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1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부과처분에 대한 고지서 송달에 하자가 있어 당연 무효에 해당하는지[국승]
-
원고의 주소지에 방문하여 이 사건 부과처분에 대한 고지서를 교부송달한 바, 고지서 송달에 관한 중대하고 명백한 절차상 하자가 있다고 볼 수 없음
|
서울고등법원-2021-누-49842
(2022.06.17)
|
1002 |
판례 |
법인 |
-
2차 납세의무 지정 적법여부[국승]
-
과점주주 여부는 과반수 주식의 보유 여부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하고, 회사경영에 관여한 사실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과점주주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없으며, 원고가 제출한 자료만으로는 원고 주장을 받아들이기 어려움
|
서울행정법원-2020-구합-84716
(2022.06.17)
|
1003 |
판례 |
소득 |
-
주택신축판매업자에 대한 단순경비율 적용 여부
[국승]
-
주택신축판매업의 사업개시일은 주택의 공급이 개시된 시기이며 직전 과세기간의 부동산임대수입금액을 가지고 주택신축판매업의 단순경비율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원고는 신규사업자에 해당하여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음
|
서울행정법원-2021-구합-3356
(2022.06.16)
|
1004 |
판례 |
국기 |
-
상고인의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은「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제4조에 해당하여 이유 없음이 명백하므로, 같은 법 제5조에 의하여 상고를 기각하기로 함[국승]
-
상고인의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은「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제4조에 해당하여 이유 없음이 명백하므로, 같은 법 제5조에 의하여 상고를 기각하기로 함
|
대법원-2022-두-36056
(2022.06.16)
|
1005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취소의 소[국승]
-
피고와 BBB 사이에 이 사건 부동산 중 2/9 지분에 관하여 2019. 3. 18.체결된 상속재산분할협의계약을 취소하고, 이 사건 부동산 중 2/9 지분에 관하여 진정명의회복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이행하여야 함
|
진주지원-2021-가단-43001
(2022.06.16)
|
1006 |
판례 |
법인 |
-
이 사건 행사차액은 원고의 2014 내지 2018 사업연도의 손금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려움[국승]
-
이 사건 행사차액은 당초 법인의 자산을 구성한 적이 없고,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시점에 행사차액 상당의 비용이 지출되거나 손실이 발생하는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로 인한 신주발행의 결과 법인의 순자산이 감소되지 않았으므로, 원고의 손금에 해당하지 않음
|
수원지방법원-2021-구합-64406
(2022.06.16)
|
1007 |
판례 |
부가 |
-
원고가 독립된 사업자의 지위에서 대**설에 건설용역을 공급하였는지 여부[국승]
-
원고가 독립된 사업자의 지위에서 대**설에 건설용역을 제공함은 인정되고, 원고는 피고로부터 이 사건 처분 전에 구 국세기본법 제81조의12에서 정한 세무조사 결과 통지에 준하는 정도의 절차상의 방어 기회를 충분히 보장받았다고 할 것이므로, 이 사건 처분은 국세기본법 제81조의12를 위반한 위법이 있다는 원고의 주장 또한 받아들일 수 없음
|
대법원-2022-두-36018
(2022.06.16)
|
1008 |
판례 |
법인 |
-
허위 세금계산서가 사기기타 부정한 행위로 장기부과제척기간 적용대상인지[국승]
-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를 수취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인건비를 지급한 것처럼 증빙자료를 작성하여 이를 기초로 법인세를 허위로 신고하는 것은 조세의 부과와 징수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적극적 행위임
|
부산지방법원-2022-구합-20113
(2022.06.16)
|
1009 |
판례 |
국징 |
-
체납자의 비상장 주식을 압류하자, 비상장 주식은 명의수탁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나, 압류 처분은 적법함[국승]
-
체납자의 비상장주식을 압류하자, 체납자는 비상장 주식의 소유는 매형이고 본인은 명의수탁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나, 이를 입증할 만한 객관적인 증거가 없는바, 체납의 비상 주식을 압류한 처분은 적법함
|
대법원-2022-두-37646
(2022.06.16)
|
1010 |
판례 |
국기 |
-
과세처분을 받은 사업자등록 명의자가 실제로는 자신이 납세의무자가 아니라고 하는 하자 주장은 외관상 명백한 것이 아니어서 과세처분을 당연 무효로 볼 수 없음[국승]
-
과세처분을 받은 사업자등록 명의자가 실제로는 자신이 납세의무자가 아니라고 하는 하자 주장은 외관상 명백한 것이 아니어서 과세처분을 당연 무효로 볼 수 없음
|
인천지방법원-2020-구합-55989
(2022.06.16)
|
1011 |
판례 |
법인 |
-
(심리불속행) 이 사건 처분은 부과처분으로 제척기간이 도과하여 위법함
[국패]
-
(원심 요지) 자산수증이익인 이 사건 차액은 2012사업연도에 익금으로 귀속되었다고 봄이 타당하고, 이 사건 처분은 부과제척기간을 도과하여 위법하므로 취소되어야 하며, 원고의 부과제척기간 도과 주장이 국세기본법 제15조의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반된다고 할 수 없다.
|
대법원-2022-두-35749
(2022.06.16)
|
1012 |
판례 |
양도 |
-
가중세율 적용의 기준이 되는 ‘1세대 2주택’ 해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모든 주택을 포함하여 주택의 수를 계산함[국승]
-
가중세율 적용의 기준이 되는 ‘1세대 2주택’ 해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모든 주택을 포함하여 주택의 수를 계산하여야 하고, 이를 제외하는 규정이 없는 이상 주택 수 산정에는 포함됨
|
서울행정법원-2021-구합-74549
(2022.06.16)
|
1013 |
판례 |
양도 |
-
재심대상판결에 재심사유가 존재하지 않아 재심의 소는 부적합한 소에 해당함[국승]
-
재심대상판결은 판결의 증거가 된 문서 그 밖의 물건이 위조되거나 변조된 것인 때, 증인ㆍ감정인ㆍ통역인의 거짓 진술 또는 당사자신문에 따른 당사자나 법정대리인의 거짓 진술이 판결의 증거가 된 때,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판단을 누락한 때, 재심을 제기할 판결이 전에 선고한 확정판결에 어긋나는 때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재심의 소는 부적합함
|
대전고등법원(청주)-2021-재누-12
(2022.06.16)
|
1014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오피스텔들은 주택에 해당하므로 1세대 3주택으로 본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국승]
-
이 사건 오피스텔들은 주택에 해당하므로 1세대 3주택으로 본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
|
서울행정법원-2020-구합-79509
(2022.06.16)
|
1015 |
판례 |
소득 |
-
쟁점 사업장의 실사업자인지 여부[국패]
-
원고가 이 사건 각 게임장의 실제 운영자로서 운영에 관여하면서 명의만을 차용하였다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없음
|
인천지방법원-2021-구합-53096
(2022.06.16)
|
1016 |
판례 |
소득 |
-
(심리불속행)이 사건 주식거래로 원고가 취득한 소득은 의제배당소득에 해당하지 않음[국패]
-
(원심요지)이 사건 주식을 양도한 것이 주식의 소각이나 자본의 환급을 목적으로 한 것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이 사건 주식거래로 인하여 원고가 취득한 소득이 의제배당소득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음
|
대법원-2022두37257
(2022.06.16)
|
1017 |
판례 |
국징 |
-
채무초과상태에서 보험수익자 명의변경은 사해행위에 해당[국승]
-
채무초과상태에서 보험수익자의 명의를 배우자로 변경하는 것은 사해행위에 해당함
|
서울북부지방법원-2021-가단-144189
(2022.06.16)
|
1018 |
판례 |
소득 |
-
(심리불속행)법인등기사항증명서에 기재된 대표이사가 실제 대표이사인지 여부[국승]
-
(심리불속행)원고가 법인등기사항증명서상 형식적으로만 대표이사로 되어 있을 뿐 실질적으로 대표 권한을 행사하지 않았다고 인정하기 어렵고, 오히려 원고가 대료이사로서의 권한을 상당부분 행사하고 경영에 실질적으로 관여하였거나 실제사업자 중 한명으로서 운영하였다고 봄이 타당함
|
대법원-2022-두-35374
(2022.06.16)
|
1019 |
판례 |
부가 |
-
부가가치세등부과처분취소[국승]
-
이 사건 건물 신축공사의 시공자는 원고로서 그 공사수익이 원고에게 실질적으로 귀속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원고를 위 소득에 대한 납세의무자로 보아 한 이 사건 각 처분은 적법함
|
대법원-2022-두-37264
(2022.06.16)
|
1020 |
판례 |
종부 |
-
위탁자별로 구분된 신탁법 상의 신탁재산의 경우, 위탁자인 조합원별로 구분하여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을 각각 산정한 후 그 종합부동산세액을 합산하여 부과[국패]
-
위탁자별로 구분된 신탁법상 신탁재산인 토지나 주택의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은 수탁자가 보유한 모든 토지나 주택의 재산세 과세표준을 합산할 것이 아니라, 위탁자별로 구분하여 그 신탁재산의 재산세 과세표준을 합산한 금액에서 각각 일정한 과세기준금액을 공제하는 방법으로 산정함이 타당함
|
울산지방법원-2021-구합-5455
(2022.06.16)
|
1021 |
판례 |
법인 |
-
변제충당 해다여 여부[국승]
-
변제충당이 가능하려면 이 사건 가지급금에 대하여 이자약정이 있어야 하고, 정〇〇이 원고에게 지급한 돈을 이 사건 가지급금의 원본에 먼저 충당하지 않았어야 한다. 그런데 이 사건 가지급금에 대하여는 이자약정이 전혀 없으므로 연 1.89% 내지 연 6.9%의 이자율로 변제충당을 하였다는 원고의 주장은 믿기 어렵다.
|
수원지방법원-2020-구합-61417
(2022.06.16)
|
1022 |
판례 |
법인 |
-
이 사건 토지의 비사업용 토지 해당 여부[국승]
-
임대주택 건설 계획에 동의하는 결의가 있었다 하더라도 그와 같은 단계에서는 위 계획의 내용이 구체화되지도 못했고, 위 계획의 내용도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는 상황이었으며, 행정청에서 이 사건 토지의 이용을 제한하지도 않았으므로, 위와 같은 사정만으로 곧바로 이 사건 토지를 자신의 업무와 관련 있는 용도로 사용하는 게 금지 또는 제한되었다거나 사실상 어려워졌다고 보기는 어려운바 이 사건 토지를 ”비사업용 토지“로 보지 않을 수 있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고 할 수 없음
|
수원지방법원-2021-구합-65003
(2022.06.16)
|
1023 |
판례 |
부가 |
-
부가가치세등부과처분취소[국패]
-
이 사건 부가가치세 부과처분의 과세요건사실에 관한 피고의 증명이 부족한 이상, 원고의 위장사업체임을 전제로 한 이 사건 부과처분은 위법하며, 이 사건 주주들에게 합병교부금이 지급된 것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의제배당소득이 발생하였음을 전제로 하는 이 사건 징수처분은 위법함
|
대법원-2022-두-38014
(2022.06.16)
|
1024 |
판례 |
국징 |
-
체납자의 부동산에 근저당권을 설정받은 뒤 피담보채권 소멸시효가 완성되었으므로 근저당권을 말소해야할 의무가 있음[국승]
-
체납자가 소유한 부동산에 제3자가 근저당권을 설정받은 후 피담보채권 소멸시효가 완성되었으므로 근저당권을 말소해야할 의무가 있다고 보아야 함
|
전주지방법원-2021-가단-30865
(2022.06.15)
|
1025 |
판례 |
국징 |
-
근저당권의 원인채권이 소멸시효 완성으로 소멸하였으므로 근저당권설정등기는 말소되어야 함.[국승]
-
근저당권의 원인채권이 소멸시효 완성으로 소멸하였으므로 근저당권설정등기는 말소되어야 함.
|
순천지원-2022-가단-52895
(2022.06.15)
|
1026 |
판례 |
소득 |
-
의제배당 계산시 취득에 사용된 금액의 의미[국패]
-
법인 해산에 따른 의제배당소득의 과세표준을 계산함에 있어서도 주주의 보유주식 중 일부가 취득가액보다 낮은 가액으로 유상감자된 경우에는 해당 감자손실액(취득가액-감자환급액) 상당을 주식을 취득하기 위하여 사용된 금액으로 보아 법인 해산에 따른 잔여재산 분배액에서 공제하여 주주가 얻는 실질적 이익을 대상으로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
|
부산고등법원-2022-누-20327
(2022.06.15)
|
1027 |
판례 |
상증 |
-
망인의 대여금 채권을 상속인이 대위변제한 것으로 보아 상속재산에서 차감하여야 하는지,이자소득의 수입시기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 그 전에 발생한 미수취 이자소득의 수입시기 및 이자소득으로서 상속재산 해당 여부[국승]
-
상속인이 망인의 대여금 채권을 대위변제한 것으로 보아 상속재산에서 제외하여야 하는지, 비영업대금의 이자소득의 수입시기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 상속개시일까지 발생한 이자소득은 상속개시일을 수입시기로 확정하여 피상속인의 이자소득으로서 소득세 과세대상일 뿐만 아니라, 상속개시일 기준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을 구성함
|
서울고등법원-2021-누-72057
(2022.06.15)
|
1028 |
판례 |
양도 |
-
30세 이상인 자의 경우에도 가족과 생계를 같이 하고 있는 경우에는 독립하여 1세대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없음
없다[국승]
-
거주자의 연령이 30세 이상이거나 일정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독자적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아 그들이 별도로 독립세대를 이룬 때에 한하여 배우자가 없는 때에도 1세대로 인정함
|
창원지방법원-2022-구단-10406
(2022.06.15)
|
1029 |
판례 |
국징 |
-
이 사건 공사대금채권을 압류할 당시에는 이미 피고 bb전기의 이 사건 공사대금채권이 원고에게 양도되어 소멸되었으므로 이 사건 공탁금 출급권은 원고에게 있음[국패]
-
이 사건 공사대금채권을 압류할 당시에는 이미 피고 bb전기의 이 사건 공사대금채권이 원고에게 양도되어 소멸되었으므로 이 사건 공탁금 출급권은 원고에게 있음
|
부산지방법원-2021-가합-49600
(2022.06.15)
|
1030 |
판례 |
양도 |
-
평가기준일인 상속개시일 전후 각 6개월 이내에 둘 이상의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이 평가한 감정가액이 아닌 소급감정가액을 취득가액으로 보기는 어려움[국승]
-
이 사건 부동산의 양도차익을 계산함에 있어서 개정 소득세법 시행령 제163조 제9항 본문에 따라 필요경비로 공제되는 취득가액을,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76조에 따라 피고가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결정한 가액으로 본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
|
부산고등법원(창원)-2021-누-11244
(2022.06.15)
|
1031 |
판례 |
국징 |
-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부동산이 사해행위로 양도된 경우 사해행위의 성립 범위[국승]
-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부동산이 사해행위로 양도된 경우 사해행위는 부동산의 가액에서 저당권의 피담보채권액을 공제한 잔액의 범위 내에서 성립함
|
평택지원-2021-가단-68108
(2022.06.15)
|
1032 |
판례 |
법인 |
-
후순위차입이자 부당행위계산부인[국패]
-
후순위차입의 이자율을 연 20% ~ 30%로 정한 것이 경제적 합리성을 결한 비정상적인 것이라고 볼 수 없고, 피고가 부당행위계산부인의 적용 기준으로서 시가 연 17.38%를 증명하였다고 볼 수 없음
|
서울고등법원(춘천)-2021-누-413
(2022.06.15)
|
1033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증여계약의 사해행위 해당여부[국승]
-
이 사건 증여계약을 사해행위로 인정한 원심판결은 인용한다.
|
수원고등법원-2021-나-25584
(2022.06.15)
|
1034 |
판례 |
상증 |
-
상속재산분할협의서의 진위여부[국승]
-
(1심판결과 같음) 이 사건 상속인들이 작성하여 법원에 제출한 상속재산분할협의서의 기재내용에 따라 법원판결이 이루어졌고, 이에 따른 상속세 신고까지 마쳐진 이상 위 상속재산분할협의서는 처분문서로서 그 기재내용이 인정되어야 함
|
서울고등법원-2021-누-75452
(2022.06.15)
|
1035 |
판례 |
국징 |
-
추심대상채권 존재 유무[국패]
-
추심대상채권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기에 증거가 부족함
|
서울중앙지방법원-2020-가단-5298054
(2022.06.14)
|
1036 |
판례 |
부가 |
-
전심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소는 각하 대상임[각하]
-
필요적 전심절차인 심사청구나 심판청구를 제기하지 아니하고 이 사건 소를 제기하여, 이와 같이 부적법한 이 사건 소를 각하함
|
의정부지방법원-2021-구합-13778
(2022.06.14)
|
1037 |
판례 |
국징 |
-
계좌이체금액을 반환의무가 있는 채무로 볼 수 있는지 여부[국패]
-
피고는 체납법인으로부터 금원을 이체받아 급여, 퇴직금지급, 택배비용으로 지출하였으므로 피고가 법률상 원인 없이 체납법인으로부터 금원을 수령하였다고 볼만한 증거가 없음
|
의정부지방법원-2020-가합-60307
(2022.06.14)
|
1038 |
판례 |
소득 |
-
신축판매업의 사업개시일은 사업의 준비가 끝나고 본래 사업목적인 주택판매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 때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함[국승]
-
이 사건 제1사업의 ‘사업개시일’은 이 사건 제2사업 개시 시점이 언제인지와 무관하게 판단하여야 하고, 그 개시시점은 원고들이 이 사건 각 건물을 매도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여 준 시점인 2017년으로 봄이 타당함
|
서울행정법원-2020-구합-76944
(2022.06.14)
|
1039 |
판례 |
국징 |
-
이 사건 주식증여행위가 사해행위인지의 여부[국승]
-
체납자는 채무초과 상태에서 유일한 재산인 이 사건 주식을 피고들에게 증여하였고, 피고들의 사해의사는 추정되므로, 이 사건 증여계약은 사해행위에 해당함
|
평택지원-2021-가단-65147
(2022.06.14)
|
1040 |
판례 |
양도 |
-
쟁점소득을 양도소득으로 보아 양도소득세를 과세한 처분의 당부
[국승]
-
원고는 원계약의 해지에 따른 손해배상금을 지급받은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원 계약이 해지되었다는 점을 명확한 증거자료를 들어 입증하지 못하였으며, 여러 정황상 원고가 분양권을 매수하여 이를 전매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이를 양도소득으로 보아 과세한 처분은 적법함
|
의정부지방법원-2021-구단-6742
(2022.06.13)
|
1041 |
판례 |
국징 |
-
인력공급업체에 지급하여야 할 채권은 임금채권임[국패]
-
인력공급업체를 통한 근로자의 사용자는 인력을 공급받는 업체로 봄이 상당하므로, 해당업체에 지급하여야 하는 채권은 임금채권임
|
서울중앙지방법원-2021-가단-5353170
(2022.06.13)
|
1042 |
판례 |
국징 |
-
지분반환 등 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받은 화해권고 결정은 압류해제사유에 해당하지 않음[국승]
-
지분반환 등 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받은 화해권고 결정은 국세징수법 제53조 제1항 제2호 “제3자가 체납자를 상대로 소유권에 관한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 판결을 받고 그 사실을 증영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
|
광주지방법원-2021-구합-13100
(2022.06.10)
|
1043 |
판례 |
조특 |
-
증자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별 감면신청이 없다면 감면요건을 충족하였다고 볼 수 없음[국승]
-
외국인투자에 대한 법인세 등의 감면시 해당 사업연도의 증자할 때마다 관련 감면신청 및 감면승인을 받아야 함에도 이를 누락한 행위는 적법한 감면요건을 충족하였다고 볼 수 없음
|
부산고등법원-2021-누-23787
(2022.06.10)
|
1044 |
판례 |
상증 |
-
별도의 세무조사가 아니므로 금지되는 재조사가 아님[국승]
-
통상적인 세무조사에 포함될 뿐 원고에 대한 증여세 부과를 위한 별도의 세무조사가 아니므로, 사전통지의 대상이 아니고 금지되는 재조사가 아님
|
대구고등법원-2022-누-2399
(2022.06.10)
|
1045 |
판례 |
부가 |
-
과세표준감액 및 납부세액 증가 경정청구의 적법여부[각하]
-
납부세액의 증액경정을 청구하는 경정청구권이 인정된다고 볼만한 사정이 없고, 비록 경정청구를 거부하였다고 하더라도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거부처분이라고 볼 수 없음
|
인천지방법원-2021-구합-283
(2022.06.10)
|
1046 |
판례 |
양도 |
-
원고들이 농업인이 아닌 자를 조합원으로 하여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하였으므로 영농조합법인 현물출자 감면은 적용할 수 없으며, 예비적 주장인 8년 자경 감면 요건은 충족함[일부패소]
-
원고들의 이 사건 영농조합법인 설립 목적 및 원고들이 농업인이 아닌 자를 조합원으로 하여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한 이상 조특법 제66조 제4항 영농조합법인 현물출자에 따른 양도소득세 세액 감면 주장은 기각하고, 예비적 주장인 조특법 제69조 자경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은 원고들이 8년 이상 직접 경작한 사실이 넉넉히 인정되므로 일부 인용함
|
서울고등법원-2020-누-66710
(2022.06.10)
|
1047 |
판례 |
부가 |
-
대손세액 공제 여부[국패]
-
피고는, 원고와 원고의 매입처가 이 사건 차액 및 이 사건 면제채권액을 대손금(원고의 매입처)과 채무면제이익(원고)으로 계상하였다는 점을 들어 다투나, 그와 같은 사정만으로 이 사건 면제채권액이 ‘회생계획 인가결정에 따라 회수불능으로 확정된 채권’으로서 대손금에 해당한다고 볼 수는 없다.
|
서울고등법원-2021-누-72002
(2022.06.10)
|
1048 |
판례 |
국징 |
-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매매계약이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국승]
-
이 사건 부동산을 자녀인 피고 명의로 등기 완료하여 채무초과 상태를 야기하였으므로, 이는 채권자인 원고를 해함을 알고 한 법률행위로서 사해행위에 해당함
|
고양지원-2022-가단-81571
(2022.06.10)
|
1049 |
판례 |
법인 |
-
법인에 대한 송달의 효력이 발생하였다고 봄이 타당함[국승]
-
납세고지서를 수령한자가 보충송달에서 수령대행인이 될 수 있는 원고 법인의 사용인, 종업원, 사무원 등에 해당한다고 봄이 타당함
|
부산고등법원-2021-누-23336
(2022.06.10)
|
1050 |
판례 |
부가 |
-
그 명목이 위약금이라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볼 때 원고의 단말기 공급에 대한 대가로서 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공급가액에 포함됨[국승]
-
이 사건 보조금 상당액을 대리점의 이용자에 대한 단말기의 공급과 관련된 에누리액으로 보는 이상, 이용자가 약정기간 내에 이동전화 서비스계약을 중도 해지함으로써 남은 약정기간에 비례하여 이 사건 보조금 중 일부를 위약금으로 납부하는 것 또한 이용자가 단말기를 공급받으면서 할인받은 금액의 반환으로서, 이용자가 공급받은 단말기의 대금으로 추가로 납부하여야 하는 금액에 해당함
|
수원고등법원-2021-누-11124
(2022.06.10)
|
1051 |
판례 |
부가 |
-
그 명목이 위약금이라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볼 때 원고의 단말기 공급에 대한 대가로서 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공급가액에 포함됨[국승]
-
이 사건 보조금 상당액을 대리점의 이용자에 대한 단말기의 공급과 관련된 에누리액으로 보는 이상, 이용자가 약정기간 내에 이동전화 서비스계약을 중도 해지함으로써 남은 약정기간에 비례하여 이 사건 보조금 중 일부를 위약금으로 납부하는 것 또한 이용자가 단말기를 공급받으면서 할인받은 금액의 반환으로서, 이용자가 공급받은 단말기의 대금으로 추가로 납부하여야 하는 금액에 해당함
|
수원고등법원-2021-누-11117
(2022.06.10)
|
1052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주택이 다가구주택에 해당하는지 여부[국승]
-
이 사건 옥탑이 다가구주택의 요건 규정에서 정하는 ‘주택’으로 쓰는 층수에 포함되지 않는 다고 볼 수 없으므로 이 사건 건물은 이 사건 비과세규정이 정하는 다가구주택에 해당하지 않음
|
서울행정법원-2021-구단-56032
(2022.06.10)
|
1053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양도에 자경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규정의 적용을 배제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국승]
-
원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이 사건 토지가 양도일 당시 실제로 경작하고 있는 농지였다고 인정하기에 부족
|
광주고등법원-2021-누-12113
(2022.06.09)
|
1054 |
판례 |
양도 |
-
상속받은 재산을 ’20.2.11.이후 양도시 상증세법 제76조에 따라 세무서장등이 결정・경정한 가액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가액을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으로 의제함[국승]
-
상속받은 재산을 ’20.2.11.이후 양도시 상증세법 제76조에 따라 세무서장등이 결정・경정한 가액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가액을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으로 의제함
|
부산지방법원-2021-구합-22952
(2022.06.09)
|
1055 |
판례 |
부가 |
-
감가상각자산은 ‘과세사업에 제공’된 재화인 자산으로서 ‘실제 과세사업에 사용’된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다고 봄이 타당하다.[국승]
-
(1심 판결과 같음) 구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66조 제2항 제1호의 공급가액을 계산하는 계산식에서 자산가치의 감소를 고려한 감가율인 ‘5/100’에 ‘경과된 과세기간의 수’를 곱하도록 한 취지는, 재화가 ‘실제 과세사업에 제공되어 사용’된 기간을 감가상각기간에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지, 단순히 위 재화를 취득한 이후 과세사업에 제공되거나 실제 사용되지 않았음에도 그 취득 이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였다는 이유만으로 그 기간까지도 당연히 감가상각기간에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
광주고등법원-2021-누-12533
(2022.06.09)
|
1056 |
판례 |
소득 |
-
이 사건 차용증상 약정이자의 지급기일 및 실현여부[국승]
-
이자의 변제기일을 원금의 약정 변제기일로 보아 처분한 이 사건은 적법함
|
수원지방법원-2021-구합-75420
(2022.06.09)
|
1057 |
판례 |
부가 |
-
허위 세금계산서로 추정할 수 있을 만큼 간접사실이 확인된 경우 정상 세금계산서라는 입증책임은 납세의무자에게 있음[국승]
-
실물거래 없이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은 사실을 추정할 수 있을 만큼의 간접적인 사실관계가 충분히 밝혀졌다면 납세의무자가 이와 다름을 증명할 필요가 있고,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임
|
창원지방법원-2021-구합-51681
(2022.06.09)
|
1058 |
판례 |
국징 |
-
토지 매매계약이 매수인의 잔금지급의무 불이행으로 인해 실효되었으므로 매수인의 채권자들은 이 사건 토지의 매각대금을 배당받을 수 없다.[국승]
-
이 사건 제1매매계약은 그 매수인의 잔금지급의무 불이행으로 인해 실효되었으므로, 위 계약에 따라 매수인에게 이전되었던 이 사건 토지의 소유권은 당연히 매도인에 복귀한다. 그런데 원고들은 매수인에 대한 채권자들일 뿐이므로, 위 계약 실효로 인해 매수인의 책임재산에서 제외된 이 사건 토지의 매각대금을 배당받을 수 없다.
|
순천지원-2020-가합-11552
(2022.06.09)
|
1059 |
판례 |
국징 |
-
체납자가 배우자로 보험계약 명의를 변경한 행위는 사해행위에 해당함[국승]
-
채무초과 상태의 체납자가 보험계약 명의를 배우자로 변경한 행위는 사해행위에 해당함
|
광주지방법원-2022-가단-511234
(2022.06.09)
|
1060 |
판례 |
소득 |
-
피고는 원고에게 추심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음[국승]
-
피고는 원고에게 추심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음
|
대전지방법원-2022-가단-111490
(2022.06.09)
|
1061 |
판례 |
법인 |
-
납세의무자가 증명활동을 하지 아니하고 있는 필요경비에 대해서는 부존재의 추정을 용인하여 납세의무자에게 증명의 부담을 지우는 것이 공평의 관념에도 부합함[국승]
-
원고가 투자수익금으로 지급하였다고 주장하는 비용이 원고의 사업관련성 있는 손비의 금액으로 통상적이거나 수익관련성이 있다고 보아 손금으로 인정할 수 없고, 결국 이와 같은 전제에서 이루어진 이 부분 법인세부과처분은 적법함
|
부산지방법원-2020-구합-25725
(2022.06.09)
|
1062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토지의 8년 이상 자경 여부[국승]
-
원고가 이 사건 토지를 8년 이상 농지로 경작하였다거나 2분의 1 이상을 자기의 노동력에 의하여 경작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려움
|
서울고등법원-2021-누-75803
(2022.06.09)
|
1063 |
판례 |
부가 |
-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 수취의 제척기간[국패]
-
원고가 사실과 다른 이 사건 세금계산서로 매입세액을 공제받은 것이 결과적으로 국가의 조세수입 감소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는 점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이 사건 과세기간에 사실과 다른 이 사건 세금계산서에 의하여 매입세액을 공제받은 행위는 ‘사기나 그 밖의 부절한 행위“로 볼 수 없으므로, 10년이 아니라 5년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된다. 이 사건 부가가치세 및 종합소득세를 단순히 과소신고 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 은닉행위를 통해 피고들의 조세 부과 및 징수를 현저히 곤란하게 하였다고 봄이 타당함
|
서울고등법원-2021-누-64513
(2022.06.09)
|
1064 |
판례 |
소득 |
-
기준시가에 의한 토지와 건물의 구분가액은 그 가액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음[국승]
-
토지와 건물 일괄양도 시 기준시가에 의하여 그 가액을 구분한 경우는 통상의 거래관행을 현저히 벗어나 비합리적이거나 당사자들의 진정한 의사합치에 따른 것이 아니라 볼 수 없으므로 가액구분이 불분명한 경우로 볼 수 없음
|
수원지방법원-2021-구합-63649
(2022.06.09)
|
1065 |
판례 |
부가 |
-
원고가 제공한 용역이 부가가치세법상 인적용역에 해당하지는 여부 및
사업자등록을 하지 아니한 기간의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는지 여부[국승]
-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인 인적용역사업은 물적시설 없이 근로자를 고용하지 아니하고 독립된 자격으로 용역을 공급하고 대가를 받는 경우이나 원고가 제공한 용역은 인적용역사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등록을 하지 아니한 기간의 매입세액은 공제대상이 아님
|
대전지방법원-2021-구합-168
(2022.06.09)
|
1066 |
판례 |
부가 |
-
발코니확장 공사용역의 무상 공급 여부[일부국패]
-
피고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원고가 이 사건 아파트의 수분양자들에게 발코니 확장공사 용역의 대가를 분양가액에 포함시켜 받음으로써 이를 유상으로 제공한 것이라고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
|
서울행정법원-2021-구합-74334
(2022.06.09)
|
1067 |
판례 |
양도 |
-
이 사건 각 대지의 양도로 인한 소득이 사업소득인지 양도소득인지[국승]
-
원고는 이 사건 각 대지를 취득한 후, 건축허가를 받고 벌목 작업 등에 착수했지만 더 이상의 공사 진척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원고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에 부동산 취득 또는 판매 횟수가 각 1 ~ 2회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원고가 계속성․반복성을 갖춘 건설업 혹은 부동산매매업을 영위하였다고 보는 것은 무리이다.
|
서울고등법원-2021-누-63480
(2022.06.09)
|
1068 |
판례 |
법인 |
-
이 사건 세금계산서가 가공된 허위의 세금계산서인지 여부[국승]
-
관련 형사판결에서 이 사건 세금계산서 허위 발급 부분에 대해서 무죄판결을 선고받았다는 사실만으로 이 사건 세금계산서가 진정한 것이라고 인정하기는 어려움
|
의정부지방법원-2021-구합-15842
(2022.06.09)
|
1069 |
판례 |
소득 |
-
이 사건 소득이 선세금에 해당하는지 여부[국승]
-
이 사건 소득을 명확한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선세금으로 보지 아니하고 그 전액을 2018년도 귀속 수입금액으로 계산하여 종합소득세를 부과한 이 사건 처분이 위법하다고 볼 수 없음
|
의정부지방법원-2021-구합-11024
(2022.06.09)
|
1070 |
판례 |
부가 |
-
세금계산서의 기재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의 매입세액은 매출세액에서 공제하지 아니함
[국승]
-
세금계산서의 기재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의 매입세액은 매출세액에서 공제하지 아니하며, 사실과 다르다는 의미는 세금계산서의 필요적 기재사항의 내용이 재화 또는 용역에 관한 당사자 사이에 작성된 거래계약서 등의 형식적인 기재내용에 불구하고 그 재화 또는 용역을 실제로 공급하거나 공급받는 주체와 가액 및 시기 등과 서로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를 가리킴
|
창원지방법원-2021-구합-52233
(2022.06.09)
|
1071 |
판례 |
부가 |
-
세금계산서의 정당한 수취인의 판단기준[국승]
-
이 사건 세금계산서의 정당한 수취인은 원고가 아니라 소외 회사라고 보아야 하므로 이 사건 세금계산서는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에 해당하고, 이를 이유로 한 피고의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
|
수원지방법원-2020-구합-74697
(2022.06.09)
|
1072 |
판례 |
부가 |
-
이 사건 허위세금계산서에 대해 원고의 선의 또는 무과실이 입증되지 않으므로 당초 처분은 정당하다.[국승]
-
이 사건 세금계산서가 사실과 다르게 기재된 세금계산서에 해당한다는 사실에 관하여 원고가 알지 못하였다거나 알지 못한 것에 대하여 과실이 없다고 보기 어렵고, 달리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
|
전주지방법원-2020-구합-2353
(2022.06.09)
|
1073 |
판례 |
종부 |
-
이 사건 토지의 실제 소유자는 등기부상 소유명의자인 원고이다.[국승]
-
원고가 독립한 법인격을 가진 공법인으로서, 농지의 조성 및 이용증진 사업과 농지 등의 재개발 사업 등을 하면서 사업시행자로서 농업생산기반시설 이용 계획 등을 수립하는 점, 원고에게 기금 운영 등이 일부 위탁되어 있는 점, 매립지 등을 원고의 명의로 등기한 점, 정부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공기관의 자율적 운영을 보장하여야 하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이 사건 토지는 원고가 실질적인 소유자라 할 것이다.
|
광주지방법원-2021-구합-13889
(2022.06.09)
|
1074 |
판례 |
상증 |
-
원고가 성실공익법인 요건을 위배하였는지 여부
[국패]
-
2008년 개정 상속세및증여세법 시행령 부칙 제3조 제1항의 명문규정상 위 시행령의 시행일 전부터 보유하던 주식에 대하여는 강화된 성실공익법인 요건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
서울고등법원-2021-누-65837
(2022.06.08)
|
1075 |
판례 |
양도 |
-
상속받은 재산을 ’20.2.11.이후 양도시 상증세법 제76조에 따라 세무서장등이 결정・경정한 가액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가액을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으로 의제함[국승]
-
상속받은 재산을 ’20.2.11.이후 양도시 상증세법 제76조에 따라 세무서장등이 결정・경정한 가액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가액을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으로 의제함
|
창원지방법원-2021-구단-11303
(2022.06.08)
|
1076 |
판례 |
상증 |
-
이 사건 보험금이 의제상속재산에 해당하여 보험 수익자인 원고에게 상속세 납세의무가 있는 지 여부
[국승]
-
이 사건 보험금은 상증세법상 상속세 과세대상인 상속 재산에 해당하고 그 납부의무자는 원고로 보아야 함
|
대전지방법원-2021-구합-101436
(2022.06.08)
|
1077 |
판례 |
소득 |
-
주택신축판매업자의 기준경비율 적용 여부[국승]
-
주택신축판매업자의 사업개시일은 ‘주택의 분양을 개시한 시점’으로 봄이 타당하므로 해당 과세연도 신규사업자에 해당되어 단순경비율 적용 배제대상임
|
수원지방법원-2021-구합-75703
(2022.06.08)
|
1078 |
판례 |
국징 |
-
근저당권 말소[국승]
-
피고는 소외 유*숙에게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에 관하여 수원지방법원 양평등기소
2009. 10. 29. 접수 제45606호로 마친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 여야 함
|
서울중앙지방법원-2021-가단-5304499
(2022.06.08)
|
1079 |
판례 |
국징 |
-
일련의 약정과 그 이행으로 최종 법률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사해행위여부 판단기준[국패]
-
매매예약 및 매매계약은 대물변제약정의 이행에 따라 이루어진 최종적인 법률행위에 해당하고, 동일한 법률행위로 봄이 타당하므로 대물변제약정일을 기준으로 사해행위여부를 판단해야하므로 사해행위에 해당하지 않음
|
부산고등법원(울산)-2021-나-10186
(2022.06.08)
|
1080 |
판례 |
양도 |
-
부동산 양도 후 양수인에게 지급한 폐기물처리비용만큼 매매가액이 감액되었다고 볼 수 있는지[국승]
-
양수인에게 지급한 폐기물처리비용만큼 이 사건 부동산의 매매가액이 감액되었다고 볼 만한 증거가 없고, 환산취득가액으로 취득가액 신고시 개산공제금액 외 자본적 지출액을 추가로 공제할 수 없음
|
서울행정법원-2021-구단-68592
(2022.06.08)
|
1081 |
판례 |
국징 |
-
피고 소속 공무원들이 이 사건 양도소득세의 부과·징수절차에서 고의 또는 과실로 불법행위를 하였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함[국승]
-
원고가 제출한 증거를 종합하여도 피고 소속 공무원들이 이 사건 양도소득세의 부
과·징수절차에서 고의 또는 과실로 불법행위를 하였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함
|
서울중앙지방법원-2021-나-31421
(2022.06.08)
|
1082 |
판례 |
법인 |
-
특수관계인이 아닌 제3자 간의 일반적인 거래로 볼 수 있는지 여부
[국승]
-
이 사건 주식 등을 매각하는 거래는 ‘특수관계인이 아닌 제3자 간의 일반적인 거래’라고 할 수 없고, 1회성 거래에 불과하므로 그 거래 가격을 ‘원고가 특수관계인 외의 불특정다수인과 계속적으로 거래한 가격’이라고 할 수도 없음
|
서울고등법원-2021-누-60573
(2022.06.08)
|
1083 |
판례 |
상증 |
-
이 사건 처분이 중대명백한 하자가 있어 무효인지의 여부[국승]
-
이 사건 규정이 금전을 증여받은 경우에는 증여세의 신고기한 이내에 같은 금액 상당의 금전을 반환하더라도 증여가 없었던 것으로 보지 않고 증여세의 부과대상으로 삼고 있다 하여도, 이를 재산권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하거나 과잉금지원칙 또는 평등원칙에 위배되는 위헌·무효의 규정이라고 할 수는 없다.
|
수원지방법원-2021-구합-75222
(2022.06.08)
|
1084 |
판례 |
양도 |
-
원고가 이 사건 주식의 실질적 소유자로서 대주주에 해당하는지 여부
[국승]
-
(1심 판결과 같음) 원고는 이 사건 주식의 투자 및 계산의 주체로서 이 사건 주식을 실질적으로 계속 지배․관리하였고, 이 사건 계약에서 정한 바에 따라 소외 인에게는 투자에 따른 수익금을 지급하여 준 것이라고 봄이 타당한 바, 원고가 이 사건 주식을 소외인에게 양도하였다고 보기 어려움
|
서울고등법원-2021-누-65226
(2022.06.07)
|
1085 |
판례 |
국징 |
-
양도소득세 부과처분이 당연무효이거나 국세징수권이 소멸시효 완성으로 소멸하였다고 보기 어려움[국승]
-
양도소득세 부과처분이 당연무효이거나 국세징수권이 소멸시효 완성으로 소멸하였다고 보기 어려움
|
청주지방법원-2021-가소-69919
(2022.06.07)
|
1086 |
판례 |
상증 |
-
명의신탁 증여의제 해당 여부[일부패소]
-
이 사건 명의신탁이 뚜렷한 특정 목적에 기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실제 주식시장 상장이 최초 명의신탁 시점으로부터 10년 넘게 지나서 실현되었으며 그 방법이 최초의 의도와 달라졌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명의신탁이 조세회피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
서울고등법원-2021-누-69976
(2022.06.07)
|
1087 |
판례 |
법인 |
-
비정기 세무조사의 선정 적법성[국승]
-
세무조사대상 선정사유를 재조사 개시 사유와 같이 ‘조세의 탈루 사실을 확인할 상당한 정도의 개연성이 객관성과 합리성이 있는 자료에 의하여 인정할 수 있는 경우’로 엄격하게 제한하여 해석할 것은 아니다
|
서울고등법원-2021-누-67307
(2022.06.07)
|
1088 |
판례 |
법인 |
-
이 사건 펀드들은 법인격 없는 사단으로서 실체를 가지므로 원고를 이 사건 거래의 당사자로 볼 수 없음[국패]
-
이 사건 펀드들은 법인격 없는 사단으로서 실체를 가지므로 이 사건 거래에 따른 법률효과는 이 사건 펀드들에게 귀속되고, 비법인사단으로서 유한책임조합원에 불과한 원고를 이 사건 거래의 당사자로 볼 수 없으므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함
|
서울고등법원-2020-누-62718
(2022.06.07)
|
1089 |
판례 |
법인 |
-
가지급금 발생이자를 발생일이 속하는 사업연도 종료일부터 1년이 되는 날까지 회수하지 아니한 이상 익금에 산입하여야 함[국승]
-
가지급금 발생이자를 발생일이 속하는 사업연도 종료일부터 1년이 되는 날까지 회수하지 아니한 이상 법인세법 시행령 제11조 제9호의2 (나)목에 따라 그 이자 상당액을 익금에 산입하여야 함
|
서울고등법원-2021-누-71993
(2022.06.07)
|
1090 |
판례 |
상증 |
-
비거주자가 실권주 저가배정으로 얻은 증여이익이 국내원천기타소득에 해당하여 한․중 조세조약상 국내에 과세권이 없어 증여세 과세가 적법한지 여부[국승]
-
이 사건 유상증자에 따른 원고의 이익은 구 소득세법 제119조 제12호 (카)목에 따른 소득세 과세대상이 아니므로 한·중 조세조약 제22조 제1항에 의하여 비과세되는 기타소득으로 볼 수 없어 증여세 과세는 적법함
|
서울고등법원-2021-누-67710
(2022.06.07)
|
1091 |
판례 |
국징 |
-
사해행위취소의 소[각하]
-
원고는 BBB가 2018. 1. 31. 경 채무초과 상태에서 이 사건 부동산을 처분한 것임을 알았다고 보아야 할 것으로 이 사건 소의 제척기간이 2019. 1. 31.경 이미 도과함
|
서울중앙지방법원-2021-가합-504314
(2022.06.03)
|
1092 |
판례 |
국징 |
-
(무변론판결) 근저당권 말소[국승]
-
(무변론판결) 민사채권의 소멸시효 기간인 10년히 경과하여 소멸시효가 완성함
|
창원지방법원-2022-가단-102805
(2022.05.31)
|
1093 |
판례 |
양도 |
-
원고가 농지대토 감면이나 조특법 제69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66조 제3항의 적용을 인정받아 양도세 감면이 될 수 있는지 여부[국승]
-
원고는 조특법에서 정한 대토감면 요건(소득요건 및 계속경작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였고 원고가 양도한 농지가 경영이양보조금 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한바 조특법 제69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66조 제3항을 적용받을수 없어 원고는 양도소득세 감면 대상에 해당하지 않음
|
춘천지방법원-2021-구합-31762
(2022.05.31)
|
1094 |
판례 |
부가 |
-
필요적 전심절차인 심사청구나 심판청구를 거치지 아니하고 제기한 소는 부적법하여 각하대상임[국승]
-
필요적 전심절차인 심사청구나 심판청구를 거치지 아니하고 제기한 소는 부적법하여 각하대상임
|
의정부지방법원-2021-구합-15538
(2022.05.31)
|
1095 |
판례 |
상증 |
-
사단법인이 자신의 목적수행을 위하여 이 사건 금원을 증여받아 취득하고 3년 내 직접 공익목적사업 등에 사용하지 아니함[국승]
-
사단법인인 원고가 자신의 목적수행을 위하여 이 사건 금원을 증여받아 취득한 것으로 봄이 타당하고 출연받은 재산을 3년 이내 직접 공익목적사업 등에 사용하지 아니함
|
서울행정법원-2021-구합-59199
(2022.05.31)
|
1096 |
판례 |
상증 |
-
무효인 구 상속세및증여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하자가 있는 이 사건 처분이 당연무효인지 여부[국승]
-
피고가 이 사건 처분을 할 당시에는 구 상속세및증여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을 적용할 수 없다는 법리가 명백히 밝혀지지 아니하여 해석에 다툼의 여지가 있었던 때에 해당하므로 피고가 이를 잘못 해석하여 과세처분을 하였더라도 그 하자가 명백하다고 보기 어려워 이 사건 처분을 무효라고 할 수는 없음
|
의정부지방법원-2019-구합-14952
(2022.05.31)
|
1097 |
판례 |
소득 |
-
토지 매매계약 해제에 따른 계약금(위약금)의 수입시기[국승]
-
이 사건 매매계약이 원고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자동으로 실효되기 위해서는 매수인의 지급기일 도과사실 자체만으로 계약을 실효시키기로 특약을 하였다거나, 매수인이 수회에 걸친 채무불이행에 대하여 책임을 느끼고 잔금 지급기일의 연기를 요청하면서 새로운 약정기일까지는 반드시 계약을 이행할 것을 확약하고 불이행시에는 매매계약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감수하겠다는 내용의 약정을 하였다고 볼 특별한 사정이 있어야 함
|
의정부지방법원-2020-구합-10888
(2022.05.31)
|
1098 |
판례 |
부가 |
-
(심리불속행) 종교관련 용역으로 소득세 비과세대상인지, 인적·물적 시설 없이 제공한 용역으로 부가세 면제대상인지, 소득세 필요경비 추계결정이 적법한지[국승]
-
(원심 요지) 원고는 해당 종교단체에 소속된 자가 아니고, 독립적으로 문화원을 운영하여 사업소득을 얻었던 지위에 있으며, 영리를 목적으로 자기의 책임과 계산 아래 독립된 지위에서 계속적·반복적으로 행하는 얻는 소득은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이 될 수 없고 사업소득 소득세에 해당됨
|
대법원-2022-두-34784
(2022.05.27)
|
1099 |
판례 |
양도 |
-
입증되지 않은 필요경비를 인정하지 않은 당초 처분은 적법함[국승]
-
필요경비와 관련하여 제출된 증빙자료가 신빙성이나 증명력이 없는 경우까지 필요경비로 인정할 수 없으므로, 원고가 제출한 필요경비 중 확인되지 않은 금액을 인정하지 않고 양도소득세를 부과 처분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
|
수원지방법원-2020-구단-8716
(2022.05.27)
|
1100 |
판례 |
국징 |
-
채무자가 수익자와 통모하여 다른 채권자를 해할 의사를 가지고 변제한 것은 사해행위에 해당함[국승]
-
채무자가 수익자와 통모하여 다른 채권자를 해할 의사를 가지고 변제한 것은 채무자의 무자력 상태를 유발 심화시키는 사해행위에 해당하고, 채무자의 사해의사를 인정할 수 있고, 수익자인 피고의 악의는 추정됨
|
창원지방법원-2021-나-61380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