관계의 종료는 명의신탁 설정 당시에 이미 성립된 수탁자의 증여세 납세의무에 영향을 미칠수 없고, 증여세부과처분은 그와 같이 이미 성립한 납세의무를 확인하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그 과세처분이 명의신탁관계 종료 이후에 행하여졌더라도 적법함
|
서울고법96구14663
(1996.12.20)
|
44702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 해당 여부[국승]
-
부가가치세 등의 체납과 관련하여 2004.12.30. 그의 유일한 재산인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처제인 피고에게 경료해 줌으로서 무자력 상태가 되어 사해행위취소 소송을 제기함(무변론)
|
창원지방법원2006가단48178
(2006.10.27)
|
44703 |
판례 |
상증 |
-
증여세 소급과세에 해당하는지 여부[일부패소]
-
증여로 인한 취득이 있은 후 증여세 신고기한 경과전 부과제척기간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었다면 이를 적용하여 과세한 것은 소급과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임
|
서울행법98구15060
(1999.03.11)
|
44704 |
판례 |
상증 |
-
증여세 면제대상이 포함된 경우의 증여세액 계산방법[국승]
-
증여받은 재산에 면제대상이 포함된 경우에는 먼저 전체 증여재산가액에 대한 총 증여세액을 산출한 다음 증여세가 면제되는 재산분에 대한 증여세액을 공제하는 것임
|
서울행법98구15176
(1999.03.24)
|
44705 |
판례 |
양도 |
-
공부상 주택이 아닌 건축물의 주택 해당 여부[국패]
-
공부상 주택이 아니라 하여도 주택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건물 공부상의 용도에 관계없이 그 실제 구조 및 사용형태에 의하여 판정하여야 함
|
서울고법96구25427
(1997.02.12)
|
44706 |
판례 |
상증 |
-
의료법인에의 자산출연의 귀속시기 등[일부패소]
-
의료법인에의 출연자산이 등기를 요하는 부동산인 경우 소유권이전등기시점이 증여세 납세의무가 성립됨
|
서울고법95구6719
(1996.09.11)
|
44707 |
판례 |
부가 |
-
OO공사의 이른바 협찬품 고지방송은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에 해당함[일부패소]
-
OO공사의 이른바 협찬품 고지방송은 그 공급한 용역과 협찬업체로부터 제공받은 협찬품의 취득이 서로 실질적, 경제적 대가관계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인 광고용역의 공급에 해당함
|
서울고법97구50567
(1999.03.24)
|
44708 |
판례 |
소득 |
-
명의대여 사업장을 송달장소로 한 납세고지서 송달의 효력[국승]
-
납세고지서가 납세의무자가 사업자등록명의를 빌려 준 사업장을 송달장소로 하여 사업자등록명의 차용인에게 교부된 경우라하더라도 그 송달은 유효한 것임
|
서울고법96구28099
(1999.03.26)
|
44709 |
판례 |
법인 |
-
재산국외도피, 업무상 횡령, 조세포탈의 점에 대하여 각 유죄를 선고한 사례[기타]
-
카지노업계의 대부 전ㅇㅇ의 재산국외도피, 업무상 횡령, 조세포탈의 점에 대하여 각 유죄를 선고한 사례
|
서울지법96고합1228
(1997.02.24)
|
44710 |
판례 |
소득 |
-
부동산매매업자의 '매매차익'을 기준시가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는지 여부[국승]
-
부동산매매업자의 '매매차익'을 기준시가에 의하여 결정할 수 없음
|
서울고법97구24421
(1997.12.03)
|
44711 |
판례 |
부가 |
-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인지 여부[국패]
-
세금계산서 기재사실과 같이 거래한 사실이 확인되고 다만 그 작성일자가 동일한 과세기간내로서 달리 기재된 경우에는 적법한 세금계산서로 보아야 하는 것임
|
서울행법98구24859
(1999.03.31)
|
44712 |
판례 |
소득 |
-
구상금은 기타소득에 해당되지 아니함[일부패소]
-
구상금은 법률상 당연히 인정되는 출재액에 대한 면책된 날 이후의 법정이자로 지급받은 것이지 출재액 반환의무의 이행지체로 인한 것이 아니므로, 이를 '위약 또는 해약으로 인하여 받는 손해배상'에 해당된다고 할 수는 없음
|
서울고법96구11152
(1996.10.10)
|
44713 |
판례 |
상증 |
-
금양임야 해당 여부[일부패소]
-
이 사건 임야는 그 전부가 분묘에 속한 1정보 이내의 금양임야로써 그 제사주재자들인 원고 이OO, 이OO, 이OO이 공동으로 승계한 재산에 해당하므로 이를 상속세과세가액에서 제외하여야 할 것임
|
서울고법95구3659
(1996.10.16)
|
44714 |
판례 |
부가 |
-
추계사유 해당 여부[국승]
-
과세표준을 계산함에있어 필요한 세금계산서.장부 기타의 증빙이 없거나 그 중요한 부분이 미비인 때, 또는 그 내용이 허위임이 명백한 때에 해당하므로, 이 사건 부과처분은 부가가치세법이나 법인세법이 정하는 추계경정사유가 있다 할 것임
|
서울고법95구35090
(1996.10.18)
|
44715 |
판례 |
소득 |
-
토지가격을 개별공시자가로 평가하여 총수입금액 누락으로 과세한 처분의 당부[일부패소]
-
일반시장가격이라 함은 객관적인 교환가격인 시가를 의미하고, 감정기관의 소급감정가액도 포함하므로 소급감정가액 범위내의 부과처분은 적법함
|
서울고법95구3826
(1996.10.25)
|
44716 |
판례 |
부가 |
-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인지 여부[국승]
-
사업자가 리스회사와의 사이에 금융리스계약을 체결하고 기계를 제작하여 완성한 후 리스계약의 변경에 의하여 기계부품을 실수요자에게 인도한 경우에는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임
|
서울행법98구9294
(1999.04.30)
|
44717 |
판례 |
부가 |
-
노상주차장 수탁관리사업자가 사업상 독립적으로 용역을 공급하는자인지 여부[국승]
-
노상주차장 위.수탁관리계약에 따라 주차장 관리 및 운영과 주차료 수입도 전액 수탁자가 관리하며, 직원들도 수탁자가 고용하고 있는 경우, 자기의 책임과 계산하에 운영하였으므로 사업상 독립적으로 용역을 공급하는 자에 해당됨
|
서울고법97구22333
(1998.06.11)
|
44718 |
판례 |
상증 |
-
종중이 토지보상금을 종중원들에게 분배한 경우 증여세 과세대상 여부[국승]
-
토지보상금은 종중원 총회의 분배 결의에 따라 종중원들이 수령함으로써 그 권리가 종중원들에게 이전되었다 할 것이므로 위 토지보상금의 분배는 증여세의 과세대상인 증여에 해당함
|
서울고법97구28966
(1998.06.11)
|
44719 |
판례 |
양도 |
-
공동상속주택의 양도시 1세대1주택 비과세[국패]
-
공동상속주택의 소유자는 당해주택에 실지 거주한 자이므로 지분등기만 된 원고를 1세대2주택으로 보아 부과한 양도소득세는 취소하여야 함
|
서울고법96구37581
(1997.07.11)
|
44720 |
판례 |
양도 |
-
환지처분으로 인하여 취득한 토지의 취득시기[기타]
-
환지처분으로 인한 감평부분의 양도시기나 증평부분의 취득시기를 환지처분공고 다음날이라고 본 사례
|
서울고법96구47809
(1997.07.24)
|
44721 |
판례 |
양도 |
-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불비[기타]
-
양도당시 주택에 원고가 아들과 함께 거주하였을 뿐, 배우자와 이 사건주택에 거주하지 않음으로서 1세대1주택으로 보지 않은 사례
|
서울고법95구38587
(1997.04.23)
|
44722 |
판례 |
토초 |
-
공장용 건축물의 부속토지에 대해 토지초과이득세 해당 여부[기타]
-
토지 지상의 건축물은 영업을 목적으로 물품의 제조.가공.수선에 사용된 것은 아님으로 이 사건 무허가 건물을 토지초과이득세 과세의 예외가 되는 공장용건물에서 배제하고 있으므로 과세처분은 적법함.
|
서울고법96구40327
(1997.05.08)
|
44723 |
판례 |
상증 |
-
상속재산 주식평가시 매매거래가액 시가인정 여부[일부패소]
-
상속재산인 주식의 평가에 있어 상속개시일 전후 6개월내에 매매거래가액이 있다면 이 매매가액으로 평가함은 타당하다고 본 사례임.
|
서울고법96구30696
(1997.05.15)
|
44724 |
판례 |
상증 |
-
원고와 자녀명의로 소유권등기를 경료한 경우 자녀지분 증여여부[일부패소]
-
단독 소유인 토지상에 10년간 사용수익 후 반환케 하는 조건으로 제3자의 건축자금을 상가신축 후 자녀명의로 소유권등기를 경료한 경우 증여에 의하여 상가의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 봄이 상당함
|
서울고법95구704
(1996.01.18)
|
44725 |
판례 |
상증 |
-
실권주 재배정에 따른 이익을 증여의제한 처분의 당부[국승]
-
비상장법인이 유상증자를 한 경우에 자산 가치뿐만 아니라 수익가치가 변동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사건 주식의 1주당 가액의 평가를 그 당시 시행되던 상증법에 따라야 함
|
서울고법95구7347
(1996.01.18)
|
44726 |
판례 |
부가 |
-
동업자권형방법에 의해 분양금액을 추계조사 결정한 처분의 당부[국패]
-
피고가 실지분양금액을 조사하는 조치를 취하였다고 인정할 아무런 증거가 없고 추계과세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을 뿐더러 그 추계방법도 적법성을 결여하여 위법함을 면치 못한다 할 것임
|
서울고법95구5686
(1996.01.24)
|
44727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취소 등[국승]
-
동생인 피고와 사이에 유일한 재산인 부동산에 관하여 체결한 이 사건 매매계약은 매출누락에 따른 조세채무를 부담하는 상태에서 무자력 상태를 초래한 사해행위라 할 것임
|
창원지방법원통영지원2006가단4938
(2006.12.01)
|
44728 |
판례 |
소득 |
-
보고불성실가산세 부과처분 정당 여부[국승]
-
원고가 주장하는 위탁판매업자들이 소매업자라거나 그 위탁판매업자들이 원고의 농산물을 판매한 것이 소매에 해당한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는 이상 원고가 계산서를 교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
|
창원지방법원2006구합1003
(2006.10.12)
|
44729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취소[국승]
-
조세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성립한 상태에서 체납자의 유일한 재산에 체납자의 처인 피고 명의로 설정한 매매예약 가등기는 사해행위에 해당함
|
창원지방법원2005가단27686
(2006.10.31)
|
44730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부과처분이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가 있어 무효에 해당하는지 여부[국승]
-
이 사건의 경우 실지거래가액에 의한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어야 함에도 기준시가에 의한 양도소득세가 부과된 하자가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사정만으로는 이 사건 부과처분을 무효로 할 정도로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가 있다고 보기 어려움.
|
서울중앙지방법원2005가합70583
(2006.12.08)
|
44731 |
판례 |
양도 |
-
채무부존재확인[국승]
-
국세 체납으로인한 압류는 시효중단의 효력이 있음.
|
서울중앙지방법원2006가합33987
(2006.10.12)
|
44732 |
판례 |
법인 |
-
매각대금배분의 적법여부[국승]
-
원고와 ○○금융주식회사와의 사이에 이 사건 근저당권의 유용에 의한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에 피고에게 대항할 수 없음
|
창원지방법원2005구합3187
(2006.08.24)
|
44733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국승]
-
체납자가 배우자인 피고 앞으로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것이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
창원지방법원2006가단34445
(2006.08.11)
|
44734 |
판례 |
부가 |
-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로 보아 매입세액을 불공제한 처분의 당부[국승]
-
원고가 유류대금으로 이 사건 세금계산서상의 공급가액 상당 비용을 실제 지출하였다는 점에 관한 입증이 없으므로 당초 처분은 정당함.
|
수원지방법원2005구합9942
(2006.09.04)
|
44735 |
판례 |
국징 |
-
초과압류 여부[국패]
-
제1차 압류부동산과 제2차 압류부동산에 이 사건 체납액에 우선하는 채귄이 있으나, 1・2차 압류부동산의 시가가 감정가를 기준으로 우선하는 채권보다 많으므로 이 사건 압류처분은 초과압류에 해당하여 위법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3480
(2006.11.01)
|
44736 |
판례 |
부가 |
-
실질사업자 여부[국승]
-
원고가 수령한 이사건 공사대금의 지급방식등을 볼때 독립성과 계속,반복성을 갖춘 사업의 대가로 인정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6953
(2006.11.24)
|
44737 |
판례 |
상증 |
-
임대차보증금과 일반차입금의 증여세과세가액 공제여부[국패]
-
이 사건 부동산의 취득대가로 임대차보증금 등을 상계한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원고의 청구는 이유 있음
|
인천지방법원2006구합716
(2006.08.17)
|
44738 |
판례 |
소득 |
-
부동산을 일부 사용했다면 그 비율만큼의 지급이자를 부동산의 필요경비에 산입.[일부국패]
-
부동산 취득하여 특수관계자에게 무상임대하고 차입금에 대한 지급이자를 원고 개인사업의 지급이자로 산입하였으나 무상임대 중 원고 개인이 사용한 면적비율만큼은 필요경비 산입함
|
서울행정법원2005구합37601
(2006.10.26)
|
44739 |
판례 |
국징 |
-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의거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소액임차인인지 여부[국승]
-
연립주택을 하도급대금으로 대물로 지급받았다는 점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신축건물은 그 건축주가 그 소유권을 원시적으로 취득하고 그 소유권을 타인에게 이전하기 위해서는 소유권보존등기 및 이전등기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임
|
서울중앙지방법원2005가단351711
(2006.11.09)
|
44740 |
판례 |
소득 |
-
이 사건 공매처분과 관련한 양도소득세 체납액이 당연무효인 부과처분인지 여부[국승]
-
이사건 양도당시 2채의 주택을 더 보유하고 있으므로, 1세대 1주택의 양도에 해당하지도 아니하여 양도소득세를 부과한 처분은 당연 무효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음
|
서울동부지방법원2006나2386
(2006.12.06)
|
44741 |
판례 |
국징 |
-
양도소득세 당연무효 여부[국승]
-
양도당시 2채의 주택을 더 보유하고 있어 1세대 1주택의 양도에 해당하지도 아니하므로 양도소득세는 당연무효에 해당하지 않음
|
서울동부지방법원2005가단61288
(2006.04.25)
|
44742 |
판례 |
상증 |
-
감정가격이 시가에 해당하는지 여부[국패]
-
거래를 통한 교환가격이 없는 경우에는 감정기관의 감정가격도 시가로 볼 수 있는데, 이 사건 감정평가의 목적 또한 자산재평가 또는 시가참조를 위한 것으로 감정당시 시가를 정확히 반영하는데 주안점이 있어 감정가격은 시가로 볼 수 있음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2350
(2006.11.22)
|
44743 |
판례 |
소득 |
-
회사의 실질적 사업자 해당 여부[국패]
-
지출결의서 결재사항 등 관련 증거자료에 의하면 실제 회사를 경영한 실질 대표자는 김○○이고, 원고는 명의상 대표자이므로 이 사건 부과처분은 위법함
|
수원지방법원2005구합6660
(2006.09.13)
|
44744 |
판례 |
법인 |
-
선수금의 매출액 제외여부 및 재고자산감모손실을 상여 처분한 것이 정당한지 여부[국패]
-
매출액 1,314백만원의 귀속사업연도가 2000년이므로 2001년이라는 전제에서 처분한 법인세고지처분은 위법하고, 상여처분한 재고자산은 수량이 아닌 가격의 평가에 의한 것이므로 재고자산감액손실이지 재고자산감모손실이 아니므로 위법함.
|
서울행정법원2004구합36632
(2006.12.14)
|
44745 |
판례 |
법인 |
-
재고자산평가손실을 특정연도에 한꺼번에 비용을 계상하여 이를 부인한 피고의 과세처분은 적법함[국승]
-
2000 사업연도 평가손실 대상 재고자산 중에는 2000 사업연도 이전에 이미 부패 또는 파손되어 그 자산가치가 없게 되었던 제품 등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위 평가손실을 계상하기 위하여 폐기처분, 매각 등의 처리를 하였음을 인정할 증거도 없으므로, 2000 사업연도 평가손실 전액을 당해 사업연도의 비용으로 산입함은 잘못된 것으로 이를 비용부인한 피고의 과세처분은 적법함
|
서울행정법원2005구합30662
(2006.08.31)
|
44746 |
판례 |
부가 |
-
자료상으로부터 수취한 세금계산서의 매입세액불공제 처분 당부 (지금 도매업)[국패]
-
자료상으로 고발되어 파생된 자료를 매입세액 불공제 고지했으나 위 매입이 가공매입이라는 입증책임이 피고에게 있고 실제 거래했다고 볼만한 증빙이 제출되어 있는 경우 반증이 없는 한 매입세액을 공제해야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5127
(2006.11.08)
|
44747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해당여부[국승]
-
대물변제도 사해행위에 해당함.
|
서울중앙지방법원2006가합29421
(2006.11.30)
|
44748 |
판례 |
양도 |
-
양도일 이전에 지정지역으로 고시된 경우 기준시가로 결정할 수 있는지 여부[국승]
-
관련 법령이 헌법에 위배되지 않으므로 양도일 현재 지정지역으로 고시된 경우 실지거래가액으로 양도소득세를 신고 납부하여야 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6823
(2006.11.21)
|
44749 |
판례 |
국징 |
-
제3자가 처분을 받은 사람을 대위하여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각하]
-
과세관청이 조세의 징수를 위하여 납세의무자 소유의 부동산을 압류한 경우, 제3자는 법률상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익을 가지는 것은 아니어서 그 압류처분의 무효 확인이나 취소를 구할 당사자적격이 없음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8683
(2006.11.09)
|
44750 |
판례 |
상증 |
-
배우자간 부동산 취득자금의 증여 여부[국패]
-
부동산이 모두 남편의 자금으로 구입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남편 소유의 특유재산에 해당하므로 원래는 남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였어야 될 것인데, 남편이 당시 운영하고 있었던 사업의 실패 등과 같은 위험성으로 인하여 주거의 안정이 위협을 받을 수도 있음을 감안하여 처인 원고의 명의로 그와 같은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기에 이른 사실 등을 인정할 수 있을 뿐임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30003
(2006.11.15)
|
44751 |
판례 |
양도 |
-
분양권이 “등기가 불가능한 미등기양도제외자산”에 해당하는지의 여부[국패]
-
분양권 매매계약이 소유권보존등기 경료 이전이었고, 매수인이 잔금을 인수하는 특약이 있었으며, 설령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되었다 하더라도 분양잔금을 매수인이 납부하기로 특약한 이상 조세회피목적이 없어 이 사건 과세처분은 위법함.
|
서울행정법원2005구단10487
(2006.11.14)
|
44752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취소[국승]
-
피고는 별지목록 기재의 부동산에 관하여 증여계약을 취소하고 창원지방법원 2006.3.6.자 접수 제18637호로 마친 소유권이전 등기의 말소등기의 절차를 이행하라.(무변론 판결)
|
창원지방법원2006가단40624
(2006.09.13)
|
44753 |
판례 |
양도 |
-
생계를 같이하는 동일세대 여부의 판단기준[기각]
-
주택의 1층과 2층이 분리되어 있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생계를 같이하는 동일세대 여부는 실질적인 생활 형태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므로, 제시된 증빙이나 제반 사정에 비추어 볼 때 원고와 부모를 동일세대로 봄이 타당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단2162
(2006.11.24)
|
44754 |
판례 |
상증 |
-
유사매매사례가의 시가산정의 위법성[기각]
-
증여재산의 시가를 산정함에 있어 당해 재산과 사실상 동일 또는 유사한 재산의 매매사례가격이 불합리하다거나 모법의 위임을 벗어나 과세요건을 부당하게 확대한 것이라고 할 수 없음.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25230
(2006.11.07)
|
44755 |
판례 |
부가 |
-
검찰로부터 무혐의 처분 받았으므로 실물거래없는 가공거래가 아니라는 주장의 당부[기각]
-
적극적으로 거래행위의 외관을 만들어 장부상의 매출액을 늘림으로써 은행으로부터 자금융통을 얻어 대출금을 상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또한 실질적인 거래가 없는 가공의 거래에 해당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4230
(2006.11.01)
|
44756 |
판례 |
국기 |
-
소액임차인의 우선변제권에 해당하는지[국승]
-
원고의 2차 특수주소변경을 마치기 전의 주민등록만으로는 일반 사회통념상 제3자인 피고들이 위 연립주택에 원고가 주소를 가진 자로 등록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라고 보기 어려우므로 소액임차인이라 할 수 없음.
|
서울중앙지방법원2005가단336620
(2006.11.16)
|
44757 |
판례 |
증권 |
-
상속세를 비상장주식으로 물납한 경우 증권거래세를 부과 할 수 있는지 여부.[국승]
-
증권거래세는 그 거래가액에 대하여 부과하는 유통세로서 주식을 상속하여 그 상속세를 주식으로 물납하는 경우 그 법적성질은 대물변제에 해당하고 이는 계약상 또는 법률상의 원인에 의하여 유상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는 양도에 해당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6489
(2006.11.03)
|
44758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취소소송[국승]
-
증여행위가 납세의무가 성립한 후에 행해진 것으로서 그 유일한 재산에 대한 처분행위는 사해행위 취소사유에 해당
|
창원지방법원진주지원2006가단8104
(2006.09.26)
|
44759 |
판례 |
소득 |
-
소급감정에 의한 임료가액도 적정임료에 해당함[일부국승]
-
소급감정에 나타난 임료의 가액이 법원에 현출되었다면, 이를 채용하지 못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시가가 불분명한 경우가 아님이 분명하여 다른 평가방법에 의하여 계산하여 산정된 임료를 기준가격으로 삼을 수 없다 할 것임
|
서울행정법원2005구합3547
(2007.01.09)
|
44760 |
판례 |
양도 |
-
기준시가 결정 적법 여부[국승]
-
원고가 제시한 증거자료만으로는 실지거래가액을 확인할 만한 입증자료가 미비하므로 기준시가에 의하여 결정한 것은 적법하며, 이 사건 부과처분은 신뢰원칙 위반 또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는 처분이라고 볼 수 없음
|
전주지방법원2006구합1231
(2006.12.21)
|
44761 |
판례 |
양도 |
-
대토농지로서 비과세 해당 여부[국승]
-
원고가 이 사건농지를 자경하였다고 볼 만한 증거가 없고, 원고의 가족들은 미국에 거주하는 원고와 현실적으로 생계를 같이 하는 동일세대원이 아니어서 원고의 자경사실을 인정할 수 없음
|
의정부지방법원2006구합3563
(2006.11.07)
|
44762 |
판례 |
부가 |
-
사해행위취소[국승]
-
부가가치세 무신고에 의한 조사결정으로 사해행위일 이전 법률관계가 형성된 조세채무를 회피할 목적으로 남동생인 피고에게 매매를 원인으로 유일한 부동산을 소유권 이전등기를 경료한 것은 사해행위로 볼 수 있음
|
울산지방법원2006가단12342
(2006.11.15)
|
44763 |
판례 |
법인 |
-
대손상각에 따라 기타소득으로 분류된 금액이 명의대여에 의한 대표자 상여인지 여부[국패]
-
처분청이 대표이사에게 소득금액 변동통지하였으나 실지귀속자는 법인이므로 대표이사에게 한 소득금액 변동통지는 취소되어야 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1330
(2006.08.22)
|
44764 |
판례 |
양도 |
-
부동산의 원시취득 당부[국승]
-
이 사건 각 부동산에 관한 소유권보존등기의 추정력을 번복하고 원고들이 이 사건 각 부동산의 소유권을 원시 취득하였음을 인정하기 어려우며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음
|
서울중앙지법2005가합42885
(2006.09.08)
|
44765 |
판례 |
양도 |
-
부동산 소유권자가 누구인지[국패]
-
소유의 의사에 기하여 행해지던 이 사건 임야에 대한 점유 ● 관리를 이어받아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치고 점유를 계속하여온 이상,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진 후 10년이 경과한 후에 등기부취득시효가 완성되었거나, 아니면 20년이 경과한 후에 점유취득시효가 완성 된 것임
|
서울중앙지방법원2006가단73469
(2006.09.12)
|
44766 |
판례 |
양도 |
-
부동산이 누구 소유인지 여부[국패]
-
토지에 관하여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진 1962. 9. 8.부터 10년이 경과한 1972. 9. 8. 등기부취득시효가 완성되었거나, 아니면 20년이 경과한 1982. 9. 8. 점유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고 할 것임.
|
서울중앙지방법원2006가단73476
(2006.11.09)
|
44767 |
판례 |
국기 |
-
부당이득금 여부[기타]
-
제2차 납세의무자에 대한 법정기일과 원고의 근저당권 설정일을 비교하면 원고의 근저당권 설정일이 빨라 부당이득에 해당함
|
창원지방법원2006가단48840
(2006.11.16)
|
44768 |
판례 |
소비 |
-
종업원이 받은 봉사료의 귀속[기각]
-
기본 봉사료만 지급받는 경우나 2차 봉사료 중 일부가 현금으로 지급되는 경우 등에 대한 기재 없이 일률적으로 기재된 봉사료지급대장은 사후에 일괄 작성된 것으로서, 과세표준에서 제외하지 않은 부과처분은 적법함
|
청주지방법원2005구합2525
(2006.09.28)
|
44769 |
판례 |
국징 |
-
체납상태에서 유일한 부동산을 처분한 행위가 사해행위인지 여부[국승]
-
국세체납액을 부담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일한 재산인 부동산에 관하여 피고명의로 소유권이전을 마쳐주어 무자력 상태를 초래하였으므로 이는 채권자 취소권의 대상이 되는 사해행위에 해당함
|
울산지방법원2006가단22516
(2006.11.24)
|
44770 |
판례 |
소득 |
-
기준경비율에 의한 추계조사결정[국승]
-
장부 및 증빙불비로 인해 소득금액을 기준경비율에 의한 추계조사결정
|
제주지방법원2006구합167
(2006.09.14)
|
44771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취소 등[기각]
-
체납자가 유일한 재산인 이 사건의 토지를 피고에게 매도한 것은 채권자인 원고를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함
|
울산지방법원2006가단20053
(2006.10.20)
|
44772 |
판례 |
부가 |
-
외국환은행장이 발행한 구매확인서에 의한 영세율 매출의 과세 여부[국패]
-
재화의 공급자가 구매확인서에 의하여 재화를 공급한 경우에 공급자가 재화를 공급할 당시 그 구매확인서의 발급과정에 흠이 있음을 알고 있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구매확인서에 의하여 이루어진 재화의 공급이 영세율 적용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할 수는 없음
|
서울행정법원2005구합24643
(2006.12.14)
|
44773 |
판례 |
부가 |
-
사업의 포괄적 양도 양수 해당 여부[국승]
-
사업의 포괄적 양도 양수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재화의 공급으로 보아 부가가치세를 과세한 처분은 적법함
|
청주지방법원2006구합328
(2006.11.01)
|
44774 |
판례 |
국기 |
-
경매 배당금 중 국세로 배당한 금액을 채권자에게 배당해 줄 것을 청구[국승]
-
배당요구의 종기 이전에, 체납된 본세뿐만 아니라 가산금도 함께 교부 청구를 함으로써 가산금에 대한 배당요구의 의사를 명백히 한 이상, 배당요구 종기 이후 배당기일까지의 가산금 역시 체납된 본세의 부대채권으로 일반채권에 우선하여 배당하여야 함
|
청주지방법원제천지원2006가합244
(2006.10.24)
|
44775 |
판례 |
법인 |
-
대표이사 채무를 대신 변제한 것이 상여처분에 해당 하는지 여부[기각]
-
가공차입금을 계상하여 대표이사의 채무를 대위변제한 부과처분에 대하여 회사의 채무로 이를 입증할 증거서류가 없어 대표이사에게 상여 처분한 것은 정당함
|
청주지방법원2005구합2174
(2006.09.18)
|
44776 |
판례 |
국징 |
-
압류등기 적법 여부[국패]
-
피고 대한민국은 법률상 원인 없이 이루어진 무효의 등기에 기하여 이해관계를 가지게 된 제3자이므로 원고에게 위 소유권보존등기의 말소등기절차에 대해 승낙의 의사표시를 할 의무가 있음.
|
서울북부지방법원2006가합2432
(2006.11.16)
|
44777 |
판례 |
국징 |
-
가압류권자가 공매대금 배분금 지급대상자 해당하는지 여부[국승]
-
가압류채권자는 체납처분절차에서 매각대금의 배분을 요구할 권리가 없다 할 것이고,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공매처분으로 위 가압류의 효력은 이미 상실하였다고 할 것임.
|
서울중앙지방법원2006나12908
(2006.11.30)
|
44778 |
판례 |
소득 |
-
금융대부업을 실제 영위한 것으로 보아 과세한 처분의 당부[국패]
-
실제 사업자라고 추정하는 근거가 되는 몇 개의 간접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나, 경찰 및 검찰의 수사기록 등에 원고들이 실제 사업자가 아니라는 점에 관한 증거들이 훨씬 많이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위의 간접사실 만에 의하여 원고들이 실제 사업자라고 추인할 수 없음.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2817
(2006.12.01)
|
44779 |
판례 |
소득 |
-
가공세금계산서의 실거래 여부[기각]
-
실거래라고 주장하는 거래증빙이 신빙성이 없고 주장의 일관성이 없으므로 가공원가에 해당되어 필요경비 부인하여 부과한 처분은 정당함.
|
서울행정법원2005구합3516
(2006.11.13)
|
44780 |
판례 |
소득 |
-
부당이득금반환[기각]
-
소득금액변동통지서를 받은 날에 당해 소득금액을 귀속자에게 지급한 것으로 의제하며 그 때 원천징수하는 소득세의 납세의무가 성립함과 동시에 확정되는 것이므로, 소득금액변동통지서를 받고 수정신고납부한 소득세가 부당이득금에 해당되지 아니함.
|
서울중앙지방법원2005가합67068
(2006.02.07)
|
44781 |
판례 |
국조 |
-
원천징수 대상 해당 여부[국패]
-
청구법인이 국내사업장이 없는 외국법인에게 지급한 금액 상당이 원천징수대상인 손해배상금에 해당하는지 여부
|
창원지방법원2006구합1188
(2006.11.06)
|
44782 |
판례 |
부가 |
-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 내에 교부되지 아니한 세금계산서의 매입세액 공제여부[기각]
-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 내에 교부하지 아니한 매입세금계산서의 매입세액은 공제대상이 아니므로 부가가치세 환급 경정 청구 거부처분은 정당함.
|
창원지방법원2006구합314
(2006.10.17)
|
44783 |
판례 |
소득 |
-
인적용역의 제공에 따른 총수입금액의 수입시기를 언제로 볼 것인지 여부.[국승]
-
이 사건 용역의 공급시기는 원고가 2004. 12. 8. 의뢰인들로부터 쟁점금원을 실제로 수령한 후 위 성공보수금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하여 설정한 가압류를 모두 해제 하였으므로 용역의 대가 및 수입금액이 확정된 것으로 봄이 상당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25032
(2006.11.10)
|
44784 |
판례 |
상증 |
-
주택잔금을 회수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는 상속재산으로 볼 수 없음[국패]
-
상속개시전 1년내에 처분한 재산이라 하더라도 그 대금을 회수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는 상속재산으로 볼 수 없음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8645
(2006.12.07)
|
44785 |
판례 |
주세 |
-
주류판매업정지처분의 당부[국패]
-
세금계산서미교부는 주류판매업정지처분 등의 근거조항 기장의무위반과는 별개의 문제이므로 주세법상의 해석에 잘못이 있어 그 처분은 위법함
|
제주지방법원2006구합549
(2006.09.20)
|
44786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취소 등[국승]
-
공시송달에 의한 판결
|
서울북부지방법원2006가단61304
(2006.11.21)
|
44787 |
판례 |
국징 |
-
이 사건 부과처분이 무효인지 여부[국승]
-
피고는 원고의 거래처에 대한 세무조사를 통해 나온 자료를 근거로 이 사건 과세처분을 한 것이므로 원고의 실제 수입금액이 과세처분의 근거가 된 수입금액보다 적었다고 하더라도 과세처분의 하자가 중대, 명백하여 당연무효라고 할 수 없음
|
서울남부지방법원2004가단52877
(2006.11.01)
|
44788 |
판례 |
상증 |
-
증여재산 평가의 적정여부[국패]
-
기본통칙은 국세행정기관 내부에서의 사무처리에 관한 지침일 뿐 법원이나 일반 국민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없으므로 이 사건 과세가 기본통칙에 의해 이루어진 것에 해당하여 위법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4070
(2006.10.31)
|
44789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 취소[국승]
-
특별한 사정이 있어 사해행위로서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이 되는 경우에도 취소되는 범위는 그 상당한 부분을 초과하는 부분에 한정된다고 할 것임
|
창원지방법원2005가단2465
(2006.11.27)
|
44790 |
판례 |
법인 |
-
하도급공사계약을 체결후 공사대금을 수령한 금액이 원고 매출누락인지 여부[국승]
-
원고가 하도급공사계약을 체결하고 공사대금을 수령한금액에 대하여 원고 매출누락이 아니라는 주장에 대하여 증빙이 없어 피고의 부과처분은 정당하다는 판결임
|
서울행정법원2005구합38338
(2006.12.14)
|
44791 |
판례 |
국징 |
-
소유권이전등기 전 부동산지분의 압류에 대한 적법여부[국승]
-
잔금청산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부동산의 소유권이전등기 전에는 물권변동의 효력이 없으므로 당해부동산에 대한 압류처분은 적법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5325
(2006.08.17)
|
44792 |
판례 |
상증 |
-
명의신탁 증여의제에 대한 조세회피목적 여부[국패]
-
원고들의 명의수탁이 거래개설 목적에서 이루어진 점, 그 후 명의신탁 주식이 제3자에게 처분되었거나 명의신탁자 명의로 환원됨 점, 과점주주, 종소세, 양도세, 증권거래세 등 어떠한 조세회피목적이 있다고 볼 수 없음
|
서울행정법원2005구합32996
(2006.11.01)
|
44793 |
판례 |
상증 |
-
소급 감정한 가액을 상속개시당시 시가로 볼 수 있는지 여부[국승]
-
소급 감정한 가액은 상속개시당시 시가에 해당되지 않는다.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21795
(2006.11.22)
|
44794 |
판례 |
조특 |
-
기업합리화적립금 미적립하였기에 감면배제한 처분은 정당함.[국승]
-
법인의 재무구조개선을 위한 특별부가세의 면제를 받은 법인이 기업합리화적립금을 미적립하였기에 감면을 배제하고 가산세를 포함하여 추징한 처분은 조세법률주의에 입각한 정당한 처분임.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23654
(2006.12.13)
|
44795 |
판례 |
법인 |
-
쟁점 합의금과 지출증빙 없는 일용노무비가 공사원가에 해당되는지 여부[국패]
-
쟁점합의금은 쟁점건물의 취득을 위하여 지급한 업무와 관련된 지출이며, 일용노무비는 무통장입금 및 현금지급 등으로 실제 지급한 사실이 확인되므로 쟁점건물의 공사원가로 산입함이 타당하다고 판결한 사례임
|
서울행정법원2005구합38604
(2006.11.29)
|
44796 |
판례 |
소득 |
-
인정상여 처분의 적정 여부[국승]
-
원고가 소외 회사의 대표이사로서 신용카드 할인업에 실질적으로 관여하였으리라는 점을 인정할 수 있을 뿐, 그로 인한 소득이 원고 주장과 같이 김○○에게 귀속되었음이 분명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원고의 주장은 이유 없음
|
서울행정법원2005구합5833
(2006.11.17)
|
44797 |
판례 |
부가 |
-
수령한 운임총액을 매출로 볼 수 있는지 여부[국패]
-
원고가 송○○으로부터 수령한 운임총액중 원고의 수령분이 원고의 매출액이 되며 운임총액 중 원고에게 할당되는 금액을 계산할 수 없으므로 전액을 취소함
|
서울행정법원2004구합18818
(2006.08.10)
|
44798 |
판례 |
부가 |
-
수입금액 추계 결정 적정 여부[국승]
-
법인이 수입육을 공급받고 장부에 기장과 신고를 누락하여 법인세 및 부가가치세를 과세하였으나 실질적으로 개인 음식점이 사용하고 법인은 단지 매입을 대행하였다고 주장하나 구체적 증빙이 없고, 추계결정시 기존에 신고한 부가가치율을 적용하여 과세한 처분은 정당함
|
서울행정법원2006구합1425
(2006.08.25)
|
44799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취소[국승]
-
무변론 판결
|
서울중앙지방법원2006가단180121
(2006.11.13)
|
44800 |
판례 |
국징 |
-
소액가장임차인의 배당이의 사건[국승]
-
원고가 이 아파트에 입주하여 거주했다고 입증할만한 증빙서류를 서류를 제출하지 못하므로 원고는 가장임차인으로 추정됨
|
서울남부지방법원2006가단60971
(2006.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