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메뉴

조세조약

조세조약
한글(Korean) 영문(English)
[2006.12.18]
대한민국 정부와  캐나다 정부(이하 “체약국”이라 한다)는,

소득에 대한 조세의 이중과세 회피와 탈세 방지를 위한 협약의 체결을 희망하여,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2006.12.18]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CANADA(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tracting States"),

DESIRING to conclude a Convention for the avoidance of double taxation and the prevention of fiscal evasion with respect to taxes on income, have agreed as follows:
제1조【인적범위】 [2006.12.18]
이 협약은 어느 한쪽 또는 양 체약국의 거주자인 인(人)에게 적용된다.
Article 1.【 Persons Covered 】[2006.12.18]
This Convention shall apply to persons who are residents of one or both of the Contracting States.
제2조【대상조세】 [2006.12.18]
1. 이 협약이 적용되는 현행 조세는 다음과 같다.
   가. 한국에 있어서는,
         (1)  소득세
         (2)  법인세
         (3)  주민세    
         (4)  농어촌특별세
              (이하 “한국의 조세”라 한다)
   나. 캐나다에 있어서는, 캐나다 소득세법에 의거하여 캐나다 정부가 부과하는 소득세 (이하 “캐나다의 조세”라 한다.)

2. 이 협약은 이 협약의 서명일 이후에 현행 조세에 추가 또는 대체하여 부과되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일체의 조세에 대하여도 적용된다. 양 체약국의 권한있는 당국은 자국 세법의 중요 개정사항을 상호 통보한다.
Article 2.【 Taxes Covered 】[2006.12.18]
1. The existing taxes to which this Convention shall apply are:
    (a) in the case of Korea:
        (i)  the income tax;
       (ii)  the corporation tax;
       (iii) the inhabitant tax; and
       (iv)  the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Korean tax"); and
     (b) in the case of Canada, the income taxes imposed by the Government of Canada under the Income Tax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nadian  tax").

2. The Convention shall apply also to any identical or substantially similar taxes that are imposed after the date of signature of the Convention in addition to, or in place of, the existing taxes.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ontracting States shall notify each other of any significant changes that have been made in their respective taxation laws.
제3조【일반적 정의】 [2006.12.18]
1.  이 협약의 목적상 문맥에 따라 달리 해석되지 아니하는 한,
    가.  "한국"이라 함은 대한민국을 의미하며, 지리적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국제법과 한국법에 따라 수역・해저와 하층토 및 그 천연자원에 관하여 대한민국의 주권 또는 관할권이 행사될 수 있는 지역으로 대한민국의 영해, 영공 및 대한민국 영해에 인접한 일체 지역을 포함하는 모든 대한민국의 영토를 의미한다.
    나.  "캐나다"라 함은 지리적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국제법과 캐나다법에 따라 수역・해저와 하층토 및 그 천연자원에 관하여 캐나다의 주권 또는 관할권이 행사될 수 있는 지역으로 캐나다의 영해, 영공 및 캐나다 영해에 인접한 일체 지역을 포함하는 모든 캐나다의 영토를 의미한다.
    다. “어느 한쪽 체약국” 및 “다른 쪽 체약국”이라 함은 문맥에 따라 대한민국 또는 캐나다를 말한다.
    라.  "세금"이라 함은 문맥에 따라 한국의 세금 또는 캐나다의 세금을 말한다.
    마.  "인"이라 함은 개인・신탁・법인・그 밖의 인의 단체를 포함한다.
    바.  "법인"이라 함은 법인격이 있는 단체 또는 과세목적상 법인격이 있는 단체로 취급되는 실체를 말한다.
    사.  "어느 한쪽 체약국의 기업" 및 "다른 쪽 체약국의 기업"이라 함은 각각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에 의하여 경영되는 기업과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에 의하여 경영되는 기업을 말한다.
    아.  "국제운수"라 함은 어느 한쪽 체약국의 기업이 승객 및 재산 수송을 위해 운영하는 선박 또는 항공기에 의한 일체의 운송을 말하며, 운송의 주 목적이 다른 쪽 체약국 내 장소 간 승객 및 재산 수송인 경우는 제외한다.
    자.  "국민"이라 함은 다음을 말한다.
        (1)  어느 한쪽 체약국의 국적을 가진 개인
        (2)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법에 의하여 그러한 지위를 부여받는 모든 법인, 조합 또는 협회
    차.  "권한 있는 당국"이라 함은 다음을 말한다.
        (1)  한국의 경우, 재정경제부장관 또는 그의 권한 있는 대리인
        (2)  캐나다의 경우, 국세청장 또는 그의 권한 있는 대리인

2.  어느 한쪽 체약국이 이 협약을 적용함에 있어서, 이 협약에 정의되어 있지 아니한 용어는, 문맥에 따라 달리 해석되지 아니하는 한, 이 협약이 적용되는 조세의 목적상 이 협약 적용 당시에 동 체약국 법이 정하는 의미를 가지고, 당해 용어에 대한 동 체약국의 적용 세법에 따른 의미가 동 체약국의 다른 법에 따른 의미에 우선한다.
Article 3.【 General Definitions 】[2006.12.18]
1.  For the purposes of this Convention, unless the context otherwise requires:
   (a) the term "Korea" means the Republic of Korea, and when used in a geographical sense, means all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its territorial sea, air space, and any other area adjacent to the territorial sea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and the laws of Korea, is an area within which the sovereign rights or jurisdi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respect to the waters, the sea-bed and subsoil, and their natural resources may be exercised;
   (b) the term "Canada", used in a geographical sense, means all the territory of Canada, including its territorial sea and air space over the territory and the territorial sea, and any other area adjacent to the territorial sea of Canada which, in accordance with its legislation and with international law, is an area within which the sovereign rights or jurisdiction of Canada with respect to the waters, sea-bed and subsoil, and their natural resources, may be exercised;
   (c) the terms "a Contracting State" and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ean Korea or Canada, as the context requires;
   (d) the term "tax" means Korean tax or Canadian tax, as the context requires;
   (e) the term "person" includes an individual, a trust, a company and any other body of persons;
   (f) the term "company" means any body corporate or any entity that is treated as a body corporate for tax purposes;
   (g) the terms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and "enterprise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ean respectively an enterprise carried on by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and an enterprise carried on by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h) the term "international traffic" means any voyage of a ship or aircraft operated by a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to transport passengers or property except where the principal purpose of the voyage is to transport passengers or property between places with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i) the term "national" means:
        I)  any individual possessing the nationality of a Contracting State;
        ii) any legal person, partnership or association deriving its status as such from the laws in force in a Contracting State;
   (j)  the term "competent authority" means:
        I)  in the case of Korea, the Minister of Finance and Economy or the Minister’s authorised representative;
        ii) in the case of Canada, the Minister of National Revenue or the Minister's authorised representative.

2.  As regards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at any time by a Contracting State, any term not defined therein shall, unless the context otherwise requires, have the meaning that it has at that time under the law of that State for the purposes of the taxes to which the Convention applies, any meaning under the applicable tax laws of that State prevailing over a meaning given to the term under other laws of that State.
제4조【거 주 자】 [2006.12.18]
1.  이 협약의 목적상,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라 함은 동 체약국의 법에 따라 주소・거소・본점이나 주사무소, 관리 장소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기준에 따라 납세의무가 있는 인 그리고 동 체약국 및 그 정치적 하부조직 또는 지방 자치단체 또는 그러한 동 체약국, 정치적 하부조직 또는 지방 자치단체의 기관을 포함한다. 그러나, 동 체약국을 원천으로 하는 소득에 대해서만 동 체약국에서 납세 의무를 지는 인은 포함하지 아니한다.

2.  제1항의 규정에 따라 개인이 양 체약국의 거주자인 경우 동 개인의 지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가. 동 개인은 그가 이용할 수 있는 항구적 주거를 두고 있는 국가의 거주자로 본다. 동 개인이 양 체약국 안에 이용할 수 있는 항구적 주거를 가지고 있는 경우, 그는 그의 인적 및 경제적 관계가 더 밀접한 체약국 (중대한 이해관계의 중심지)의 거주자로 본다.
   나. 동 개인의 중대한 이해관계의 중심지를 가진 국가를 결정할 수 없거나 또는 어느 체약국 안에도 그가 이용할 수 있는 항구적 주거를 두고 있지 아니하는 경우, 그는 그가 일상적 거소를 두고 있는 체약국의 거주자로 본다.
   다. 동 개인이 양 체약국 안에 일상적인 거소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어느 체약국 안에도 일상적인 거소를 가지고 있지 아니하는 경우, 그는 그가 국민인 체약국의 거주자로 본다.
   라. 동 개인이 양 체약국의 국민이거나 또는 양 체약국 어느 한 국가의 국민도 아닌 경우 양 체약국의 권한 있는 당국은 상호 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3.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개인 외의 인이 양 체약국의 거주자인 경우, 양 체약국의 권한있는 당국은 상호 합의를 통해 동 인의 지위 및 이 협약의 적용을 결정한다. 그러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은 이 협약에 따른 혜택을 향유하는 목적 상 동 인은 양 체약국 어느 국가의 거주자로도 간주되지 아니한다.
Article 4.【 Resident 】[2006.12.18]
1.  For the purposes of this Convention, the term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means any person who, under the laws of that State, is liable to tax therein by reason of the person's domicile, residence, place of head or main office, place of management or any other criterion of a similar nature, and also includes that State and any political subdivision or local authority thereof or any agency or other instrumentality of any such State, subdivision or authority. This term, however, does not include any person who is liable to tax in that State in respect only of income from sources in that State.

2.  Where by reason of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an individual is a resident of both Contracting States, then the individual's status shall be determined as follows:
    (a) the individual shall be deemed to be a resident only of the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has a permanent home available and if the individual has a permanent home available in both States, the individual shall be deemed to be a resident only of the State with which the individual's personal and economic relations are closer (centre of vital interests);
    (b) if the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s centre of vital interests is situated cannot be determined, or if there is not a permanent home available to the individual in either State, the individual shall be deemed to be a resident only of the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has an habitual abode;
   (c) if the individual has an habitual abode in both States or in neither of them, the individual shall be deemed to be a resident only of the State of which the individual is a national;
   (d) if the individual is a national of both States or of neither of them,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ontracting States shall settle the question by mutual agreement.

3. Where by reason of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a person other than an individual is a resident of both Contracting States,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ontracting States shall by mutual agreement endeavour to settle its status and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Insofar as no such agreement has been reached, such person shall be deemed not to be a resident of either Contracting State for the purposes of enjoying benefits under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제5조【고정사업장】 [2006.12.18]
1.  이 협약의 목적상 "고정사업장"이라 함은, 기업의 사업이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되는 고정된 사업장소를 말한다.

2."고정사업장"이라 함은 특히 다음을 포함한다.
    가. 관리장소
    나. 지점
    다. 사무소
    라. 공장
    마. 작업장
    바. 광산・유전・가스정・채석장 또는 그 밖의 천연자원 채취장소

3.  건축 장소, 건설・조립 또는 설치공사 또는 이와 관련된 감독활동은 그런 장소・공사 또는 활동이 6개월을 초과하여 존속하는 경우에만 고정사업장을 구성한다.

4.  이 조 전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고정사업장"은 다음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본다.
    가. 기업 소유의 재화 또는 상품의 저장・전시 또는 인도만을 목적으로 한 시설의 사용
    나. 저장・전시 또는 인도만을 목적으로 한 기업 소유의 재화 또는 상품의 재고 보유
    다. 다른 기업에 의한 가공만을 목적으로 한 기업 소유의 재화 또는 상품의 재고 보유
    라. 기업을 위한 재화 또는 상품의 구입 또는 정보의 수집만을 목적으로 한 고정된 사업장소의 유지
    마. 기업을 위한 그 밖의 예비적 또는 보조적인 성격의 활동을 수행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한 고정된 사업장소의 유지
    바. 가목 내지 마목에 규정된 활동들의 결합만을 위한 고정된 사업장소의 유지. 다만, 이러한 결합으로부터 초래되는 고정된 사업장소의 전반적 활동이 예비적이거나 보조적인 성격의 것이어야 한다.

5.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6항의 규정이 적용되는 독립적 지위를 가지는 대리인 외의 인이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기업을 대신하여 활동하며 그 기업을 대신하여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이를 상시 행사하는 경우에는 그 기업은 동 인이 동 기업을 위하여 수행하는 활동에 관하여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 고정 사업장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한다. 다만 이러한 활동이 고정 사업장소를 통해서 행하여진다 할지라도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고정사업장에 포함되지 않는 활동으로 정해진 활동에 한정되지 아니하는 경우이어야 한다.

6.  기업이 어느 한쪽 체약국내에서 그들의 사업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하는 중개인, 일반위탁매매인 또는 기타 독립적 지위를 가진 대리인을 통하여 사업을 수행한다는 이유만으로 동 기업은 동 체약국내에 고정사업장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되지 아니한다.

7.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법인이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법인 또는 다른 쪽 체약국에서(고정사업장을 통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하여) 사업을 수행하는 법인을 지배하거나 또는 그 법인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그 법인 중 어느 한 법인이 다른 한 법인의 고정사업장을 구성하지 아니한다.
Article 5.【 Permanent Establishment 】[2006.12.18]
1.  For the purposes of this Convention, the term "permanent establishment" means a fixed place of business through which the business of an enterprise is wholly or partly carried on.

2.  The term "permanent establishment" includes especially:
    (a) a place of management;
    (b) a branch;
    (c) an office;
    (d) a factory;
    (e) a workshop; and
    (f) a mine, an oil or gas well, a quarry or any other place of extraction of? natural resources.

3.  A building site, a construction, assembly, or installation project or supervisory activities in connection therewith, constitutes a permanent establishment only if such site, project or activities lasts for more than six months.

4.  Notwithstanding the preceding provisions of this Article, the term "permanent establishment" shall be deemed not to include:
   (a) the use of facilities solely for the purpose of storage, display or delivery of goods or merchandise belonging to the enterprise;
   (b) the maintenance of a stock of goods or merchandise belonging to the enterprise solely for the purpose of storage, display or delivery;
   (c) the maintenance of a stock of goods or merchandise belonging to the enterprise solely for the purpose of processing by another enterprise;
   (d) the maintenance of a fixed place of business solely for the purpose of purchasing goods or merchandise or of collecting information, for the enterprise;
   (e) the maintenance of a fixed place of business solely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n, for the enterprise, any other activity of a preparatory or auxiliary character;
   (f) the maintenance of a fixed place of business solely for any combination of activities mentioned in subparagraphs (a) to (e) provided that the overall activity of the fixed place of business resulting from this combination is of a preparatory or auxiliary character.

5.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paragraphs 1 and 2, where a person - other than an agent of an independent status to whom paragraph 6 applies - is acting on behalf of an enterprise and has, and habitually exercises, in a Contracting State an authority to conclude contracts on behalf of the enterprise, that enterprise shall be deemed to have a permanent establishment in that State in respect of any activities which that person undertakes for the enterprise unless the activities of such person are limited to those mentioned in paragraph 4 which, if exercised through a fixed place of business, would not make this fixed place of business a permanent establishment under the provisions of that paragraph.

6. An enterprise shall not be deemed to have a permanent establishment in a Contracting State merely because it carries on business in that State through a broker, general commission agent or any other agent of an independent status, provided that such persons are acting in the ordinary course of their business.

7. The fact that a company which is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controls or is controlled by a company which is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or which carries on business in that other State (whether through a permanent establishment or otherwise), shall not of itself constitute either company a permanent establishment of the other.
제6조【부동산소득】 [2006.12.18]
1.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다른 쪽 체약국에 소재하는 부동산으로부터 취득하는 소득 (농업 또는 임업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득을 포함)에 대하여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2.  이 협약의 목적상 "부동산"이라 함은 당해 부동산이 소재하는 체약국의 법에서 정하는 의미를 가지되, 부동산에 부속되는 재산, 농업과 임업에 사용되는 가축과 장비, 토지재산에 관한 일반법의 규정이 적용되는 권리, 부동산의 용익권 및 광산・광천・그 밖의 천연자원의 채취 또는 그 채취권에 대한 대가인 가변적 또는 고정적인 지급금에 대한 권리를 포함한다. 선박 및 항공기는 부동산으로 보지 아니한다.

3.  제1항의 규정은 부동산의 직접 사용・임대 또는 그 밖의 형태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득 및 그러한 부동산의 양도로부터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 적용한다.

4.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은 기업의 부동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득과 독립적 인적용역의 수행을 위하여 사용되는 부동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도 적용한다.
Article 6.【 ncome from Immovable Property 】[2006.12.18]
1. Income derived by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from immovable property (including income from agriculture or forestry) situat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2. For the purposes of this Convention, the term "immovable property" shall have the meaning which it has for the purposes of the relevant tax law of the Contracting State in which the property in question is situated.  The term shall in any case include property accessory to immovable property, livestock and equipment used in agriculture and forestry, rights to which the provisions of general law respecting landed property apply, usufruct of immovable property and rights to variable or fixed payments as consideration for the working of, or the right to work, mineral deposits, sources and other natural resources. Ships and aircraft shall not be regarded as immovable property.

3.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shall apply to income derived from the direct use, letting, or use in any other form of immovable property and to income from the alienation of such property.

4. The provisions of paragraphs 1 and 3 shall also apply to the income from immovable property of an enterprise and to income from immovable property used for the performance of independent personal services.
제7조【사업이윤】 [2006.12.18]
1. 어느 한쪽 체약국 기업의 이윤에 대하여는 그 기업이 다른 쪽 체약국 안에 소재하는 고정사업장을 통하여 다른 쪽 체약국에서 사업을 수행하지 아니하는 한,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만 과세한다. 기업이 앞에 언급한 것과 같이 사업을 수행하는 경우 그 기업의 이윤 중 동 고정사업장에 귀속시킬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만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2. 제3항의 규정에 따를 것을 조건으로, 어느 한쪽 체약국의 기업이 다른 쪽 체약국 안에 소재하는 고정사업장을 통하여 다른 쪽 체약국 안에서 사업을 수행하는 경우, 동 고정사업장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조건 하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활동에 종사하며 또한 동 고정사업장이 속한 기업과 기타 인들과 전적으로 독립하여 거래하는 별개의 분리된 기업이라면 동 고정사업장이 취득할 것으로 기대되는 이윤을 각 체약국 안에서 동 고정사업장에 귀속되는 것으로 한다.

3. 고정사업장의 이윤을 결정함에 있어서, 경영비와 일반관리비를 포함하여 고정사업장의 목적을 위하여 발생된 경비는 고정사업장이 소재하는 체약국 안에서 또는 다른 곳에서 발생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비용 공제가 허용된다.

4. 어떠한 이윤도 고정사업장이 당해 기업을 위하여 재화나 상품을 단순히 구매한다는 이유만으로 동 고정사업장에 귀속되지는 아니한다.

5. 전항들의 목적상, 고정사업장에 귀속되는 이윤은 그에 반대되는 타당하고 충분한 이유가 없는 한 매년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6. 이윤이 이 협약의 다른 조에서 별도로 취급되는 소득 항목을 포함하는 경우, 그 다른 조의 규정은 이 조의 규정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Article 7.【 Business Profits 】[2006.12.18]
1. The profits of a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shall be taxable only in that State unless the enterprise carries on business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rough a permanent establishment situated therein.  If the enterprise carries on or has carried on business as aforesaid, the profits of the enterprise may be taxed in the other State but only so much of them as is attributable to that permanent establishment.

2.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paragraph 3, where a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carries on business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rough a permanent establishment situated therein, there shall in each Contracting State be attributed to that permanent establishment the profits which it might be expected to make if it were a distinct and separate enterprise engaged in the same or similar activities under the same or similar conditions and dealing wholly independently with the enterprise of which it is a permanent establishment and with all other persons.

3. In the determination of the profits of a permanent establishment, there shall be allowed those deductible expenses which are incurred for the purposes of the permanent establishment including executive and general administrative expenses, whether incurred in the State in which the permanent establishment is situated or elsewhere.

4. No profits shall be attributed to a permanent establishment by reason of the mere purchase by that permanent establishment of goods or merchandise for the enterprise.

5. For the purposes of the preceding paragraphs, the profits to be attributed to the permanent establishment shall be determined by the same method year by year unless there is good and sufficient reason to the contrary.

6. Where profits include items of income which are dealt with separately in other Articles of this Convention, then the provisions of those Articles shall not be affected by the provisions of this Article.
제8조【해운 및 항공운수】 [2006.12.18]
1. 국제운수상 선박 또는 항공기의 운항으로부터 어느 한쪽 체약국의 기업에 발생하는 이윤은 동 체약국에서만 과세한다.

2. 이 조의 제1항 및 제7조 규정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쪽 체약국의 기업이 다른 쪽 체약국 내 장소 간 여객 또는 재산 수송을 주된 목적으로 선박 또는 항공기를 운행하여 발생시킨 이윤은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될 수 있다.

3.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은 공동출자사업, 합작 사업 또는 국제 경영체 참여로부터 발생하는 이윤에도 적용된다.

4. 이 조의 목적상, “국제 운수상 선박 또는 항공기의 운항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윤”은 다음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윤을 포함한다.
   가. 장비, 인력 및 물자가 충분히 갖추어진 선박 또는 항공기 임대
   나. 나용선 계약에 의한 선박 또는 항공기의 수시 임대
   다. 재화 및 상품의 운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의 사용, 관리나 임대

다만, 그러한 임대 또는 그러한 사용, 관리나 임대가 국제 운수상 선박 또는 항공기의 운항에 부수되는 경우에 한한다.
Article 8.【 Shipping and Air Transport 】[2006.12.18]
1. Profits from the operation of ships or aircraft in international traffic carried on by a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shall be taxable only in that State.

2.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and Article 7, profits derived by a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from a voyage of a ship or aircraft where the principal purpose of the voyage is to transport passengers or property between places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3. The provisions of paragraphs 1 and 2 shall also apply to profits from the participation in a pool, a joint business or an international operating agency.

4. For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the terms "profits from the operation of ships or aircraft in international traffic" include profits derived from:
   (a) he rental of ships or aircraft fully equipped, manned and? supplied;
   (b) he occasional rental of a ship or aircraft on a bareboat charter; and
   (c) he use, maintenance or rental of containers used for the transport of goods and merchandise;
where such rental or such use, maintenance or rental, as the case may be, is incidental to the operation of ships or aircraft in international traffic.
제9조【특수관계기업】 [2006.12.18]
1. 가. 어느 한쪽 체약국의 기업이 다른 쪽 체약국 기업의 경영・지배 또는 자본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참여하거나,
   나. 동일인들이 어느 한쪽 체약국의 기업과 다른 쪽 체약국 기업의 경영・지배 또는 자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경우

그리고 위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양 기업간의 상업상 또는 재정상의 관계에 있어서 독립기업간에 설정되는 조건과 다른 조건이 설정되거나 부과된 경우, 동 조건이 없었더라면 어느 한쪽 기업의 소득이 되었을 것이 동 조건으로 인하여 그 기업의 소득이 되지 아니한 것은 동 기업의 소득에 포함되며 그에 따라 과세할 수 있다.

2. 어느 한쪽 체약국이 동 어느 한쪽 체약국 기업의 소득에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된 동 다른 쪽 체약국 기업의 소득을 포함시켜 과세하고, 그와 같이 포함된 소득이 양 기업간에 설정된 조건이 독립기업간에 설정된 조건이었다면 동 어느 한쪽 체약국 기업에게 발생되었을 소득이라면, 다른 쪽 체약국은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그 소득에 과세하는 세금 금액을 적절히 조정한다. 이러한 조정을 함에 있어서는 이 협약의 다른 규정도 적절히 고려되어야 하며 양 체약국의 권한있는 당국은 필요한 경우 서로 협의한다.

3. 어느 한쪽 체약국은 제1항에 명시된 상황에서 기업의 소득을 동 체약국의 국내법상 제척기간 만료 후 변경하지 않으며, 제1항에 언급된 조건이 아니었다면 그러한 변경 대상이 되는 소득이 동 기업에 귀속되었을 연도 말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동 소득을 변경하지 아니한다.

4.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은 사기, 고의적인 채무 불이행 또는 방임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Article 9.【 Associated Enterprises 】[2006.12.18]
1. Where
    (a)i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participates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management, control or capital of an enterprise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or
    (b) the same persons participate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management, control or capital of a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and an enterprise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and in either case conditions are made or imposed between the two enterprises in their commercial or financial relations that differ from those that would be made between independent enterprises, then any income that would, but for those conditions, have accrued to one of the enterprises, but, by reason of those conditions, has not so accrued, may be included in the income of that enterprise and taxed accordingly.

2. Where a Contracting State includes in the income of an enterprise of that State - and taxes accordingly - income on which an enterprise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has been charged to tax in that other State and the income so included is income that would have accrued to the enterprise of the first-mentioned State if the conditions made between the two enterprises had been those that would have been made between independent enterprises, then that other State shall make an appropriate adjustment to the amount of tax charged therein on that income. In determining such adjustment, due regard shall be had to the other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and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ontracting States shall if necessary consult each other.

3. A Contracting State shall not change the income of an enterprise in the circumstances referred to in paragraph 1 after the expiry of the time limits provided in its domestic laws and, in any case, after five years from the end of the year in which the income that would be subject to such change would, but for the conditions referred to in paragraph 1, have been attributed to that enterprise.

4. The provisions of paragraphs 2 and 3 shall not apply in the case of fraud, wilful default or neglect.
제10조【배 당】 [2006.12.18]
1.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법인이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에게 지급하는 배당에 대하여는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2. 그러나, 그러한 배당은 동 배당을 지급하는 법인이 거주지인 체약국에서도 동 체약국의 법에 따라 과세할 수 있다. 다만, 그 배당의 수익적 소유자가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경우 그렇게 부과되는 조세는 다음을 초과할 수 없다.
   가. 그 수익적 소유자가 배당을 지급하는 법인의 의결권을 적어도 25퍼센트 직접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법인(조합이 아닌)인 경우는 배당총액의 5퍼센트
   나. 그 밖의 경우에는 배당총액의 15퍼센트

이 항은 배당의 지급원인이 되는 이윤에 대한 법인의 과세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3. 이 조에서 사용되는 "배당"이라 함은 주식으로부터의 소득 또는 채권이 아닌 이윤에 참여하는 그 밖의 권리로부터 발생하는 소득 및 배당을 지급하는 법인이 거주자인 체약국 법에 의하여 주식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득과 과세상 동일한 취급을 받는 소득을 말한다.

4. 제2항의 규정은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배당의 수익적 소유자가 그 배당을 지급하는 법인이 거주자인 다른 쪽 체약국에 소재하는 고정사업장을통하여 그곳에서 사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동 다른 쪽 체약국에 소재하는 고정시설로부터 그곳에서 독립적 인적용역을 수행하며, 또한 그 배당의 지급원인이 되는 지분이 그러한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에 실질적으로 관련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사안에 따라 제7조 또는 제14조의 규정을 적용한다.

5.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법인이 다른 쪽 체약국으로부터 이윤 또는 소득을 취득하는 경우, 동 법인이 지급한 배당에 대해, 그 배당이 동 다른 쪽 체약국 거주자에게 지급되거나 그 배당의 지급원인이 되는 지분이 동 다른 쪽 체약국 안에 소재하는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과 실질적으로 관련되는경우를 제외하고는, 비록 지급된 배당 또는 유보이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발생한 이윤 또는 소득으로 구성된다고 할지라도 동 다른 쪽 체약국은 그 배당에 대하여는 과세할 수 없으며 동 법인의 유보이윤도 유보이윤에 대한 조세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6. 이 협약의 어떠한 규정도 어느 한쪽 체약국이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고정사업장에 귀속되는 법인의 수입 또는 부동산업을 수행하는 법인이 동 어 한쪽 체약국에 위치한 부동산을 양도한 데 귀속되는 수입에 대해서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국민인 법인의 수입에 부과되는 조세에 추가하여 조세를 부과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다만, 추가조세는 이전 과세연도에 그같은 추가 조세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그러한 수입 총액의 5%를 초과하지 아니한다. 이 조항의 목적상, “수입”은 제6조의 규정 또는 제13조 제1항에 따라 어느 한쪽 체약국에 의해 과세될 수 있는 그 체약국에 위치한 부동산 양도에 귀속되는 수입 및 어떤 연도 및 그 이전 연도들에 어느 한쪽 체약국의 고정사업장에 귀속되는 이득을 포함한 이윤으로서, 여기에서 언급된 추가조세를 제외하고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동 이윤에 대해 부과되는 모든 조세를 공제한 것을 의미한다.
Article 10.【 Dividends 】[2006.12.18]
1. Dividends paid by a company that is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to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2. However, such dividends may also be taxed in the Contracting State of which the company paying the dividends is a resident and according to the laws of that State, but if the beneficial owner of the dividends is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e tax so charged shall not exceed:
   (a) 5 per cent of the gross amount of the dividends if the beneficial owner is a company (other than a partnership) that controls directly at least 25 per cent of the voting power in the company paying the dividends; and
   (b) 15 per cent of the gross amount of the dividends, in all other cases.

The provisions of this paragraph shall not affect the taxation of the company in respect of the profits out of which the dividends are paid.

3. The term "dividends" as used in this Article means income from shares or other rights, not being debt-claims, participating in profits, as well as income which is subjected to the same taxation treatment as income from shares by the laws of the State of which the company making the distribution is a resident.

4. The provisions of paragraph 2 shall not apply if the beneficial owner of the dividends, being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carries on business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of which the company paying the dividends is a resident, through a permanent establishment situated therein, or performs in that other State independent personal services from a fixed base situated therein, and the holding in respect of which the dividends are paid is effectively connected with such permanent establishment or fixed base.? In such case the provisions of Article 7 or Article 14, as the case may be, shall apply.

5. Where a company that is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derives profits or income from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at other State may not impose any tax on the dividends paid by the company, except insofar as such dividends are paid to a resident of that other State or insofar as the holding in respect of which the dividends are paid is effectively connected with a permanent establishment or a fixed base situated in that other State, nor subject the company's undistributed profits to a tax on undistributed profits, even if the dividends paid or the undistributed profits consist wholly or partly of profits or income arising in such other State.

6. Nothing in this Convention shall be construed as preventing a Contracting State from imposing on the earnings of a company attributable to a permanent establishment in that State, or the earnings attributable to the alienation of immovable property situated in that State by a company carrying on a trade in immovable property, a tax in addition to the tax that would be chargeable on the earnings of a company that is a national of that State, except that any additional tax so imposed shall not exceed 5 per cent of the amount of such earnings that have not been subjected to such additional tax in previous taxation years.? For the purpose of this provision, the term "earnings" means the earnings attributable to the alienation of such immovable property situated in a Contracting State as may be taxed by that State under the provisions of Article 6 or of paragraph 1 of Article 13, and the profits, including any gains, attributable to a permanent establishment in a Contracting State in a year and previous years, after deducting therefrom all taxes, other than the additional tax referred to herein, imposed on such profits in that State.
제11조【이 자】 [2006.12.18]
1.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여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에게 지급되는 이자에 대하여는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2. 그러나, 그러한 이자는 그 이자가 발생하는 체약국에서도 동 체약국의 법에 따라 과세할 수 있다. 다만, 그 이자의 수익적 소유자가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경우 그렇게 부과되는 조세는 이자 총액의 10퍼센트를 초과할 수 없다.

3. 제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한 이자는 만약 그 이자가 다음에 의해 발생했다면 동 체약국의 조세로부터 면세된다.
    가. 다른 쪽 체약국의 정부 또는 그 정치 하부조직 또는 지방자치단체
    나. 다른 쪽 체약국의 중앙은행
    다. 자본금의 90퍼센트 이상을 다른 쪽 체약국 정부 또는 중앙은행이 소유하는, 정부성격의 기능을 수행하는 금융 기관
    라. 동 이자의 수익적 소유자인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로 인해 동 이자가 발생하고, 수출입 장려를 위해 다목에 언급된 금융 기관이 보증하거나 책임지는 대출 또는 신용과 관련하여 동 이자가 지급되는 경우, 또는
    마. 동 이자의 수익적 소유자인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로 인해 동 이자가 발생하고,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산업, 상업 또는 학술과 관련된 장비 또는 상품을 신용거래한 결과 발생하는 채무와 관련하여 동 이자를 수취한 경우로서 그 판매 또는 채무가 관련 인들 사이에 일어난 것이 아닌 경우

4. 제3항의 목적상, “중앙은행” 또는 동 항 다목에 언급된 금융기관이라 함은 다음을 의미한다.
    가. 한국의 경우
       (1) 한국은행
       (2) 한국수출입은행
       (3) 한국산업은행
       (4) 한국투자공사
       (5) 한국수출보험공사
    나. 캐나다의 경우
       (1) 캐나다은행
       (2) 캐나다수출개발
    다. 양 체약국의 권한 있는 당국간 서신에 명시되고 합의된, 어느 한쪽 체약국의 정부 또는 중앙은행이 자본의 90퍼센트 이상을 소유한 정부 성격의 기능을 수행하는 금융기관

5. 이 조에서 “이자”라 함은 저당에 의한 보증의 유무와 관계 없이 모든 종류의 채권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득과 특히 정부증권・채권 또는 회사채로부터 발생하는 소득 및 정부증권・채권 또는 회사채에 부수되는 프리미엄 및 장려금을 포함하는 소득을 말하며 또한 소득이 발생한 체약국의 세법에 의한 금전의 대부로부터 발생하는 소득과 세제상 동일한 취급을 받는 소득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8조 또는 제10조에서 다루는 소득은 포함하지 아니한다.

6. 제2항의 규정은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이자의 수익적 소유자가 그 이자가 발생하는 다른 쪽 체약국에 소재하는 고정사업장을 통하여 그곳에서 사업을 수행하거나 다른 쪽 체약국에 소재하는 고정시설을 통하여 그곳에서 독립적 인적용역을 수행하며 또한 그 이자의 지급원인이 되는 채권이 그러한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과 실질적으로 관련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사안에 따라 제7조 또는 제14조의 규정을 적용한다.

7. 이자는 그 지급인이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경우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이자의 지급인이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동 인이 어느 한쪽 체약국 내에 그 이자의 지급원인이 되는 채무의 발생과 관련된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을 가지고 있고 또한 그 이자가 그러한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에 의하여 부담되는 경우, 그러한 이자는 동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이 소재하는 체약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8. 이자의 지급인과 수익적 소유자간 또는 그 양자와 제3자간의 특수관계로 인하여 동 이자 지급액이, 어떤 이유에서든, 그러한 관계가 없었더라면 지급인과 수익적 소유자간에 합의되었을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이 조의 규정은 그 합의되었을 금액에 대하여만 적용한다. 그러한 경우, 그 지급액의 초과부분에 대하여는 이 협약의 다른 규정을 적절히 고려하여 각 체약국의 법에 따라 과세한다.
Article 11.【 Interest 】[2006.12.18]
1. Interest arising in a Contracting State and paid to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2. However, such interest may also be taxed in the Contracting State in which it arises and according to the laws of that State, but if the beneficial owner of the interest is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e tax so charged shall not exceed 10 per cent of the gross amount of the interest.

3.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paragraph 2, interest arising in a Contracting State shall be taxable only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if the interest is derived by:
    (a) the Governm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or of a political subdivision or local authority thereof;
    (b) the Central Bank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c) a fincial institution performing functions of a governmental nature, more than 90 per cent of the capital of which is owned by the Government or the Central Bank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d)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who is the beneficial owner thereof, and paid in respect of a loan or credit guaranteed or insured by a financial institution referred to in subparagraph (c) in order to promote imports or exports; or
    (e)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who is the beneficial owner thereof, and received with respect to an indebtedness arising in consequence of the sale on credit by a resident of that other State of any industrial, commercial or scientific equipment, or any merchandise, except where the sale or indebtedness was between related persons.

4. For purpose of paragraph 3, the term "Central Bank" or reference to a financial institution described in subparagraph (c) of that paragraph means:
   (a) In the case of Korea:
       (i)   the Bank of Korea;
       (ii)  he Korea Export-Import Bank;
       (iii) the Korea Development Bank;
        (iv) the Korea Investment Corporation; and
        (v)  the Korea Export Insurance Corporation;
   (b) in the case of Canada:
        (i)  the Bank of Canada; and
        (ii) Export Development Canada;
   (c) any other financial institution performing functions of a governmental nature, more than 90 per cent of the capital of which is owned by the Government or the Central Bank of a Contracting State, as may be specified and agreed upon in letters exchanged between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ontracting States.

5. The term "interest" as used in this Article means income from debt-claims of every kind, whether or not secured by mortgage, and in particular, income from government securities and income from bonds or debentures, including premiums and prizes attaching to such securities, bonds or debentures, as well as income which is subjected to the same taxation treatment as income from money lent by the laws of the State in which the income arises. However, the term "interest" does not include income dealt with in Article 8 or Article 10.

6. The provisions of paragraph 2 shall not apply if the beneficial owner of the interest, being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carries on business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in which the interest arises through a permanent establishment situated therein, or performs in that other State independent personal services from a fixed base situated therein, and the debt-claim in respect of which the interest is paid is effectively connected with such permanent establishment or fixed base. In such case the provisions of Article 7 or Article 14, as the case may be, shall apply.

7. Interest shall be deemed to arise in a Contracting State when the payer is a resident of that State. Where, however, the person paying the interest, whether the payer is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or not, has in a Contracting State a permanent establishment or a fixed base in connection with which the indebtedness on which the interest is paid was incurred, and such interest is borne by such permanent establishment or fixed base, then such interest shall be deemed to arise in the State in which the permanent establishment or fixed base is situated.

8. Where, by reason of a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yer and the beneficial owner or between both of them and some other person, the amount of the interest, having regard to the debt-claim for which it is paid, exceeds for whatever reason the amount that would have been agreed upon by the payer and the beneficial owner in the absence of such relationship, the provisions of this Article shall apply only to the last-mentioned amount. In such case, the excess part of the payments shall remain taxable according to the laws of each Contracting State, due regard being had to the other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제12조【사 용 료】 [2006.12.18]
1.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고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에게 지급되는 사용료에 대하여는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2. 그러나, 그러한 사용료는 그 사용료가 발생하는 체약국에서도 동 체약국의 법에 따라 과세할 수 있다. 다만, 사용료의 수익적 소유자가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경우 그렇게 부과되는 조세는 사용료 총액의 10 퍼센트를 초과할 수 없다.

3. 이 조에서 "사용료"라 함은 영화필름 또는 필름, 텔레비전 방송과 관련된 비디오테이프 또는 그 밖의 재생수단을 포함하여, 저작권,특허권,상표권,의장,신안,도면,비밀공식이나 공정의 사용 또는 사용권, 산업, 상업, 또는 학술 장비에 대한 사용 및 사용권, 산업적, 상업적 또는 학술적 경험에 관한 정보의 대가로서 수취되는 모든 종류의 지급금을 말한다.

4. 제2항의 규정은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사용료의 수익적 소유자가 그 사용료가 발생하는 다른 쪽 체약국에 소재하는 고정사업장을 통하여 그곳에서 사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동 다른 쪽 체약국에 소재하는 고정시설을 통하여 그곳에서 독립적 인적용역을 수행하며, 또한 동 사용료의 지급원인이 되는 권리 또는 재산이 그러한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과 실질적으로 관련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사안에 따라, 제7조 또는 제14조의 규정을 적용한다.

5. 사용료의 지급인이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경우 그 사용료는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사용료의 지급인이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동 인이 어느 한쪽 체약국 내에 그 사용료를 지급하여야 할 의무의 발생과 관련되는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을 가지고 있고 그 사용료가 그러한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에 의하여 부담되는 경우 그러한 사용료는 동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이 소재하는 체약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6. 사용료의 지급인과 수익적 소유자간 또는 그 양자와 제3자간의 특수관계로 인하여 동 사용료 지급액이, 그 지급의 원인이 되는 사용・권리 또는 정보를 고려할 때, 그러한 특수관계가 없었더라면 지급인과 수익적 소유자간에 합의되었을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이 조의 규정은 그 합의되었을 금액에 대하여만 적용한다. 그러한 경우 그 지급액의 초과부분에 대하여는 이 협약의 다른 규정을 적절히 고려하여 각 체약국의 법에 따라 과세한다.
Article 12.【 Royalties 】[2006.12.18]
1. Royalties arising in a Contracting State and paid to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2. However, such royalties may also be taxed in the Contracting State in which they arise and according to the laws of that State, but if the beneficial owner of the royalties is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e tax so charged shall not exceed 10 per cent of the gross amount of the royalties.

3. The term "royalties" as used in this Article means payments of any kind received as a consideration for the use of, or the right to use, any copyright, patent, trade mark, design or model, plan, secret formula or process, or for the use of, or the right to use, industrial, commercial or scientific equipment, or for information concerning industrial, commercial or scientific experience, and includes payments of any kind in respect of motion picture films and works on film, videotape or other means of reproduction for use in connection with television.

4. The provisions of paragraph 2 shall not apply if the beneficial owner of the royalties, being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carries on business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in which the royalties arise, through a permanent establishment situated therein, or performs in that other State independent personal services from a fixed base situated therein, and the right or property in respect of which the royalties are paid is effectively connected with such permanent establishment or fixed base. In such case the provisions of Article 7 or Article 14, as the case may be, shall apply.

5. Royalties shall be deemed to arise in a Contracting State when the payer is a resident of that State. Where, however, the person paying the royalties, whether the payer is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or not, has in a Contracting State a permanent establishment or a fixed base in connection with which the obligation to pay the royalties was incurred, and such royalties are borne by such permanent establishment or fixed base, then such royalties shall be deemed to arise in the State in which the permanent establishment or fixed base is situated.

6. Where, by reason of a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yer and the beneficial owner or between both of them and another person, the amount of the royalties, having regard to the use, right or information for which they are paid, exceeds the amount that would have been agreed upon by the payer and the beneficial owner in the absence of such relationship, the provisions of this Article shall apply only to the last-mentioned amount. In such case, the excess part of the payments shall remain taxable according to the laws of each Contracting State, due regard being had to the other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제13조【양도소득】 [2006.12.18]
1.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다른 쪽 체약국에 소재하는 부동산의 양도로부터 취득하는 이득에 대하여는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2. 어느 한쪽 체약국의 기업이 다른 쪽 체약국 안에 가지고 있었거나 가지고 있는 고정사업장의 사업용 재산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산 또는 독립적 인적용역을 수행할 목적상 어느 한쪽 체약국 거주자가 다른 쪽 체약국에서 이용 가능하거나 이용 가능했던 고정시설에 속하는 동산의 양도로부터 발생하는 이득 및 동 고정사업장 (단독으로 또는 기업전체와 함께)이나 고정시설의 양도로부터 발생하는 이득은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3. 어느 한쪽 체약국의 기업이 국제운수에 사용되는 선박 또는 항공기 또는 그러한 선박, 항공기의 운항에 부수되는 동산의 양도로부터 얻는 이득에 대하여는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만 과세할 수 있다.

4.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가. 해당 가치의 50퍼센트를 초과하는 부분이 다른 쪽 체약국에 위치한 부동산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생되는 주식 또는
   나. 해당 가치의 50퍼센트를 초과하는 부분이 다른 쪽 체약국에 위치한 부동산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생되는 조합 또는 신탁에의 권리의 양도로부터 얻게 되는 이득은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5.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법인의 자본에 대한 실질적 권리의 일부를 구성하는 주식의 양도로부터 발생하는 이득은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그 자국 세법에 따라 과세가능하다. 이 항의 목적상, 양도인이 단독으로 또는 특수관계 또는 관련 인들과 함께 동 법인이 발행한 총 주식의 25퍼센트를 직접또는 간접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경우 실질적 권리가 존재하는 것으로 본다.

6. 전항들에서 언급된 것을 제외한 모든 재산의 양도로부터 발생하는 이득은 양도인이 거주자로 있는 체약국에서만 과세된다.

7. 제6항의 규정은 어느 한쪽 체약국이 자국 세법에 따라 다른 쪽 체약국 거주자이면서 재산 양도 직전 5년의 기간동안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였던 적이 있는 개인에 의해 발생한 동 재산 (제8항이 적용되는 재산 제외)의 양도로부터의 이득에 대해 과세할 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8. 개인이 더 이상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아닌 경우로서 이로 인해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 의해 과세목적상 재산을 양도한 것으로 취급되어 과세되고 이후 어느 시점에라도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된 경우, 동 다른 쪽 체약국은 동 재산과 관련한 이득에 대해 그러한 이득이 동 개인이 동 어느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였을 동안 발생하지 않았던 범위에 한해 과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규정은 이득이 발생했을 때 이 항이 아닌 이 조의 다른 규정에따라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되었을 이득이 발생한 재산에 대하여는, 만약 그 이득이 동 개인이 동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되기 전에 실현된 것이라면, 적용하지 아니한다.

9.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기업 또는 기타 설립, 구조조정, 합병, 분할 또는 이와 유사한 거래 과정에서 재산을 양도하고, 해당 양도와 관련한 이윤, 이득 또는 소득이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과세목적상 인식되지 않는 경우, 동 재산을 취득한 인의 요청에 의해 다른 쪽 체약국의 권한있는 당국은 이중과세 방지를 위해 그러한 권한 있는 당국이 만족하는 조건에 따를 것을 조건으로, 재산 양도인이 거주자로 있는 동 어느 한쪽 체약국과의 협의를 거친 후 그 협의에 따른 방법으로 그 협의된 기간까지 다른 쪽 체약국의 과세 목적상 해당 재산과 관련된 이득 또는 소득 인식에 대한 이연을 허용할 수 있다.
Article 13.【 Capital Gains 】[2006.12.18]
1. Gains derived by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from the alienation of immovable property situat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2. Gains from the alienation of movable property forming part of the business property of a permanent establishment that a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has or ha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or of movable property pertaining to a fixed base that is or was available to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independent personal services, including such gains from the alienation of such a permanent establishment (alone or with the whole enterprise) or of such a fixed bas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3. Gains derived by a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from the alienation of ships or aircraft operated in international traffic or other movable property pertaining to the operation of such ships or aircraft shall be taxable only in that State.

4. Gains derived by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from the alienation of:
    (a) shares, more than 50 per cent of the value of which is derived directly or indirectly from immovable property situated in the other State; or
    (b) an interest in a partnership or trust, more than 50 per cent of the value of which is derived directly or indirectly from immovable property situated in that other Stat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5. Gains from the alienation of shares forming part of substantial interest in the capital of a company which is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may be taxed in that State and according to the laws of that State. For the purposes of this paragraph, a substantial interest shall be deemed to exist when the alienator, alone or together with associated or related persons, holds directly or indirectly 25 per cent of the total shares issued by the company.

6. Gains from the alienation of any property, other than that referred to in the preceding paragraphs, shall be taxable only in the Contracting State of which the alienator is a resident.

7. The provisions of paragraph 6 shall not affect the right of a Contracting State to levy, according to its law, a tax on gains from the alienation of any property (other than property to which paragraph 8 applies) derived by an individual who is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and has been a resident of the first-mentioned State at any time during the five years immediately preceding the alienation of the property.

8. Where an individual ceases to be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and by reason thereof is treated for the purposes of taxation by that State as having alienated property and is taxed in that State and at any time thereafter becomes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tax gains in respect of the property only to the extent that such gains had not accrued before the individual ceased to be a resident of the first-mentioned State.? However, this provision shall not apply to property, any gain from which that other State could have tax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is Article, other than this paragraph, if the individual had realized the gain before becoming a resident of that other State.

9. Where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alienates property in the course of a corporate or other organization, reorganization, amalgamation, division or similar transaction and profit, gain or income with respect to such alienation is not recognized for the purpose of taxation in that State, if requested to do so by the person who acquires the property, the competent authority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allow, in order to avoid double taxation and subject to terms and conditions satisfactory to such competent authority, a deferral of the recognition of the profit, gain or income with respect to such property for the purpose of taxation in that other State, after consultation with the competent authority of the first-mentioned State, until such time and in such manner as may be stipulated in the agreement.
제14조【독립적 인적용역】 [2006.12.18]
1.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개인이 전문직업적 용역 또는 그와 유사한 독립적 성격의 활동과 관련하여 취득하는 소득은 동 개인이 그러한 용역을 수행할 목적으로 다른 쪽 체약국 안에 정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고정시설을 갖지 아니하는 한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과세한다. 만약 동 개인이 다른 쪽 체약국에 그러한 고정시설을 가지고 있거나 가졌던 경우 동 고정시설에 귀속되는 소득에 한하여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이 조의 목적상, 개인이 그러한 용역 수행을 위해 당해 회계연도에 개시하거나 종료하는 12월 중 총 183일을 초과하는 단일 기간 또는 통산한 기간동안 다른 쪽 체약국에 체류하는 경우, 동 개인은 동 다른 쪽 체약국에 정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고정시설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며,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수행되는 용역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득은 해당 고정시설에 귀속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2. "전문직업적 용역"이라 함은 의사,변호사,엔지니어,건축가,치과의사 및 회계사의 독립적인 활동뿐 만 아니라 특히 독립적인 학술,문학,예술,교육 또는 교수 활동을 포함한다.
Article 14.【 Independent Personal Services 】[2006.12.18]
1.  Income derived by an individual who is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in respect of professional or similar services of an independent character shall be taxable only in that State unless the individual has a fixed base regularly available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the services. If the individual has or had such a fixed base, the income may be taxed in the other State but only so much of it as is attributable to that fixed base. For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when an individual is present in that other State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such services for a period or periods exceeding in the aggregate 183 days in any twelve-month period commencing or ending in the fiscal year concerned, the individual shall be deemed to have a fixed base regularly available in that other State and the income that is derived from the services that are performed in that other State shall be deemed to be attributable to that fixed base.

2. The term "professional services" includes especially independent scientific, literary, artistic, educational or teaching activities as well as the independent activities of physicians, lawyers, engineers, architects, dentists and accountants.
제15조【종속적 인적용역】 [2006.12.18]
1. 제16조, 제18조, 제19조의 규정에 따를 것을 조건으로,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고용과 관련하여 취득하는 급료・임금 및 그 밖의 보수에 대하여는 그 고용이 다른 쪽 체약국에서 수행되지 아니하는 한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만 과세한다. 만약 고용이 다른 쪽 체약국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그 고용으로부터 발생하는 보수에 대하여는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2.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른 쪽 체약국 안에서 수행한 고용과 관련하여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취득하는 보수에 대하여는 다음의 경우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만 과세된다.
   가. 수취인이 당해 역년에 개시되거나 종료하는 12월 중 총 183일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단일 기간 또는 통산한 기간동안 다른 쪽 체약국에 체류하고
   나. 그 보수가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아닌 인에 의하여 또는 그를 대신하여 지급되며,
   다. 그 보수가 그 인이 다른 쪽 체약국 안에 가지고 있는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 시설에 의하여 부담되지 아니하는 경우

3.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쪽 체약국 기업에 의해 국제운수에 사용되는 선박이나 항공기에 탑승하여 수행되는 고용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보수에 대하여는 그 보수가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에 의해 취득되지 아니하는 한,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만 과세할 수 있다.
Article 15.【 Dependent Personal Services 】[2006.12.18]
1.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Articles 16, 18, and 19, salaries, wages and other remuneration derived by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in respect of an employment shall be taxable only in that State unless the employment is exercis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If the employment is so exercised, such remuneration as is derived therefrom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2.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remuneration derived by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in respect of an employment exercis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shall be taxable only in the first-mentioned State if:
   (a) the recipient is present in the other State for a period or periods not exceeding in the aggregate 183 days in any twelve-month period commencing or ending in the calendar year concerned; and
   (b) the remuneration is paid by, or on behalf of, a person who is not a resident of the other State; and
   (c) the remuneration is not borne by a permanent establishment or a fixed base that the person has in the other State.

3. Notwithstanding the preceding provisions of this Article, remuneration derived in respect of an employment exercised aboard a ship or aircraft operated in international traffic by a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shall be taxable only in that State unless the remuneration is derived by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제16조【이사의 보수】 [2006.12.18]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법인의 이사회 구성원의 자격으로 취득하는 이사의 보수 및 그 밖의 유사한 지급금에 대하여는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Article 16.【 Directors' Fees 】[2006.12.18]
Directors' fees and other similar payments derived by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in the capacity as a member of the board of directors of a company which is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제17조【예능인 및 체육인】 [2006.12.18]
1. 제14조 및 제15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연극・영화・라디오 또는 텔레비전의 배우나 음악가와 같은 연예인 또는 체육인으로서 다른 쪽 체약국에서 수행하는 인적 활동으로부터 취득하는 소득에 대하여는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2. 연예인 또는 체육인이 그 자격으로 수행한 인적활동에 관한 소득이 그 연예인 또는 체육인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귀속되는 경우, 당해 예능인, 체육인 또는 기타 인이, 동 예능인, 동 체육인 또는 그에 관련된 인들 중 어느 누구도 지불 유예된 보수, 보너스, 수수료, 배당금, 조합분배금 또는 기타 분배금의 수취를 포함하는 동 타인의 이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음을 입증하지 않는 한, 제7조, 제14조 및 제15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동 소득은 그 연예인 또는 체육인의 활동이 수행되는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3.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양 체약국 정부간 합의된 특별 문화 교류 프로그램에 따라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연예인 또는 체육인이 다른 쪽 체약국에서 수행한 활동으로부터 발생시킨 소득은 동 다른 쪽 체약국 조세로부터 면제된다.
Article 17.【 Artistes and Sportspersons 】[2006.12.18]
1.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Articles 14 and 15, income derived by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as an entertainer, such as a theatre, motion picture, radio or television artiste, or a musician, or as a sportsperson, from that resident's personal activities as such exercis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2. Where income in respect of personal activities exercised by an entertainer or a sportsperson in that individual's capacity as such, accrues not to the entertainer or sportsperson personally, but to another person, that income may,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Articles 7, 14 and 15, be taxed in the Contracting State in which the activities of the entertainer or sportsperson are exercised, unless the entertainer, sportsperson or other person establishes that neither the entertainer or the sportsperson nor persons related thereto participate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profits of that other person in any manner, including the receipt of deferred remuneration, bonuses, fees, dividends, partnership distributions, or other distributions.

3.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paragraphs 1 and 2 of this Article, income derived by entertainers or sportspersons who are residents of a Contracting State from the activities exercis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under a special programme of cultural exchange agreed upon between the governments of the Contracting States, shall be exempt from tax in that other State.
제18조【연금 및 보험연금】 [2006.12.18]
1.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여 다른 쪽 체약국 거주자에게 지급된 연금은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

2.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여 다른 쪽 체약국 거주자에게 지급된 연금은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도 그 체약국법에 따라 과세할 수 있다. 다만, 어느 한쪽 체약국의 사회보장 법률에 따른 연금지급액이 아닌, 정기적인 연금 지급액의 경우, 연금 발생국에서 부과되는 조세는 다음 두 가지 금액 중 적은 금액을 초과하지 아니한다.
    가. 연금지급총액의 15퍼센트 및
    나. 연금 수취자가 연금 지급이 발생하는 체약국의 거주자였을 경우 해당 연도에 수취한 연금정기지급총액에 대해 동 연도에 납부해야 할 세액을 참고하여 결정되는 세율?

3.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여 다른 쪽 체약국 거주자에게 지급되는 연금은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도 그 체약국법에 따라 과세할 수 있되, 단 그렇게 부과된 조세는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과세대상이 되는 연금부분의 10퍼센트를 초과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제한 규정은 연금의 해약, 파기, 환매, 매매 또는 기타 양도 시 발생하는 일시불 지급금 또는 연금계약을 취득한 인의 소득을 집계할 때 비용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공제된 연금 계약 하의 모든 지급금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4. 이 협약의 어떠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가.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여 다른 쪽 체약국 거주자에게 지급되는 (참전용사에게 지급되거나 또는 전쟁으로 인한 피해나 부상에 대해 지급되는 연금 및 수당을 포함하는) 전쟁 연금 및 수당
    나. 어느 한쪽 체약국의 사회보장 법률에 따라 발생하여 다른 쪽 체약국 거주자에게 지급되는 급부
    다.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여 다른 쪽 체약국 거주자에게 지급되는 위로금 및 이와 유사한 기타 지급금은 해당 지급금이 발생한 체약국에서만 과세할 수 있다.
Article 18.【 Pensions and Annuities 】[2006.12.18]
1. Pensions and annuities arising in a Contracting State and paid to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be taxed in that other State.

2. Pensions arising in a Contracting State and paid to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also be taxed in the State in which they arise and according to the laws of that State. However, in the case of periodic pension payments, other than payments under the social security legislation in a Contracting State, the tax so charged shall not exceed the lesser of:
    (a) 15 per cent of the gross amount of the payment; and
    (b) the rate determined by reference to the amount of tax that the recipient of the payment would otherwise be required to pay for the year on the total amount of the periodic pension payments received by the individual in the year, if the individual were resident in the Contracting State in which the payment arises.

3. Annuities arising in a Contracting State and paid to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may also be taxed in the State in which they arise and according to the law of that State, but the tax so charged shall not exceed 10 per cent of the portion thereof that is subject to tax in that State. However, this limitation does not apply to lump-sum payments arising on the surrender, cancellation, redemption, sale or other alienation of an annuity, or to payments of any kind under an annuity contract the cost of which was deductible, in whole or in part, in computing the income of any person who acquired the contract.

4. Notwithstanding anything in this Convention:
    (a) war pensions and allowances (including pensions and allowances paid to war veterans or paid as a consequence of damages or injuries suffered as a consequence of a war) arising in a Contracting State and paid to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b) benefits arising pursuant to the social security legislation of a Contracting State and paid to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and
    (c) alimony and other similar payments arising in a Contracting State and paid to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shall be taxable 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y arise.
제19조【정부 용역】 [2006.12.18]
1. 가. 정부 성격의 기능을 수행하는 어느 한쪽 체약국이나 그 정치적 하부조직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제공되는 용역과 관련하여, 동 어느 한쪽 체약국 또는 그 정치적 하부조직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개인에게 지급하거나 또는 그들 중 어느 누구에 의해 조성된 기금으로부터 개인에게 지급되는, 연금을 제외한 보수는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만 과세한다.
   나. 그러나 그 용역이 다른 쪽 체약국에서 제공되고 그 개인이 다음에 해당하는 동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경우, 그러한 보수에 대하여는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만 과세한다.
       (1) 동 다른 쪽 체약국의 국민인 자 또는
       (2) 단지 그 용역의 제공만을 목적으로 동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되지 아니한 자

2. 체약국 중 어느 한쪽 또는 그 정치적 하부 조직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수익을 목적으로 수행한 사업과 관련하여 제공된 용역에 대한 보수에 대하여는 제1항의 규정이 적용되지 아니한다.

3. 제1항의 규정은 한국은행, 한국수출입은행,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투자공사, 캐나다 은행, 캐나다 수출 개발 및 체약국의 권한 있는 당국 간에 교환된 서신에서 명시되고 합의된 정부 성격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타 정부 소유 기관이 지급하는 보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Article 19.【 Government Service 】[2006.12.18]
1. (a) Remuneration, other than a pension, paid by, or out of funds created by one of the Contracting States or a political subdivision or a local authority thereof to any individual in respect of services rendered to that State or subdivision or local authority thereof in the discharge of functions of a governmental nature shall be taxable only in that State.
   (b) However, such remuneration shall be taxable only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if the services are rendered in that State and the recipient is a resident of that State who:
       (i)   is a national of that State; or
       (ii)  did not become a resident of that State solely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the services.

2.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shall not apply to remuneration in respect of services rendered in connection with any trade or business carried on for the purpose of profits by one of the Contracting States or a political subdivision or a local authority thereof.

3.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shall likewise apply in respect of remuneration paid by the Bank of Korea, the Korea Export-Import Bank, the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the Korea Investment Corporation, the Bank of Canada, Export Development Canada and any other government-owned instrumentality performing functions of a governmental nature as may be specified and agreed upon in letters exchanged between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ontracting States.
제20조【학 생】 [2006.12.18]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이거나 어느 한쪽 체약국을 방문하기 직전에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이었으며, 단지 교육 또는 훈련만을 목적으로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 체재하는 학생, 실습생, 또는 훈련생이 자신의 생계유지?교육 또는 훈련의 목적으로 받는 지급금에 대하여는, 그러한 지급금이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국외원천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과세하지 아니한다.
Article 20.【 Students 】[2006.12.18]
Payments which a student, apprentice or business trainee who is, or was immediately before visiting a Contracting State,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and who is present in the first-mentioned State solely for the purpose of that individual's education or training receives for the purpose of that individual's maintenance, education or training shall not be taxed in that State, if such payments arise from sources outside that State.
제21조【기타 소득】 [2006.12.18]
1. 제2항의 규정에 따를 것을 조건으로, 이 협약의 전기 각 조에 규정되지 아니한 어느 한쪽 체약국 거주자의 소득항목에 대하여는 그 소득의 발생지역과 관계없이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만 과세한다.

2. 제1항의 규정은,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소득의 수취인이 다른 쪽 체약국에 소재하는 고정사업장을 통하여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사업을 수행하거나, 동 다른 쪽 체약국 안에 소재하는 고정시설을 통하여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독립적 인적용역을 수행하고 또한 그 소득의 지급원인이 되는 권리 또는 재산이 그러한 고정사업장 또는 고정시설과 실질적으로 관련되는 경우, 제6조 제2항에 규정된 부동산소득 이외의 소득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사안에 따라 제7조 또는 제14조의 규정이 적용된다.

3. 다만, 그러한 소득을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다른 쪽 체약국 내의 원천으로부터 취득한 경우, 그 소득은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도 그 체약국법에 따라 과세할 수 있다.
Article 21.【 Other Income 】[2006.12.18]
1.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paragraph 2, items of income of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wherever arising, not dealt with in the foregoing Articles of this Convention shall be taxable only in that State.

2.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shall not apply to income, other than income from immovable property as defined in paragraph 2 of Article 6, if the recipient of such income, being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carries on business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rough a permanent establishment situated therein, or performs in that other State independent personal services from a fixed base situated therein, and the right or property in respect of which the income is paid is effectively connected with such permanent establishment or fixed base. In such case the provisions of Article 7 or Article 14, as the case may be, shall apply.

3. However, if such income is derived by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from sources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such income may also be taxed in the State in which it arises and according to the law of that State.
제22조【이중과세의 회피】 [2006.12.18]
1. 한국 외의 국가에서 납부할 조세에 대하여 허용하는 한국의 조세로부터의 세액공제에 관한 한국 세법의 규정에 따를 것을 조건으로 (이 항의 일반적인 원칙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가. 한국의 거주자가 이 협약의 규정에 의하여 캐나다 법에 따라 캐나다에서 과세되는 소득을 취득하는 경우, 당해 소득과 관련하여 납부할 캐나다 조세는 당해 거주자에게 부과되어 납부하는 대한민국의 조세로부터 세액공제가 허용된다. 그러나 공제금액은 당해 소득에 대하여 세액공제 전에 산출된 한국의 조세액을 초과하지 아니한다.
    나. 캐나다의 거주자인 법인이 그 법인이 발행한 총주식의 최소 25퍼센트를 보유하는 한국의 거주자인 법인에게 지급하는 배당의 경우, 세액공제를 함에 있어서 그 배당의 지급원인이 되는 이윤에 대하여 동 캐나다 거주자 법인이 납부하는 캐나다의 조세를 고려한다.

2. 캐나다의 경우 이중 과세는 다음과 같이 회피된다.
    가. 캐나다 외의 영토에서 납부되는 조세의 캐나다의 조세로부터의 세액공제에 관한 캐나다 법 현행 규정 및 그 규정에 변경이 있을 시 이에 따르되 이것이 이 항의 일반 원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그리고 캐나다 법에 따라 더 큰 폭의 공제 및 감면이 제공되지 않는 한 한국에서 발생하는 이윤, 소득 또는 이득에 대한 한국의 조세는 그러한 이윤, 소득 또는 이득과 관련한 캐나다 조세로부터 세액공제된다.
    나. 캐나다 외에서 납부할 조세에 대해 허용하는 캐나다 조세로부터의 세액공제에 대해 캐나다 법 현행 규정 및 그 규정에 변경이 있을 시 이에 따르되 이것이 이 항의 일반 원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한국의 거주자인 법인이 그 법인 의결권의 최소한 25퍼센트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배하는 캐나다의 거주자인 법인에게 지급하는 배당의 경우, 세액 공제를 함에 있어 그 배당의 지급원인이 되는 이윤에 대하여 동 한국 거주자 법인이 납부하는 한국의 조세를 고려한다.
    다. 이 협약의 어떠한 규정에 따라 캐나다의 거주자인 법인이 취득한 소득 또는 소유한 자본이 캐나다의 조세로부터 면제되는 경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캐나다는 기타 소득 또는 자본에 대한 세액을 산출함에 있어 그 면세된 소득 또는 자본을 고려할 수 있다.

3. 이 조의 목적상, 이 협약에 따라 다른 쪽 체약국에서 과세할 수 있는 어느 한쪽 체약국 거주자의 이윤, 소득 또는 이득은 다른 쪽 체약국 내의 원천에서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Article 22.【 Elimination of Double Taxation 】[2006.12.18]
1.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Korean tax law regarding the allowance as credit against Korean tax of tax payable in any country other than Korea (which shall not affect the general principle thereof):
    (a) where a resident of Korea derives income from Canada which may be taxed in Canada under the laws of Canada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in respect of that income, the amount of Canadian tax payable shall be allowed as a credit against the Korean tax payable imposed on that resident. The amount of credit shall not, however, exceed that part of Korean tax as computed before the credit is given, which is appropriate to that income; and
   (b) where the income derived from Canada is a dividend paid by a company which is a resident of Canada to a company which is a resident of Korea which owns not less than 25 per cent of the total shares issued by that company, the credit shall take into account the Canadian tax payable by the company in respect of the profits out of which such dividend is paid.

2. In the case of Canada, double taxation shall be avoided as follows:
   (a) subject to the existing provisions of the law of Canada regarding the deduction from tax payable in Canada of tax paid in a territory outside Canada and to any subsequent modification of those provisions - which shall not affect the general principle hereof - and unless a greater deduction or relief is provided under the laws of Canada, tax payable in Korea on profits, income or gains arising in Korea shall be deducted from any Canadian tax payable in respect of such profits, income or gains;
   (b) subject to the existing provisions of the law of Canada regarding the allowance as a credit against Canadian tax of tax payable in a territory outside Canada and to any subsequent modification of those provisions - which shall not affect the general principle hereof - where a company which is a resident of Korea pays a dividend to a company which is a resident of Canada and which controls directly or indirectly at least 25 per cent of the voting power in the first-mentioned company, the credit shall take into account the tax payable in Korea by that first-mentioned company in respect of the profits out of which such dividend is paid; and
   (c) where, in accordance with any provision of the Convention, income derived or capital owned by a resident of Canada is exempt from tax in Canada, Canada may nevertheless, in calculating the amount of tax on other income or capital, take into account the exempted income or capital.

3. For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profits, income or gains of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that may be tax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in accordance with this Convention shall be deemed to arise from sources in that other State.
제23조【무 차 별】 [2006.12.18]
1. 어느 한쪽 체약국의 국민은 다른 쪽 체약국에서 특히 거주와 관련하여 동일한 상황에 있는 다른 쪽 체약국의 국민이 부담하거나 부담할 수 있는 조세 또는 관련 의무보다 더 과중한 조세 또는 관련 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

2. 어느 한쪽 체약국의 기업이 다른 쪽 체약국 안에 가지는 고정사업장에 대한 조세는 동일한 활동을 수행하는 동 다른 쪽 체약국의 기업에 부과되는 조세보다 불리하게 부과되지 아니한다.

3. 이 조의 어떠한 규정도 어느 한쪽 체약국이 시민으로서의 지위 또는 가족부양 책임으로 인하여 자국의 거주자에게 부여하는 조세목적상의 인적공제?감면 및 경감을 다른 쪽 체약국의 거주자에게 부여하여야 할 의무를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 대하여 부과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4. 어느 한쪽 체약국 기업의 자본의 전부 또는 일부가 1인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쪽 체약국 거주자에 의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소유 또는 지배될 경우,그 기업은 동 어느 한쪽 체약국 안에서 자본의 전부 또는 일부가 1인 이상의 제3국의 거주자에 의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소유 또는 지배되는 그 밖의 유사한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기업이 부담하거나 부담할 수 있는 조세 또는 관련 의무보다 더 과중한 조세 또는 관련 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

5. 이 조에서 “조세”라 함은 이 협약의 대상이 되는 조세를 말한다.
Article 23.【 Non-Discrimination 】[2006.12.18]
1. Nationals of a Contracting State shall not be subject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o any taxation or any requirement connected therewith that is more burdensome than the taxation and connected requirements to which nationals of that other State in the same circumstances,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residence, are or may be subjected.

2. The taxation on a permanent establishment that an enterprise of a Contracting State has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shall not be less favourably levied in that other State than the taxation levied on enterprises of that other State carrying on the same activities.

3. Nothing in this Article shall be construed as obliging a Contracting State to grant to residents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any personal allowances, reliefs and reductions for taxation purposes on account of civil status or family responsibilities that it grants to its own residents.

4. Enterprises of a Contracting State, the capital of which is wholly or partly owned or controlled, directly or indirectly, by one or more residents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shall not be subjected in the first-mentioned State to any taxation or any requirement connected therewith that is more burdensome than the taxation and any connected requirements to which other similar enterprises that are residents of the first-mentioned State, the capital of which is wholly or partly owned or controlled, directly or indirectly, by one or more residents of a third State, are or may be subjected.

5. In this Article, the term "taxation" means taxes that are the subject of this Convention.
제24조【상호합의절차】 [2006.12.18]
1. 어떤 인이 어느 한쪽 또는 양 체약국의 조치가 자신에 대하여 이 협약의 규정에 부합하지 아니하는 과세상의 결과를 초래하거나 초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그는 이러한 체약국의 국내법이 규정하는 구제수단에 관계없이, 그가 거주자인 체약국의 권한있는 당국에 해당 조세의 정정 요구에 대한 근거를 명시한 신청서를 서면으로 제출할 수 있다. 신청이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이 협약의 규정에 부합하지 아니하는 과세상의 결과를 초래하는 조치의 최초 통보일부터 3년 이내에 당해 신청서가 제출되어야 한다.

2. 제 1항에 언급된 권한있는 당국은 동 이의가 정당하다고 인정하고 스스로 만족한 해결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 이 협약에 부합되지 아니하는 과세를 회피하기 위하여 다른 쪽 체약국의 권한있는 당국과 상호합의에 의하여 그 사안을 해결하도록 노력한다. 도달된 합의사항은 체약국의 국내법에 따른 시한에도 불구하고 이행된다.

3. 어느 한쪽 체약국은 국내법에 규정된 시한이 만료된 후, 그리고 해당 소득이 귀속되는 과세 기간의 종료시점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양 체약국 중 어느 한쪽 체약국 거주자의 과세 표준을 다른 쪽 체약국에서도 과세된 소득 항목을 포함시키는 방법으로 증가시키지 않는다. 이 항은 사기, 고의적인 채무 불이행 또는 방임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4. 양 체약국의 권한 있는 당국은 이 협약의 해석 또는 적용상 발생하는 어려움 또는 의문을 상호합의에 의하여 해결하도록 노력한다.

5. 양 체약국의 권한 있는 당국은 이 협약에 규정되지 아니한 경우에 있어서의 이중과세의 회피를 위하여 상호 협의 할 수 있으며, 이 협약을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로 직접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Article 24.【 Mutual Agreement Procedure 】[2006.12.18]
1. Where a person considers that the actions of one or both of the Contracting States result or will result for that person in taxation no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that person may, irrespective of the remedies provided by the domestic law of those States, address to the competent authority of the Contracting State of which that person is a resident an application in writing stating the grounds for claiming the revision of such taxation. To be admissible, the said application must be submitted within three years from the first notification of the action resulting in taxation no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2. The competent authority referred to in paragraph 1 shall endeavour, if the objection appears to it to be justified and if it is not itself able to arrive at a satisfactory solution, to resolve the case by mutual agreement with the competent authority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with a view to the avoidance of taxation not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 Any agreement reached shall be implemented notwithstanding any time limits in the domestic law of the Contracting States.

3. A Contracting State shall not, after the expiry of the time limits provided in its domestic laws and, in any case, after five years from the end of the taxable period to which the income concerned was attributed, increase the tax base of a resident of either of the Contracting States by including therein items of income that have also been charged to tax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is paragraph shall not apply in the case of fraud, wilful default or neglect.

4.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ontracting States shall endeavour to resolve by mutual agreement any difficulties or doubts arising as to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5.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ontracting States may consult together for the elimination of double taxation in cases not provided for in the Convention and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irectly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he Convention.
제25조【정 보 교 환】 [2006.12.18]
1. 양 체약국의 권한 있는 당국은, 이 협약의 규정 또는 이 협약의 대상조세에 관한 당해 체약국의 국내법상 제 규정에 따른 과세가 이 협약에 반하지 아니하는 한, 이 협약의 규정 또는 이 협약의 대상조세에 관한 당해 체약국의 국내법상 제 규정의 시행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한다. 정보의 교환은 제1조 및 제2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아니한다. 어느 한쪽 체약국이 입수하게 되는 정보는 동 체약국의 국내법에 의하여 입수하게 되는 정보와 동일하게 비밀로 취급되며, 조세의 부과・징수 또는 관리 또는 그와 관련된 강제집행 또는 소추나 불복신청의 결정에 또는 전술한 내용에 대한 감독에 관련된 인 또는 당국(사법・행정기관을 포함한다)에 대하여만 공개된다. 그러한 인 또는 당국은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서만 정보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들은 공개 법정절차 또는 사법적 판결에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2. 어떠한 경우에도 제1항의 규정은 어느 한쪽 체약국에 다음의 의무를 부과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가. 어느 한쪽 또는 다른 쪽 체약국의 법률 및 행정관행과 모순되는 행정조치의 시행
    나. 어느 한쪽 또는 다른 쪽 체약국의 법률상 또는 정상적인 행정과정에서 입수할 수 없는 정보의 제공 또는
    다. 거래,사업,산업,상업 또는 직업상의 비밀 또는 거래과정을 공개하는 정보 제공 또는 공개하는 것이 공공정책(공공질서)에 위배되는 정보 제공

3. 어느 한쪽 체약국이 이 조에 따라 정보를 요구하면, 다른 쪽 체약국은 당시 자국 조세 목적상 해당 정보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 다른 쪽 체약국은 마치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해당 조세가 동 다른 쪽 체약국의 조세이고 동 다른 쪽 체약국에 의해 부과되는 것처럼? 그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범위에 한해 당해 정보를 입수한다.

4. 어느 한쪽 체약국의 권한 있는 당국이 특별히 요청하는 경우, 다른 쪽 체약국의 권한있는 당국은 이 조에 따라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이 요구하는 형태, 예를 들면 증인의 선서 증언 및 문서의 미편집 원본(책, 논문, 진술서, 기록, 설명 또는 저작물 등을 포함)에 대한 사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도록노력하되, 그러한 선서 증언 및 문서가 다른 쪽 체약국의 자국 조세에 대한 행정 관행 및 국내법에 따라 취득될 수 있는 범위와 동일한 범위에 한한다.

5. 어떠한 경우에도 제3항의 규정이 어느 한쪽 체약국이 동 어느 한쪽 체약국 거주자와 관련된 정보 이외의 정보 제공을, 당해 정보가 은행, 기타 금융기관, 지명자, 대리인 또는 수탁자 자격으로 활동하는 인이 보유하는 정보라는 이유만으로 또는 당해 정보가 어떤 인에 대한 소유권과 관련된 정보라는 이유만으로, 거부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의미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Article 25.【 Exchange of Information 】[2006.12.18]
1.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ontracting States shall exchange such information as is necessary for carrying out the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or of the domestic laws of the Contracting States concerning taxes imposed by the government of a Contracting State insofar as the taxation thereunder is not contrary to the Convention. The exchange of information is not restricted by Articles 1 and 2. Any information received by a Contracting State shall be treated as secret in the same manner as information obtained under the domestic laws of that State and shall be disclosed only to persons or authorities (including courts and administrative bodies) involved in the assessment, collection, or administration of, the enforcement or prosecution in respect of, or the determination of appeals in relation to taxes or the oversight of the above. Such persons or authorities shall use the information only for such purposes. They may disclose the information in public court proceedings or in judicial decisions.

2. In no case shall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be construed so as to impose on a Contracting State the obligation:
    (a) to carry out administrative measures at variance with the laws and the administrative practice of that or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b) to supply information that is not obtainable under the laws or in the normal course of the administration of that or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or
    (c) to supply information that would disclose any trade, business, industrial, commercial or professional secret or trade process, or information, the disclosure of which would be contrary to public policy (ordre public).

3. If information is requested by a Contracting State in accordance with this Article, the other Contracting State shall obtain that information in the same manner and to the same extent as if the tax of the first-mentioned State were the tax of that other State and were being imposed by that other State, notwithstanding that the other State may not, at that time, need such information for the purposes of its own tax.

4. If specifically requested by the competent authority of a Contracting State, the competent authority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shall endeavour to provide information under this Article in the form requested, such as depositions of witnesses and copies of unedited original documents (including books, papers, statements, records, accounts or writings), to the same extent such depositions and documents can be obtained under the laws and administrative practices of that other State with respect to its own taxes.

5. In no case shall the provisions of paragraph 3 be construed to permit a Contracting State to decline to supply information, other than information related to residents of that State, solely because the information is held by a bank, other? financial institution, nominee or person acting in an agency or fiduciary capacity or because the information relates to ownership interests in a person.
제26조【외교관 및 영사관원】 [2006.12.18]
1. 이 협약의 어떠한 규정도 국제법의 일반규칙 또는 특별협정의 규정에 의한 외교관 또는 영사관원의 재정상 특권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2. 제4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른 쪽 체약국 또는 제3국에 있는 어느 한쪽 체약국의 외교관, 영사관원 또는 대표부 직원은, 총소득에 대한 과세와 관련하여 동 개인이 동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그 체약국 거주자들과 동일한 의무를 지는 경우, 이 협약의 목적상 동 개인을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로 간주한다.

3. 이 협약은 국제기구, 그러한 국제기구의 기관 또는 관리, 그리고 제3국 또는 여러 국가 집단의 외교관, 영사관원 또는 대표부 직원으로서 어느 한쪽 체약국에 체류하며 양 체약국 중 어느 국가에서도 총소득에 대한 조세와 관련하여 당해 체약국의 거주자와 동일한 의무를 지지 않는 인에게 적용되지 아니한다.
Article 26.【 Members of Diplomatic Missions and Consular Posts 】[2006.12.18]
1. Nothing in this Convention shall affect the fiscal privileges of members of diplomatic missions or consular posts under the general rules of international law or under the provisions of special agreements.

2.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Article 4, an individual who is a member of a diplomatic mission, consular post or permanent mission of a Contracting State that is situat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or in a third State shall be deemed for the purposes of the Convention to be a resident of the sending State if that individual is liable in the sending State to the same obligations in relation to tax on total income as are residents of that sending State.

3. The Convention shall not apply 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organs or officials thereof and to persons who are members of a diplomatic mission, consular post or permanent mission of a third State or group of States, being present in a Contracting State and who are not liable in either Contracting State to the same obligations in relation to tax on their total income as are residents thereof.
제27조【그 밖의 규칙】 [2006.12.18]
1. 이 협약의 규정은 어느 한쪽 체약국에 의하여 부과되는 조세의 결정에 있어서 동 체약국의 법률이 부여하는 면제, 공제, 세액공제 또는 그 밖의 공제를 어떤 방식으로든지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2. 이 협약의 어떠한 규정도 어느 한쪽 체약국이 자국 거주자가 권리를 가지고 있는 조합, 신탁 또는 특수 관계에 있는 외국 계열 회사와 관련하여 동 거주자의 소득에 포함된 액수에 대한 조세 부과를 막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3. 이 협약은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이면서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가 아닌 1명 이상의 인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익적 소유 또는 지배를 당하는 법인, 신탁 또는 기타 실체에 대해서는, 만약 그러한 법인, 신탁 또는 기타 실체의 소득 또는 자본에 대해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이 부과한 조세액수가 (환급, 변제, 세액공제 또는 공제를 포함하여 모든 방식의 세액 감면 또는 상쇄를 고려한 후) 사안에 따라 동 법인의 자본 주식 또는 동 신탁 및 기타 실체에 대한 모든 권리가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거주자인 1명 이상의 개인이 수익적으로 소유할 때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이 부과할 조세액수보다실질적으로 낮은 경우, 적용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그 더 낮은 조세액이 부과된 당해 소득의 90퍼센트 이상이 투자 사업이 아닌 직접 수행한 활발한 거래또는 사업 행위로부터만 발생된 경우에는 이 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4. 서비스 무역에 관한 기본 협정 제22조(협의)의 제3항의 목적상, 양 체약국은, 동 항에도 불구하고, 특정 조치가 이 협약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대해 양국간 분쟁이 발생할 경우 양국의 동의가 있을 때만 동 항에서 정하는 대로 서비스 무역 위원회에 그러한 분쟁을 제기될 수 있다고 합의한다. 이 항의 해석과 관련한 의문은 제24조 제4항에 따라 해결하고 이러한 절차를 통해서도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양 체약국이 합의하는 그 밖의 절차에 따라 해결한다.
Article 27.【 Miscellaneous Rules 】[2006.12.18]
1. The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to restrict in any manner any exemption, allowance, credit or other deduction accorded by the laws of a Contracting State in the determination of the tax imposed by that State.

2. Nothing in the Convention shall be construed as preventing a Contracting State from imposing a tax on amounts included in the income of a resident of that State with respect to a partnership, trust, or controlled foreign affiliate, in which that resident has an interest.

3. The Convention shall not apply to any company, trust or other entity that is a resident of a Contracting State and is beneficially owned or controlled, directly or indirectly, by one or more persons who are not residents of that State, if the amount of the tax imposed on the income or capital of the company, trust or other entity by that State (after taking into account any reduction or offset of the amount of tax in any manner, including a refund, reimbursement, contribution, credit or allowance to the company, trust, or other entity or to any other person) is substantially lower than the amount that would be imposed by that State if all of the shares of the capital stock of the company or all of the interests in the trust or other entity, as the case may be, were beneficially owned by one or more individuals who were residents of that State.  However, this paragraph shall not apply if 90 per cent or more of the income on which the lower amount of tax is imposed is derived exclusively from the active conduct of a trade or business carried on by it other than an investment business.

4. For the purposes of paragraph 3 of Article XXII (Consultation) of the General Agreement on Trade in Services, the Contracting States agree that, notwithstanding that paragraph, any dispute between them as to whether a measure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onvention may be brought before the Council for Trade in Services, as provided by that paragraph, only with the consent of both Contracting States. Any doubt as to the interpretation of this paragraph shall be resolved under paragraph 4 of Article 24 or, failing agreement under that procedure, pursuant to any other procedure agreed to by both Contracting States.
제28조【발 효】 [2006.12.18]
1. 양 체약국 정부는 이 협약의 발효를 위해 필요한 자국의 헌법상 요건이 충족되었음을 외교적 경로를 통해 상호 통보한다.

2. 이 협약은 제1항에 언급된 통보와 관련하여 나중의 통보일에 발효되며 이 협약의 규정은 다음에 대해 효력을 가진다.
  가. 원천징수되는 조세에 관하여는, 이 협약이 발효되는 연도의 바로 다음 역년 1월 1일 또는 그 후에 비거주자에게 지급되거나 공제되는 금액
   나. 그 밖의 조세에 관하여는, 이 협약이 발효되는 연도 바로 다음 역년 1월 1일 또는 그 후에 개시되는 과세 연도분

3. 1978년 2월 10일 서울에서 서명한 대한민국과 캐나다간 소득에 대한 조세의 이중과세회피와 탈세방지를 위한 협약(이하 “1978년 협약” 이라 함)은 제2항에 따른 이 협약의 발효일부터 효력이 중지된다.

4. 제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1978년 협약 규정에 의해 더 큰 액수의 세액 감면이 부여될 수 있었던 경우, 그러한 규정은 이 협약 발효 연도의 바로 다음 역년 말일 또는 그 전에 종결되는 과세연도에 대해 효력을 유지한다.

5. 1978년 협약은 이 협약이 발효된 연도 다음 두 번째 역년 1월 1일에 종료된다.
Article 28.【 Entry into Force 】[2006.12.18]
1. The Governments of the Contracting States shall notify each other through diplomatic channels that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for the entry into force of this Convention have been complied with.?

2. The Convention shall enter into force on the date of the later of the notifications referred to in paragraph 1 and its provisions shall have effect:
    (a) in respect of tax withheld at the source on amounts paid or credited to non-residents, on or after the first day of January in the calendar year next following that in which the Convention enters into force; and
    (b) in respect of other taxes, for taxation years beginning on or after the first day of January in the calendar year next following that in which the Convention enters into force.

3. The Conven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anada for the avoidance of double taxation and the prevention of fiscal evasion with respect to taxes on income signed at Seoul on February 10, 1978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1978 Convention"), shall cease to have effect from the dates on which this Convention becomes effective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

4.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paragraph 2, where any greater relief from tax would have been afforded by the provisions of the 1978 Convention, any such provision as aforesaid shall continue to have effect for taxation years ending on or before the last day of the calendar year next following that in which the Convention enters into force.

5. The 1978 Convention shall terminate on the first day of January of the second calendar year next following that in which the Convention enters into force.
제29조【종 료】 [2006.12.18]
이 협약은 그 효력이 무기한 지속된다. 그러나, 이 협약의 발효일로부터 5년 후 매 역년 6월 30일 또는 그 전에 외교적 경로를 통해 어느 한쪽 체약국이 다른 쪽 체약국에 서면으로 종료 통보를 할 수 있다. 서면으로 종료 통보를 하는 경우, 다음에 대해 이 협약은 효력을 상실한다.
     가. 원천징수되는 조세에 관하여는 그 역년 말일 후에 비거주자에게 지급되거나 공제되는 금액
     나. 기타 조세에 관하여는 그 역년 말일 후에 개시되는 과세연도분

  이상의 증거로 아래 서명자는 그들 각자의 정부로부터 정당하게 권한을 위임받아 이 협약에 서명하였다.

  2006년 9월 5일 오타와에서 동등하게 정본인 한국어, 영어 및 불어로 각 2부씩 작성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를 대표하여                    캐나다 정부를 대표하여
Article 29.【 Termination 】[2006.12.18]
This Convention shall continue in effect indefinitely but either Contracting State may, on or before June 30 of any calendar year beginning after the expiration of a period of five years from the date of its entry into force, give to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rough diplomatic channels, written notice of termination.? In such event, the Convention shall cease to have effect:
  (a) in respect of tax withheld at the source on amounts paid or credited to non-residents, after the end of that calendar year; and
  (b) in respect of other taxes, for taxation years beginning after the end of that calendar year.

IN WITNESS WHEREOF the undersigned, duly authorized to that effect by their respective Governments, have signed this Convention.

DONE in duplicate at Ottawa, this 5th day of September, 2006, in the Korean, English and French languages, each version being equally authentic.

FOR THE GOVERNMENT OF             OR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ANADA
의정서(2006.12.18)【】 [2006.12.18]
의정서

대한민국 정부와 캐나다 정부 간의 소득에 대한 조세의 이중과세회피 및 탈세방지를 위한 협약 (이하 “협약”이라 함)에 서명함에 있어서, 아래 서명자는 다음의 규정이 이 협약의 불가분의 일부를 구성함에 합의하였다.

1. 이 협약의 제2조 제1항 가목과 관련하여 한국은 “주민세”와 “농어촌특별세”를 포함하되, 다만 캐나다의 정치적 하부조직이 그 각 하부조직에서 발생하고 캐나다 비거주자에게 지급되는 소득에 대해 원천징수세를 부과하지 않고, 캐나다 정부가 이 협약을 포함하여 캐나다와 다른 국가간의 소득세 협정 또는 협약의 규정을 고려하지 않는 정치적 하부조직을 대신하여 어떠한 소득세 규정도 시행하지 않을 때 한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이해된다.

2. 이 협약의 제10조와 관련하여 양 체약국은 외교 문서 교환을 통해 나중의 외교문서 날짜로부터 효력이 발생하는 다음의 규정들을 이 협약 제10조에 삽입하기로 합의할 수 있다.

“7. 제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연금, 퇴직 또는 고용 연금 제도에 따른 급부 관리 또는 제공만을 목적으로 다른 쪽 체약국에서 운영되는 기관에 지급되는 배당은 다음의 경우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조세로부터 면제된다.
가. 동 기관이 그 배당의 지급원인이 되는 주식의 실질적 소유자이고, 그러한 주식을 투자목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조세 면제이다.
나. 동 기관이 그 배당을 지급하는 법인의 자본의 5퍼센트를 초과하여 또는 의결 주식의 5퍼센트를 초과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소유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 그 배당의 지급 원인이 되는 그 법인 주식 종류가 승인된 증권거래소에서 정기적으로 거래된다.

8. 제7항의 목적상, “승인된 증권거래소”라 함은 다음을 의미한다.
가. 한국에서 발생하는 배당의 경우, 한국증권거래소 및 코스닥 시장
나. 캐나다에서 발생하는 배당의 경우, 소득세법 목적상 규정된 캐나다 증권 거래소
다. 양 체약국의 권한있는 당국간 서신 교환으로 합의된 그 밖의 증권거래소”

3. 이 협약의 제11조와 관련하여, 양 체약국은 외교 문서 교환을 통해 나중의 외교문서 날짜로부터 효력이 발생하는 다음의 규정들을 이 협약 제11조에 삽입하기로 합의할 수 있다.

"9. 어느 한쪽 체약국에서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연금, 퇴직 또는 고용 연금 제도에 따른 급부 관리 또는 제공만을 위해 운영되는 다른 쪽 체약국 거주자에게 지급되는 이자는 다음의 경우 동 어느 한쪽 체약국의 조세로부터 면제된다.
가. 동 거주자가 그 이자의 실질적 소유자이고 일반적으로 동 다른 쪽 체약국에서 조세 면제이다. 그리고,
나. 그 이자가 거래 또는 사업 수행으로부터 또는 관련 인으로부터 발생하지 않는다.”

4. 이 협약 제12조 제3항과 관련하여, 소프트웨어의 사용 또는 사용권에 대한 대가로서 수취한 모든 종류의 지급금은 다음의 경우 사용료로 취급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가. 그 소프트웨어와 함께 원시코드도 사용자에게 이전되거나
나. 그 소프트웨어가 특정한 최종 사용자의 특정 요구를 위해 개발되거나 그러한 요구에 적합하게 만드는 경우 또는
다. 그 소프트웨어 취득에 대한 지급금이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생산성 또는 사용과 관련하여 평가되는 경우

5. 이 협약 제21조 제3항과 관련하여, 해당 소득이 캐나다에서 발생하고 동 소득이 불입금이 공제된 신탁을 제외한 신탁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 캐나다에서 그렇게 부과된 조세는 동 소득이 한국에서 과세대상이라면 그 소득 총액의 15퍼센트를 초과하지 아니한다.

이상의 증거로 아래 서명자는 그들 각자의 정부로부터 정당하게 권한을 위임받아 이 의정서에 서명하였다.

2006년 9월 5일 오타와에서 동등하게 정본인 한국어, 영어 및 불어로 각 2부씩 작성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를 대표하여 캐나다 정부를 대표하여
】[2006.12.18]
PROTOCOL

At the signing of the Convention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Canada for the Avoidance of Double Taxation and the Prevention of Fiscal Evasion with respect to Taxes on Inco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vention"), the undersigned have agreed upon the following provisions which shall be an integral part of the Convention:

1. With reference to subparagraph (a) of paragraph 1 of Article 2 of the Co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Korea has agreed to include the "inhabitant tax" and the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based on Korea’s understanding that the political subdivisions of Canada do not impose withholding tax on income arising in their respective subdivisions and paid to non-residents of Canada and that the political subdivisions recognize and take into account the provisions of Canada’s income tax agreements or conventions.

2. With reference to Article 10 of the Convention, the Contracting States may, through an exchange of diplomatic notes, agree to the insertion in that Article of the following provisions which will have effect from the date of the later of the two notes:

"7.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paragraph 2, dividends arising in a Contracting State and paid to an organisation that is operat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 exclusively to administer or provide benefits under one or more pension, retirement or employee benefits plans shall be exempt from tax in the first-mentioned State if:
(a) the organisation is the beneficial owner of the shares on which the dividends are paid, holds those shares as an investment and is generally exempt from tax in the other State;
(b) the organisation does not own directly or indirectly more than 5 per cent of the capital or 5 per cent of the voting stock of the company paying the dividends; and
(c) the class of shares of the company on which the dividends are paid is regularly traded on an approved stock exchange.

8. For the purposes of paragraph 7, the term "approved stock exchange" means:
(a) in the case of dividends arising in Korea, the Korea Stock Exchange and the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KOSDAQ);
(b) in the case of dividends arising in Canada, a Canadian stock exchange prescribed for the purposes of the Income Tax Act; and
(c) any other stock exchange agreed to in letters exchanged between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ontracting States."

3. With reference to Article 11 of the Convention, the Contracting States may, through an exchange of diplomatic notes, agree to the insertion in that Article of the following provision which will have effect from the date of the later of the two notes:

"9. Interest arising in a Contracting State and paid to a resident of the other Contracting State that is operated exclusively to administer or provide benefits under one or more pension, retirement or employee benefits plans shall not be taxable in the first-mentioned State provided that:
(a) the resident is the beneficial owner of the interest and is generally exempt from tax in the other State; and
(b) the interest is not derived from carrying on a trade or a business or from a related person."

4. With reference to paragraph 3 of Article 12 of the Co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payments of any kind received as consideration for the use of, or the right to use, software shall be treated as royalties, if:
(a) the source code is transferred to the user in addition to the software; or
(b) the software is developed for, or adapted to, the specific demands of a particular end-user; or
(c) the payments for the acquisition of the software are measured by reference to the productivity or use of such software.

5. With reference to paragraph 3 of Article 21 of the Co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where the income arises in Canada and that income is from a trust, other than a trust to which contributions were deductible, the tax so charged by Canada shall, if the income is taxable in Korea, not exceed 15 per cent of the gross amount of the income.

IN WITNESS WHEREOF the undersigned, duly authorized to that effect by their respective Governments, have signed this Protocol.

?DONE in duplicate at Ottawa, this 5th day of September, 2006, in the Korean, English and French languages, each version being equally authentic.

FOR THE GOVERNMENT OF FOR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ANADA
상호합의(2010.03.31)【】 [2010.03.31]
 

< 한-캐나다 조세조약 관련 상호합의 결과 통보(기획재정부 국제조세협력과-217(2010.3.31) )  >




1. 우리부는 한국정책금융공사(Korea Finance Corporation)의 신설(‘09.10월)에 따라, 기존 조세조약 체약국 중 일부 국가(산업은행이 이자면세기관으로 지정된 체약국)들과 동 공사를 이자면세기관으로 추가 지정하는 문제를 협의중에 있습니다.




2. 이와 관련, 우리는와 캐나다 국세청은 201.3.23일자로 상기 정책금융공사 및 캐나다 국민연금투자위원회(CPPIP)를 한-캐나다 조세조약 제11조에서 규정하는 이자면세기관으로 지정하기로 상호합의하였음을 통보하오니(2010.1.1일 지급분부터 효력발생), 향후 조세조약 집행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010.03.31]